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arterectomy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초

관상동맥 우회술 91례의 임상적 고찰 (The Clinical Analysis of 91 Cases of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 김학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8권5호
    • /
    • pp.453-463
    • /
    • 1995
  • During 42 month period 91 consecutive patient underwent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The mean age of these patient was 57 years [range from 28 to 78 years . There were 57 men and 34 women. The preoperative risk factors that include beyond the 50 % of total patients were male sex, obesity, hypo-high-density lipoproteinemia, smoking, hypercholesterolemia, hyper-low-density lipoproteinemia, hypertriglyceridemia and hypertension. Preoperatively 27 patients had stable angina pectoris and 39 patients of unstable angina pectoris. Twenty five patients had previous myocardial infarction history. The patterns of disease were 8 patients of single vessel involvement, 18 patients of double vessel involvement, 54 patients of triple vessel involvement and 11 patients of left main coronary artery disease. Fifty five patients were in Canadian Cardiovascular Society functional class III. Myocardial revascularization was performed under emergency conditions in 5 patients. Nine percent of patients had previous PTCA history. We performed 16 cases of sequential anastomosis, internal mammary artery harvest in 86 percent of total patients and total 284 distal anastomoses[mean 3.1 anastomosis per patient . The mean ACC time was 60.5 minutes and ECC time was mean 110 minutes. The combined surgeries were 16 cases of endarterectomy, 2 cases of LV aneurysmectomy, 1 case of Bentall operation, 1 case of repair of sinus of Valsalva, 1 case of ligation of coronary AV fistula and 1 case of excision of breast mass. The most common complication was wound infection[12 cases, 13 % . There was one hospital death due to postoperative respiratory failure and low output syndrome in patient with postinfarction VSD, LV aneurysm. Postoperative 88 patients were in Functional class I or II. The 99mTc-MIBI myocardial perfusion scan that used as evaluation of postoperative state was well correlated with patient`s symptoms instead of some disadvantages.

  • PDF

우총경동맥류의 수술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a Right Common Carotid Artery Aneurysm)

  • 민선경;황은구;장진순;김용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2호
    • /
    • pp.279-281
    • /
    • 2009
  • 38세 남자가 우측 경부의 약 $5{\times}6cm$ 크기의 박동성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종괴는 최근 2개월간 빠르게 커졌으며 간헐적인 경부 통증과 애성 등의 증상이 동반되었다.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하여 우측 총경동맥 분지부 직하방에 위치한 동맥류를 확인하였으며 그것은 내경동맥과 외경동맥을 압박하고 있었다. 내부 단락을 사용하여 뇌혈류를 유지한 상태에서 우내경동맥 일부 내막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동맥류를 절제하고 도관대치를 시행하였다. 수술 중 주위 신경조직의 손상은 없었으며 별다른 합병증 없이 회복하여 환자는 수술 후 7일에 퇴원하였다.

Clinical Outcomes of Thromboendarterectomy for Chronic Thromboembolic Pulmonary Hypertension: 12-Year Experience

  • Oh, Se Jin;Bok, Jin San;Hwang, Ho Young;Kim, Kyung-Hwan;Kim, Ki Bong;Ahn, Hyuk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6권1호
    • /
    • pp.41-48
    • /
    • 2013
  • Background: We present our 12-year experience of pulmonary thromboendarterectomy in patients with chronic thromboembolic pulmonary hypertension.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1999 and March 2011, 16 patients underwent pulmonary thromboendarterectomy. Eleven patients (69%) were classified as functional class III or IV based on the New York Heart Association (NYHA) classification. Seven patients had a history of inferior vena cava filter insertion, and 5 patients showed coagulation disorders. Pulmonary thromboendarterectomy was performed during total circulatory arrest with deep hypothermia in 14 patients. Results: In-hospital mortality and late death occurred in 2 patients (12.5%) and 1 patient (6.3%), respectively.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support was required in 4 patients who developed severe hypoxemia after surgery. Thirteen of the 14 survivors have been followed up for 54 months (range, 2 to 141 months). The pulmonary arterial systolic pressure and cardiothoracic ratio on chest radiograph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surgery ($76{\pm}26$ mmHg vs. $41{\pm}17$ mmHg, p=0.001; $55%{\pm}8%$ vs. $48%{\pm}3%$, p=0.003). Tricuspid regurgitation was reduced from $2.1{\pm}1.1$ to $0.7{\pm}0.6$ (p=0.007), and the NYHA functional class was also improved to I or II in 13 patients (81%). These symptomatic and hemodynamic improvements maintained during the late follow-up period. Conclusion: Pulmonary thromboendarterectomy for chronic thromboembolic pulmonary hypertension shows good clinical outcomes with acceptable early and long term mortality.

