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arterectomy, Carotid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5초

Vasa Vasorum Densities in Human Carotid Atherosclerosis Is Associated with Plaque Development and Vulnerability

  • Joo, Sung-Pil;Lee, Seung-Won;Cho, Yong-Hwan;Kim, You-Sub;Seo, Bo-Ra;Kim, Hyung-Seok;Kim, Tae-Su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3권2호
    • /
    • pp.178-187
    • /
    • 2020
  • Objective : The extensive vasa vasorum network functions as a conduit for the entry of inflammatory cells or factors that promote the progression of angiogenesis and plaque formation.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arotid vasa vasorum activities and carotid plaque vulnerability using indocyanine green video angiography (ICG-VA) during carotid endarterectomy (CEA). Methods : Sixty-nine patients who underwent CEA were enrolled prospectively from September 2015 to December 2017. During CEA, a bolus of ICG was injected intravenously before and after resecting the atheroma. Additionally, we performed immunohistochemistry using CD68 (a surface marker of macrophages), CD117 (a surface marker of mast cells), and CD4 and CD8 (surface markers of T-cells) antibodies to analyze the resected plaque specimens. Results : The density of active vasa vasorum was observed in all patients using ICG-VA. The vasa vasorum externa (VVE) and interna (VVI) were seen in 11 (16%) and 57 patients (82.6%), respectively. Macroscopically, the VVE-type patterns were strongly associated with preoperative angiographic instability (81.8%, p=0.005) and carotid plaque vulnerability (90.9%, p=0.017). In contrast, the VVI-type patterns were weakly associated with angiographic instability (31.6%) and plaque vulnerability (49.1%). CD68-stained macrophages and CD117-stained mast cells were observed more frequently in unstable plaques than in stable plaques (p<0.0001, p=0.002, respectively). Conclusion : The early appearance of VVE, along with the presence of many microvessel channels that provided nutrients to the developing and expanding atheroma during ICG-VA,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unstable carotid plaques. The degree of infiltration of macrophages and mast cells is possibly related to the formation of unstable plaques.

허혈성뇌졸중의 수술치료시 동반되는 합병증과 관리 (Surgical Complication and Its Management in Ischemic Stroke)

  • 김달수;유도성;허필우;조경석;강준기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8호
    • /
    • pp.1107-1112
    • /
    • 2000
  • Recently various operative procedures including microsurgery or endovascular surgery have been increasing for the management of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s. Carotid endarterectomy(CEA), extracranial-intracranial(EC-IC) arterial bypass, embolectomy, decompressive craniectomy, arterial transposition, intravascular thrombolysis, and percutaneous transarterial angioplasty and stenting (PTAS) are available surgical modalities for ischemic stroke. This article focuses the complications and perioperative management of patients treated with CEA and carotid PTAS among various surgical managements for ischemic stroke.

  • PDF

우총경동맥류의 수술적 치료 (Surgical Treatment of a Right Common Carotid Artery Aneurysm)

  • 민선경;황은구;장진순;김용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2호
    • /
    • pp.279-281
    • /
    • 2009
  • 38세 남자가 우측 경부의 약 $5{\times}6cm$ 크기의 박동성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종괴는 최근 2개월간 빠르게 커졌으며 간헐적인 경부 통증과 애성 등의 증상이 동반되었다.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하여 우측 총경동맥 분지부 직하방에 위치한 동맥류를 확인하였으며 그것은 내경동맥과 외경동맥을 압박하고 있었다. 내부 단락을 사용하여 뇌혈류를 유지한 상태에서 우내경동맥 일부 내막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동맥류를 절제하고 도관대치를 시행하였다. 수술 중 주위 신경조직의 손상은 없었으며 별다른 합병증 없이 회복하여 환자는 수술 후 7일에 퇴원하였다.

