• 제목/요약/키워드: Endometrial Carcinoma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35초

Presence of Anemia and Poor Prognostic Factors in Patients with Endometrial Carcinoma

  • Wilairat, Wanitchar;Benjapibal, Mongkol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7호
    • /
    • pp.3187-3190
    • /
    • 2012
  • This study evalu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treatment hemoglobin (Hb) and prognostic factors in Thai patients with endometrial cancer. Medical records of 228 patients who had undergone surgery between January 2005 and December 2007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Associations between clinicopathological variables and pretreatment Hb levels were described using Pearson's chi square test or two-tailed Fisher's exact test. Surviv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Kaplan-Meier estimates. Univariate and Cox-regression models were used to evaluate the prognostic impact of various factors, including Hb levels, in term of disease-free survival. The median duration of follow-up was 38.2 months. Eighty-nine patients (39%) had a preoperative Hb level of <12 g/dL, these having significantly higher rates of non-endometrioid histology, advanced FIGO stage, lymphovascular space invasion, cervical involvement, adnexal involvement, positive peritoneal cytology, and lymph node involvement than patients with Hb ${\geq}12$ g/dL. The 5-year disease-free and overall survival were significantly lower in patients with pretreatment Hb levels <12 g/dL compared with those with Hb ${\geq}12$ g/dL (79.3% vs. 89.2%, p=0.044 and 87.6% vs. 99.3%, p<0.001, respectively).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only histology, myometrial invasion, and lymphovascular invasion proved to b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whereas tumor grading, stage, cervical involvement, adnexal involvement, positive peritoneal cytology, lymph node involvement, and low Hb were not. In conclusion, presence of anemia before treatment may reflect poor prognostic factors in patients with endometrial cancer and low pretreatment hemoglobin level may have a prognostic impact on clinical outcome.

The Inhibition Effect of Triptolide on Human Endometrial Carcinoma Cell Line HEC-1B: a in vitro and in vivo Studies

  • Ni, Jing;Wu, Qiang;Sun, Zhi-Hua;Zhong, Jian;Cai, Yu;Huang, Xin-E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1호
    • /
    • pp.4571-4576
    • /
    • 2015
  • Background: To investigate the inhibitory effect and the underlying mechanism of triptolide on cultured human endometrial carcinoma HEC-1B cells and corresponding xenograft. Materials and Methods: For in vitro studies, the inhibition effect of proliferation on HEC-1B cell by triptolide was determined by MTT assay; cell cycle and apoptosis of the triptolide-treated and untreated cells were detected by flow cytometry. For in vivo studies, a xenograft tumor model of human endometrial carcinoma was established using HEC-1B cells, then the tumor-bearing mice were treated with high, medium, and low-dose ($8{\mu}g$, $4{\mu}g$ and $2{\mu}g/day$) triptolide or cisplatin at $40{\mu}g/day$ or normal saline as control. The mice were treated for 10-15 days, during which body weight of the mice and volume of the xenograft were weighted. Then expression of Bcl-2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was analyzed by SABC immunohistochemistry. Results: Cell growth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triptolide as observed by an inverted phase contrast microscope; the results of MTT assay indicated that triptolide inhibits HEC-1B cell proliferation in a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 flow cytometry showed that low concentration (5 ng/ml) of triptolide induces cell cycle arrest of HEC-1B cells mainly at S phase, while higher concentration (40 or 80 ng/ml) induced cell cycle arrest of HEC-1B cells mainly at G2/M phase, and apoptosis of the cells was also induced. High-dose triptolide showed a similar tumor-inhibitory effect as cisplatin (-50%); high-dose triptolide significantly inhibited Bcl-2 and VEGF expression in the xenograft model compared to normal saline control (P<0.05). Conclusions: triptolide inhibits HEC-1B cell growth both in vitro and in mouse xenograft model. Cell cycle of the tumor cells was arrested at S and G2/M phase, and the mechanism may involve induction of tumor cell apoptosis and inhibition of tumor angiogenesis.