폐동맥에서 발생한 육종 - 1례보고 - (Pulmonary Artery Sarcoma - One Case Report -)

  • 김형렬;김경환;안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9호
    • /
    • pp.692-696
    • /
    • 2002
  • 폐동맥에서 발생하는 육종은 드문 질환으로서 예후도 좋지 않다고 알려져 있다. 임상적인 의심이 조기치료에 가장 중요하다. 환자의 증상은 대부분 폐동맥색전증과 유사하며, 우심부전으로 인한 증상이 진행하기 때문에 수술적 치료가 거의 모든 예에서 필요하다 보조적 항암치료나 방사선 치료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보조적 치료를 시행하였을 경우 생존률을 높일 수 있다는 보고가 많다. 본 증례에서는 42세 남자환자가 흉통을 주소로 내원하였으며 컴퓨터 단층촬영과 혈관조영술에서 우폐동맥의 종괴를 발견하였다. 수술 소견에서 우폐동맥뿐만이 아니라 좌폐동맥 내막에도 종양의 침범이 확인되어 완전절제는 불가능하였다. 환자가 항암치료를 거부하여 술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술후 6개월까지 잔존하는 종괴의 크기는 커지지 않았다. 술후 15개월에 시행한 컴퓨터 단층촬영에서 잔존하던 종괴의 크기가 커졌으며, 좌폐에도 전이로 의심되는 병변이 발견되어 항암치료를 시행하였으나 술후 24개월에는 늑골에 골전이가 발견되었다. 환자는 다시 항암치료를 받을 예정이다.

완전순환정지를 이용한 폐동맥색전증의 수술 치험 1례 (Pulmonary Thromboendarterectomy Under Total Circulatory Arrest)

  • 김창영;강창현;안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9호
    • /
    • pp.684-687
    • /
    • 2002
  • 만성 색전성 폐동맥 고혈압의 치료는 폐이식을 제외하면 폐동맥 색전제거술이 유일하지만, 수술 사망률이 6.6∼23%로 높게 보고되고 있다. 수술을 시행하기 전에 수술의 적응이 되는 환자인지를 판단하고, 수술을 시행할 때 전체 폐동맥 분지에 대해 충분히 색전을 제거하는 것이 수술의 성공적인 시행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본원에서는 만성 폐동맥 색전증의 수술적 치료시 완전순환정지를 적용하여 좋은 수술 시야를 확보함으로써 각 구역 폐동맥수준까지 혈전을 제거하는 것이 유용한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술 후 합병증이 없이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었음을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슬와동맥 포착증후군 - 1예 보고 - (Popliteal Artery Entrapment Syndrome - A case report -)

  • 김덕실;김성완;김병기;이헌재;이건;임창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5호
    • /
    • pp.653-656
    • /
    • 2009
  • 슬와동맥 포착증후군은 젊은 성인 남자에서 생길 수 있는 하지 허혈증의 드문 한가지 원인이다. 슬와동맥이 막히거나 동맥류성 변화를 발생시키는 이 질병의 원인은 슬와의 혈관과 주변 근육 및 인대구조간의 비정상적인 해부학적 관계에 있다. 18세 남자가 우측 종아리의 파행을 주소로 내원하였으며, 수술 전 삼차원 컴퓨터단층촬영 혈관조영술상 우측 슬와동맥이 폐쇄된 소견을 보였다. 수술 소견에서 슬와동맥은 비복근의 내측두에서 나오는 부속 근육 밴드에 의해 눌려있었다. 근육밴드 절제후 혈전 제거술 및 내막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3년이 지난 현재 환자는 아무 문제없이 지내고 있다.