Carotid Intraplaque Hemorrhage Imaging: Diagnostic Value of High Signal Intensity Time-of-Flight MR Angiography Compared with Magnetization-Prepared Rapid Acquisition with Gradient-Echo Sequencing

  • Ahn, Ji-eun;Kwak, Hyo Sung;Chung, Gyung Ho;Hwang, Seung Bae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22권2호
    • /
    • pp.94-101
    • /
    • 2018
  • Purpose: To determine the value of the appearance of the high signal intensity halo sign for detecting carotid intraplaque hemorrhage (IPH) on maximum intensity projection (MIP) of time-of-flight (TOF) MR angiography (MRA), based on high signal intensity on magnetization-prepared rapid acquisition with gradient-echo (MPRAGE) sequencing.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78 carotid arteries in 65 patients with magnetization-prepared rapid acquisition gradient-echo (MPRAGE) positive on carotid plaque MR imaging were included in this study. High-resolution MR imaging was performed on a 3.0-T scanner prior to carotid endarterectomy or carotid artery stenting. Fast spin-echo T1- and T2-weighted axial imaging, TOF, and MPRAGE sequences were obtained. Carotid plaques with high signal intensity on MPRAGE > 200% that of adjacent muscle on at least two consecutive slices were defined as showing IPH. Halo sign of high signal intensity around the carotid artery was found on MIP from TOF MRA. Continuous and categorical variables were compared among groups using the Mann-Whitney test and Fisher's exact tests. Results: Of these 78 carotid arteries, 53 appeared as a halo sign on the TOF MRA. The total IPH volume of patients with a positive halo sig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patients without a halo sign ($75.0{\pm}86.8$ vs. $16.3{\pm}18.2$, P = 0.001). The maximum IPH axial wall area in patients with a positive halo sig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patients without a halo sign ($11.3{\pm}9.9$ vs. $3.7{\pm}3.6$, P = 0.000). Conclusion: High signal intensity halo of IPH on MIP of TOF MRA is associated with total volume and maximal axial wall area of IPH.

자기공명혈관조영술로 진단된 제2형 전환추동맥(Proatlantal Artery): 증례 보고 (Persistent Proatlantal Artery in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A Case Report)

  • 전성우;장혁원;김미정;조지형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7권1호
    • /
    • pp.55-58
    • /
    • 2013
  • 전환추동맥은 드물게 보고된 태생기 경-기저동맥문합 잔류동맥의 하나이다. 태생 3주경에 발생하는 경-기저동맥문합은 삼차동맥, 귀동맥, 설하동맥, 그리고 전환추동맥으로 이루어지며, 정상인에서는 태생 6주경 전환추동맥을 마지막으로 모두 퇴화된다. 일반적으로 전환추동맥은 주로 내경동맥에서 기원하며 경추 가로돌기구멍을 통과하지 않는 제1형과, 외경동맥에서 기원하여 첫째 경추 가로돌기구멍을 통과하는 제2형으로 나뉘며, 임상적인 증상을 일으키는 경우는 드물다. 그러나 비교적 잘 동반되는 척추동맥의 무형성을 포함한 두개강내 동맥기형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경동맥 내막 절제술 및 외경동맥 색전술 등의 시술시 의의가 있어 심도 있는 이해가 필요하다. 이에 저자들은 자기공명혈관조영술로 진단된 제2형 전환추동맥 증례보고와 문헌고찰을 하고자 한다.

뇌과관류증후군에서 보일 수 있는 정맥울혈 1례 (Venous Congestion in Cerebral Hyperperfusion Syndrome: A Case Report)

  • 봉정빈;강현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84-87
    • /
    • 2017
  • 뇌과관류증후군은 경동맥 스텐트 삽입술 또는 내막 절제술 시행 시 발생할 수 있는 드문 합병증으로 대사 요구량보다 관류가 더 많은 상태를 유발하는 다양한 기전에 의해 발생한다. 주 임상 증상은 편측성 두통, 고혈압, 발작 및 국소 신경계 결손이 있으며, 심한 경우 지주막하 출혈 및 뇌실질 출혈로 영구적 장애 또는 사망까지 유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뇌과관류증후군은 두개경유도플러, 관류 뇌자기공명영상 및 단일광자방출컴퓨터단층촬영으로 진단할 수 있다. 저자들의 연구에서는 내경동맥 스텐트 이후 확인한 혈관조영술에서 의미있는 정맥울혈 증상을 보여 뇌과관류증후군을 진단할 수 있었다. 환자는 증상성 양쪽 내경동맥 협착을 보이고 있었고, 협착으로 인해 곁순환 동맥들이 잘 발달하게 되었다. 이렇게 곁순환 동맥이 잘 발달된 상태에서 환자에게 내경동맥 스텐트를 삽입한 이후 대뇌 혈류량이 증가되며 혈류의 방향이 바뀌어 정맥 울혈이 생길 수 있으며, 경동맥 스텐트 삽입술 또는 내막 절제술 시행 이후 정맥울혈이 보일 시 뇌과관류증후군을 예측할 수 있다. 이 연구는 내경동맥 스텐트 삽입 후 바로 시행하는 혈관 조영술을 통해서 뇌과관류증후군을 확진할 수 있음을 보여준 1례의 보고이다.