Treatment outcomes after adjuvant radiotherapy following surgery for patients with stage I endometrial cancer

  • Kim, Jiyoung;Lee, Kyung-Ja;Park, Kyung-Ran;Ha, Boram;Kim, Yi-Jun;Jung, Wonguen;Lee, Rena;Kim, Seung Cheol;Moon, Hye Sung;Ju, Woong;Kim, Yun Hwan;Lee, Jihae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4권4호
    • /
    • pp.265-272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treatment outcomes of adjuvant radiotherapy using vaginal brachytherapy (VB) with a lower dose per fraction and/or external beam radiotherapy (EBRT) following surgery for patients with stage I endometrial carcinoma. Materials and Methods: The subjects were 43 patients with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Gynecology and Obstetrics (FIGO) stage I endometrial cancer who underwent adjuvant radiotherapy following surgery between March 2000 and April 2014. Of these, 25 received postoperative VB alone, while 18 received postoperative EBRT to the whole pelvis; 3 of these were treated with EBRT plus VB. The median EBRT dose was 50.0 Gy (45.0-50.4 Gy) and the VB dose was 24 Gy in 6 fractions. Tumor dose was prescribed at a depth of 5 mm from the cylinder surface and delivered twice per week. Results: The median follow-up period for all patients was 57 months (range, 9 to 188 months). Five-year disease-free survival (DFS) and overall survival (OS) for all patients were 92.5% and 95.3%, respectively. Adjuvant radiotherapy was performed according to risk factors and stage IB, grade 3 and lymphovascular invasion were observed more frequently in the EBRT group. Five-year DFS for EBRT and VB alone were 88.1% and 96.0%, respectively (p = 0.42), and 5-year OS for EBRT and VB alone were 94.4% and 96%, respectively (p = 0.38). There was no locoregional recurrence in any patient. Two patients who received EBRT and 1 patient who received VB alone developed distant metastatic disease. Two patients who received EBRT had severe complications, one each of grade 3 gastrointestinal complication and pelvic bone insufficiency fracture. Conclusion: Adjuvant radiotherapy achieved high DFS and OS with acceptable toxicity in stage I endometrial cancer. VB (with a lower dose per fraction) may be a viable option for selected patients with early-stage endometrial cancer following surgery.

초기 자궁내막암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결과 (The Results of Postoperative Radiotherapy for Early Stage Endometrial Carcinoma)

  • 강민규;박원;이정원;김병기;배덕수;이제호;이기헌;임경택;김태진;성석주;박종택;이정은;허승재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4권2호
    • /
    • pp.116-122
    • /
    • 2006
  • 목적: 본 연구는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초기 자궁내막암의 치료결과를 분석하여 향후 치료방침 결정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10월부터 2002년 8월까지 FIGO I 병기의 자궁내막암으로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는 총 42명이었다. 모든 환자들이 근치적 수술을 시행하였으며, 골반림프절곽청술은 26명에서 시행되었다. FIGO 병기는 IA 병기 3명, IB 병기 21명, IC 병기 18명이었고, 조직학적 등급은 1등급 14명, 2등급 16명, 3등급 12명이었다. 19명의 환자는 강내근접치료를 받았으며, 23명은 전골반-방사선치료를 받았다. 추적관찰기간은 $22{\sim}100$개월(중앙값 41개월)이었다. 결과: 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 무병생존율, 국소제어율, 영역제어율은 각각 86.0%, 87.9%, 100%, 97.5%였다. 재발은 원격전이가 5명에서 발생하였는데, 이들 중 2명은 영역재발이 동반되었다. 강내근접치료만 받은 환자들에서는 국소영역재발이 없었다. 3등급의 만성합병증은 전골반-방사선치료를 받은 1명(4.3%)에서 발생하였다. 결론: 초기 자궁내막암은 근치적 수술과 수술 후 보조적 방사선치료로 높은 국소영역제어율과 생존율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치료에 의한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위험인자에 따라 방사선치료 방법을 선택하여야 할 것이다.