자기공명혈관조영술로 진단된 제2형 전환추동맥(Proatlantal Artery): 증례 보고 (Persistent Proatlantal Artery in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A Case Report)

  • 전성우;장혁원;김미정;조지형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7권1호
    • /
    • pp.55-58
    • /
    • 2013
  • 전환추동맥은 드물게 보고된 태생기 경-기저동맥문합 잔류동맥의 하나이다. 태생 3주경에 발생하는 경-기저동맥문합은 삼차동맥, 귀동맥, 설하동맥, 그리고 전환추동맥으로 이루어지며, 정상인에서는 태생 6주경 전환추동맥을 마지막으로 모두 퇴화된다. 일반적으로 전환추동맥은 주로 내경동맥에서 기원하며 경추 가로돌기구멍을 통과하지 않는 제1형과, 외경동맥에서 기원하여 첫째 경추 가로돌기구멍을 통과하는 제2형으로 나뉘며, 임상적인 증상을 일으키는 경우는 드물다. 그러나 비교적 잘 동반되는 척추동맥의 무형성을 포함한 두개강내 동맥기형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경동맥 내막 절제술 및 외경동맥 색전술 등의 시술시 의의가 있어 심도 있는 이해가 필요하다. 이에 저자들은 자기공명혈관조영술로 진단된 제2형 전환추동맥 증례보고와 문헌고찰을 하고자 한다.

혈관수술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Experience with Vascular Surgery)

  • 김현경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5권12호
    • /
    • pp.1570-1577
    • /
    • 1992
  • The vascular surgery is the field that has developed in early 20 century and is progressing nowadays. Recent advance in surgical technique accompanying with excellent medical diagnosis and treatment, prompt angiographic usage, development of variable prosthetic material, and concomitant use of anti-coagulant have made remarkable results of vascular surgery. 83 cases of vascular surgery have been performed at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Department of Pusan National Unversity Hosaital since 1971 till 1990, for 20 years and their results are followed. Patient ductus arteriosus and Buerger`s disease were omited in this study. 1. The age distribution shows that the fifth and sixth decades are most frequently affected and mean age was 56.1 years old. Male to female ratio is 1: 2.32. 2. Among the 83 cases of all, number of occlusive vascular disease is 46 and that of aneurysmal disease is 33. 3. In clinical manifestation, most common symptom of occlusive disease is pulselessness and pain was next. Mass sensation is most commonly complained by patients of aneurysmal disease. 4. CT scan was more important in diagnosis of aneurysmal diseases and angiogram was more commonly used in occlusive diseases. 5. The common site of arterial occlusion was common iliac artery, femoral artery, aortic bifurcation, and external iliac artery, as its frequency rate. The most commonly affecting portion of aortic aneurysm was abdminal aorta, and descending thoracic aorta and femoral artery were next 6. Preoperative associated diseases were atherosclerosis[41 cases], hypertension[21 cases], valvular heart disease[11 cases], and diabetes mellitus[9 cases], etc, 7. Operative methods in ocllusive diseases were thrombectomy[36.9%], endarterectomy [10.9%], and bypass graft insertion[52.7%]. Among the bypass graft, Y-graft was used in 7 case, straight graft was used in 17 cases, and saphenous venous graft was used in 2 cases. 8.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developed in 17 cases, and morbidity rate was 36. 9. Eleven patient were died within 1 month after operation, so operative mortality rate was 13.3%. 10. Duration of patency was beteween 7 and 58 months[average 27.5 months] in occlusive diseases and their 5-year patency rate was 56.3%. Duration of patency of aneurysmal disease was 20 months in aveage and their 5-year patency rate was 51.3%. 11. Patients of eleven cases of occlusive disease and two cases of aneurysmal disease required reoperation for variable reason. 12. 35 cases of patient have used anticoagulants: coumadin, ticlid, and persanthin-ASA combination.