자궁내막암 환자에서 수술 전 방사선치료와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성적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Preoperative Radiotherapy and Postoperative Radiotherapy in Clinical Stage I and II Endometrial Carcinoma)

  • 금기창;이창걸;정은지;이상욱;김우철;장세경;오영택;서창옥;김귀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3권4호
    • /
    • pp.377-383
    • /
    • 1995
  • 목적 : 자궁내막암 1, 2기 환자에서 수술전 방사선 치료와 수술후 방사선 치료의 성적을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적합한 치료 방법을 얻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85. 1월부터 1991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과에 내원하여 방사선 치료를 받은 자궁내막암 환자 6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이중 19명(1기 12명, 2기 7명)은 수술전4-6주전에 방사선 치료를 받았으며(1군), 43명(1기 32명, 2기 11명)은 수술후 4-5주후에 방사선 치료를 받았다(2군). 2군중에 질내조사만 시행된 1명의 환자를 제외한 61명의 환자에서 모두 외부방사선 치료가 시행되었으며, 1관의 $70{\%}$(13/19)와 2군의 $44{\%}$(23/42)의 환자에서는 외부방사선 치료와 강내조사가 시행되었다. 외부방사선 조사는 180 cGy를 하루에 한 번씩 주 5회 시행하였으며, 총 방사선 조사선량은 39.6-55 Gy(중앙값 : 45 Gy)였다. 강내조사는 1군에서는 Point A에 20-39.6 Gy(중앙값 ; 39 Gy)가 조사되었고, 2군에서는 질 표면에서 0.5cm 깊이에 18-30 Gy(중앙값 ; 21 Gy)가 조사되었다. 결과 : 수술전 방사선 치료군과 수술후 방사선 치료군의 5년 생존율은 각각 $89{\%},\;98{\%}$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1). 또한 병기.분화도,조직학적 형태에 따른 양 군간의 5년 생존율도 차이가 없었다 1군에서 수술전 방사선 치료후에 잔재암의 존재 여부에 따라서는 5년 생존율의 차이가 없었으며(p>0.1), 2군에서 림프절의 전이 여부에 따라 5년 생존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치료에 따른 부작용은 1군이 더 많았다($16{\%}$ vs $5{\%}$). 결론 : 수술후 방사선 치료 방법은 수술전 방사선 치료 방법에 비하여 정확한 병의 진행 정도를 알 수 있으며, 부작용이 적음으로 자궁내막암의 치료에 좀더 적합한 치료 방법이라고 하겠다.

  • PDF

자궁경부질 도말상 선암종의 세포학적 분석 (Cytologic Analysis of Adenocarcinoma of the Cervicovaginal Smears)

  • 김정연;조혜제;조경자;이홍균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47-153
    • /
    • 1998
  • We have investigated the cervicovaginal smears in order to define the cytologic features of uterine adenocarcinomas. Total 22 cases were reviewed(12 cases from the Sanggye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and 10 cases from the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from January 1992 to December 1997. Five cases were endometrial adenocarcinomas and the remaining 17 cases were cervical adenocarcinomas. Seventeen cases of cervical adenocarcinomas were divided into endometrioid(6 cases), endocervical(7 cases), mixed endometrioid and endocervical(1 case), papillary (2 cases), and adenosquamous(1 case) carcinomas. The background of endocervical adenocarcinoma was hemorrhagic or inflammatory. The tumor diathesis was less prominent than that of the squamous cell carcinoma. The prominent features of the endocervical type adenocarcinomas were large and loose clusters, large intracytoplasmic vacuoles, and prominent overlapping and peripheral palisading of nuclei. In contrast, the endometrioid adenocarcinomas showed small and compact clusters, and small intracytoplasmic vacuoles. The detection rate of endometrial adenocarcinoma was lower than that of the endocervical adenocarcinoma.