  • PDF

관상동맥 우회로 이식술후의 심근경색 -심전도에 의한 진단 및 위험인자 분석- (Perioperative Myocardial Infarction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 Detection by serial electrocardiograms and analysis of risk factors -)

  • 김성완;이응배;서강석;전상훈;장봉현;이종태;김규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호
    • /
    • pp.7-12
    • /
    • 1998
  • 1994년 1월부터 1996년 7월까지 관상동맥 우회로 이식술을 받았던 87명을 대상으로 수술후 심근경색의 진단에 있어서 심전도 검사의 가치를 평가해 보았고 심전도에 의해 진단된 심근경색의 위험인자에 대해 조사하였다. CK-MB 최고치의 평균과 LDH1/LDH2의 비가 1이상인 경우의 빈도는 new Q파군, ST변화군 및 심전도상 변화가 없는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심전도상 new Q파 또는 48시간이상 지속되는 ST절 변화가 있을 때 심근경색으로 진단하였다. 병원 사망률은 3.3%이며, 술후 심근경색 발생률은 17.2%였다. 술후 심근경색의 중요한 위험인자들은 1) 관상동맥 내막절제술, 2) 좌심실 박출계수의 저하(ejection fraction 40%이하), 3) 대동맥 차단시간의 연장이었고, 좌주관상동맥 질환, 3혈관 질환, 이식혈관이 3개이상인 경우, 불안정형협심증 및 고혈압 등은 술후 심근경색 발생과 연관성이 없었다. 이상에서 관상동맥 우회로 이식술후에 발생하는 심근경색의 진단에 심전도 검사는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PDF

경동맥 내막 절제술을 이용한 경동맥 협착증 치료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esxperiences of Carotid Endarterectomy for Carotid Stenosis)

  • 최인석;박주철;정경천;장대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12호
    • /
    • pp.1087-1092
    • /
    • 1999
  • 배경 :경동맥 내막 절제술의 목적은 뇌졸중 예방에 있다. 경동맥 내막 절제술시 경동맥 혈류를 차단하였을 때 뇌허혈 상태를 초래하는지 가 가장 중요한 문제이다. 경동맥 혈류 역류압은 뇌내 측부혈류 상태를 반영하므로 경동맥 혈류 차단시 역류압과 뇌파검사 소견에 딸라 shunt 삽입여부 기준을 알아보려고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6년 2월부터 1999년 3월까지 경동맥 내막 절제술을 시행받은 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14명있고 여자가 2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66.35$\pm$6.53이었다 수술부위 경동맥 협착은 평균 73.8$\pm$12.33%였고 반대측 경동맥 협착은 평균 60.99$\pm$23.03%였다. 수술중 모든 환자에서 뇌파감시를 하였으며 경동맥 혈류압을 측정하여 40 mmHg 이하이거나 수술반대측 경동맥 완전폐색이 있는 경우 shunt를 삽입하였다 결과 : 술후 1례에서 사망이 있었는데 이 환자는 전, 중 뇌내동맥 영역에 큰 뇌경색이 있으며 동측에 심한 경동맥 협착이 있고 의식은 기면 상태여서 바로 응급수술을 하였다 수술시경동맥 혈류 역류압은 35mmHg 여서 shunt를 사용하였다 술후 1일째 의식이 혼수상태로 나빠져 뇌 단층촬영한 결과 뇌경색 부위에 출혈이 발생하여 사망하였다. 수술 직후 모든 환자에서 뇌허혈에 따른 합병증 및 사망은 없었고 1례에서 수술후 1일째 수술부위 반대편에 적은 뇌경색이 발생하였다 평균 21.5$\pm$11.85개우러의 외래 추적 검사에서 뇌졸중 재발이 없었다. 결론 : 뇌졸중이환후 경동맥 내막 절제술은 최소 4-6주 이상 안정화 시킨 다음 수술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된다 경동맥 내막 절제술은 뇌졸중 예방에 효과적인 치료방법이며 경동맥 혈류역류압이 40mmHg 이하일 경우 shunt를 설치하여 수술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