  • PDF

자궁내막암의 수술 후 보조적 방사선치료 (Postoperative Adiuvant Radiation Therapy in Endometrial Carcinoma)

  • 신경환;최은경;안승도;장혜숙;목정은;남주현;김영탁;김용만;김종헉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8권1호
    • /
    • pp.40-45
    • /
    • 2000
  • 목적 : 수술 및 수술 후 보조적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자궁내막암 환자의 예후인자, 재발 장소 및 생존율 등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1년 9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서을중앙병원에서 수술 및 방사선치료를 받은 27예의 자궁내막암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은 단순자궁적출술이 6예, 단순자궁적출술 및 림프절 절제술이 8예, 근치적 자궁적출 술이 13예에서 시행되었다. 모든 환자에서 외부 방사선치료가 시행되었으며 이 중 16예에서 ovoid를 이용한 질내조사가 추가되었다. 조사선량은 외부 방사선치료는 총 50.4 Gy를 조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고, 질내조사는 1회 분할선량 4$\~$5 Gy씩 4내지 5회 시행하였다. 추적기간은 6개월에서 95개월로서 중앙추적기간은 30개월이었다. 결과:FIGO 병기는 I-18예(67$\%$), II-1(4$\%$), III-8예(29$\%$)이었고, 조직분화도는 1$\~$14예(52$\%$), 2$\~$6예(9$\%$), 3$\~$7예(26$\%$)이었다. 수술 후 조직 소견상 조직분화도가 나쁠수록, 자궁근층의 침범 정도가 심할수록, 자궁부속기의 침범이있는 경우, 림프-혈관 침범이 있는 경우 골반내 림프절이 양성을 보이는 경우가 많았으나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다. 추적이 종료된 시점에서 사망한 환자가 한 예도 없어 전체 생존율은 100$\%$이었으나 3예에서 병이 재발되어 3년 및 5년 무병생존율이 각각 89.6$\%$,, 76.8$\%$이었다. 재발 장소는 골반내, 대동맥방림프절, 폐를 포함한 다발성 등이 각각 I예 이었고 질 재발은 관찰되지 않았다. FIGO 병기(p=0.01), 림프-혈관 침범(p=0.03), 골반내 림프절 침범(p=0.0001)등이 무병생존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직분화도가 나쁠수록 무병생존율이 저조한 경향을 보였다(p=0.1). 치료부작용으로는 1예에서만 Grade 1의 직장출혈이 나타났으나 중등도 이상의 합병증을 보인 경우는 없었다. 결론 : 수술후 조직학적 소견에 따른 외부방사선치료 및 추가 질내조사는 국소재발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며 결과적으로 생존율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병기 및 조직분화도에 따라 질내조사를 추가하지 않는 경우 질 재발이 호발하는 환자군에 대한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초기 자궁내막암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결과와 예후인자 (The Results and Prognostic Factors of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in the Early Stages of Endometrial Cancer)

  • 이경자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6권3호
    • /
    • pp.149-159
    • /
    • 2008
  • 목 적: 본 연구는 자궁내막암 병기 $1{\sim}2$ 환자에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결과와 예후인자를 분석하여 향후 치료원칙을 결정하는 데 도움을 얻고자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1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부속병원에서 자궁내막암으로 진단받고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병기 $1{\sim}2$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전체 환자는 35명이었으며 17명은 자궁절제술과 양측 난소제거술을 시행하였고 18명은 완전한 수술적 병기의 수술을 시행하였다. 골반강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는 17명, 질강내근접치료를 받은 환자는 12명, 골반강 방사선치료와 질강내근접치료를 받은 환자는 6명이었다. 결 과: 추적기간의 중앙값은 54개월이었다. 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은 91.4%, 무병생존율은 81.7%이었다. 저위험군, 중간위험군, 고위험군의 위험군에 따른 5년 생존율은 각각 100%, 100%, 55.6%이었으며 무병생존율은 각각 100%, 70.0%, 45.7%이었다. 국소재발된 환자는 없었으며 5명(14%)에서 원격전이가 발생하였으며 호발부위는 폐, 뼈, 간, 부신, 전복강의 순이었다. 원격전이에 대한 단변량 통계분석에 따르면 위험군, 조직학적 세포형태와 조직학적 등급이 유의성이 있었으며, 다변량 통계분석에 따르면 조직학적 세포형태로서 유두형, 장액형, 그리고 투명세포암은 자궁내막양암과 샘암편평암에 비하여 원격전이율이 높고 생존율이 낮았다. 골반강 방사선치료에 의한 후유증은 장염이 30%에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직장염이었으나 대부분 등급 $1{\sim}2$로 등급 $3{\sim}4$의 후유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 론: 수술 후 골반강 방사선치료 혹은 질강내근접치료를 시행한 자궁내막암 병기 $1{\sim}2$환자들의 경우 저위험군과 중간위험군은 국소제어율과 생존율이 높았으나, 고위험군은 골반강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여 국소제어율은 높으나 원격전이율이 높고 생존율이 낮았다. 따라서 고위험군은 방사선치료와 동시에 항암화학요법이 요구된다. 중간 위험군의 더 효율적인 치료를 위하여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골반강 방사선치료와 강내근접치료를 비교하는 전향적 무작위연구가 필요하다.

타목시펜 사용과 연관되어 빠르게 진행하는 다발성 자궁내막폴립 1예 (A Case of Tamoxifen-Associated Rapid Growing and Multiple Endometrial Polyps)

  • 이희준;김훈;구승엽;한원식;김석현;최영민;김정구;문신용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7권2호
    • /
    • pp.173-179
    • /
    • 2010
  • 유방암의 치료는 수술, 항암치료 및 방사선 치료 등의 주 치료법이 있으며, 유방암 환자에서 주 치료 후 보조적 치료 수단으로 호르몬 치료가 사용된다. 이 호르몬 치료에는 타목시펜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며, 타목시펜은 체내에서 항에스트로겐 효과를 보여 유방암 치료에 도움을 주며 유방암의 재발방지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타목시펜의 부작용 또한 여러 가지가 있으며 문헌에 보고된 것으로는 자궁내막폴립, 자궁내막증식증, 자궁내막암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원에서도 유방암으로 수술 치료를 시행 받은 후 보조적 치료로서 호르몬 제제인 타목시펜을 사용하여 왔으며 이러한 환자들은 모두 외과와 협진하여 산부인과 외래로 추적 관찰하고 있다. 최근에 본원산부인과 외래로 추적 관찰 중인 타목시펜 사용 환자 중에서, 호르몬 치료 시작 3개월 후의 단기간 내에 빠르게 진행하는 다발성의 자궁내막폴립의 1예가 발견되었으며, 이는 타목시펜의 부작용으로 발생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저자는 유방암 수술 후 보조적 치료로 타목시펜을 사용한 환자들 중 우연히 발견된 빠르게 진행하는 다발성의 자궁내막폴립의 1예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nti-Helicobacter pylori, Cytotoxic,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White Ginseng Extract

  • Jee, Hee-Sook;Chang, Kyung-Hoon;Moon, Sun-Hee;Park, Se-Ho;Paik, Hyun-Do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5호
    • /
    • pp.1106-1109
    • /
    • 2008
  • The anti-Helicobacter pylori activity, cytotoxicity,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white ginseng extract (WGE) were investigated in vitro in this study.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WGE toward H. pylori strains 52 J99, SSI, and 51 were tested using the disk diffusion method. Among these H. pylori strains, H. pylori 52 was the most sensitive, having the largest inhibition zone (19 mm), followed by J99, SSI, and 51. The zone of inhibition due to WGE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dosage. The cytotoxicity of WGE toward the human cancer cell lines A-549 (human lung carcinoma), HEC-1-B (human endometrial adenocarcinoma), HeLa (human uterin adenocarcinoma), and SW-156 (human kidney carcinoma) was measured using the 3-(4,5-dimethylthizol-2-yl)-2,5-diphenylate-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WGE exhibited an inhibitory effect on cell growth at 2.0 mg/mL for all tumor cell lines. An analysis of anti-inflammatory activity using the RAW 264.7 cell line showed that the inhibition of nitric oxide (NO) production increased as the WGE content increased.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potential of WGE to be used as a health-promoting subst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