Detection of Enterovirus, Cytomegalovirus, and Chlamydia pneumoniae in Atheromas

  • Kwon Tae Won;Kim Do Kyun;Ye Jeong Sook;Lee Won Joo;Moon Mi Sun;Joo Chul Hyun;Lee Heuiran;Kim Yoo Kyum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2권4호
    • /
    • pp.299-304
    • /
    • 2004
  • To investigate the presence of infectious agents in human atherosclerotic arterial tissues. Atherosclerotic plaques were removed from 128 patients undergoing carotid endarterectomy or other bypass proce­dures for occlusive disease, and from twenty normal arterial wall samples, obtained from transplant donors with no history of diabetes, hypertension, smoking, or hyperlipidemia. Using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or reverse transcription-PCR, these samples were analyzed for the presence of Chlamydia pneumoniae, cytomegalovirus, enterovirus, adenovirus, herpes simplex viruses types 1 and 2, and Epstein-Barr virus. The amplicons were then sequenced, and phylogenetic analyses were per­formed. Enteroviral RNA was found in 22 of 128 atherosclerotic vascular lesions $(17.2\%),$ and C. pneu­moniae and cytomegalovirus were each found in 2 samples $(1.6\%).$ In contrast, adenovirus, herpes simplex viruses, and Epstein-Barr virus were not identified in any of the atherosclerotic samples. Enterovirus was detected in 6/24 $(25.0\%)$ aortas, 7/33 $(21.2\%)$ carotid arteries, 6/40 $(15.0\%)$ femoral arteries, and 3/31 $(9.7\%)$ radial arteries of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There were no infectious agents detected in any of the control specimens. Using phylogenetic analysis, the enterovirus isolates were clustered into 3 groups, arranged as echovirus 9 and coxsackieviruses Bl and B3. Enteroviral RNA was detected in $17.2\%$ of atherosclerotic plaques, but was not observed in any of the control spec­imens. This suggests a connection between enteroviral infection and atherosclerosis. These findings dif­fer from those of other studies, which found more frequent incidence of C. pneumoniae and cytomegalovirus infection in atherosclerotic plaques.

경동맥 내막 절제술을 이용한 경동맥 협착증 치료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esxperiences of Carotid Endarterectomy for Carotid Stenosis)

  • 최인석;박주철;정경천;장대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12호
    • /
    • pp.1087-1092
    • /
    • 1999
  • 배경 :경동맥 내막 절제술의 목적은 뇌졸중 예방에 있다. 경동맥 내막 절제술시 경동맥 혈류를 차단하였을 때 뇌허혈 상태를 초래하는지 가 가장 중요한 문제이다. 경동맥 혈류 역류압은 뇌내 측부혈류 상태를 반영하므로 경동맥 혈류 차단시 역류압과 뇌파검사 소견에 딸라 shunt 삽입여부 기준을 알아보려고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6년 2월부터 1999년 3월까지 경동맥 내막 절제술을 시행받은 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14명있고 여자가 2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66.35$\pm$6.53이었다 수술부위 경동맥 협착은 평균 73.8$\pm$12.33%였고 반대측 경동맥 협착은 평균 60.99$\pm$23.03%였다. 수술중 모든 환자에서 뇌파감시를 하였으며 경동맥 혈류압을 측정하여 40 mmHg 이하이거나 수술반대측 경동맥 완전폐색이 있는 경우 shunt를 삽입하였다 결과 : 술후 1례에서 사망이 있었는데 이 환자는 전, 중 뇌내동맥 영역에 큰 뇌경색이 있으며 동측에 심한 경동맥 협착이 있고 의식은 기면 상태여서 바로 응급수술을 하였다 수술시경동맥 혈류 역류압은 35mmHg 여서 shunt를 사용하였다 술후 1일째 의식이 혼수상태로 나빠져 뇌 단층촬영한 결과 뇌경색 부위에 출혈이 발생하여 사망하였다. 수술 직후 모든 환자에서 뇌허혈에 따른 합병증 및 사망은 없었고 1례에서 수술후 1일째 수술부위 반대편에 적은 뇌경색이 발생하였다 평균 21.5$\pm$11.85개우러의 외래 추적 검사에서 뇌졸중 재발이 없었다. 결론 : 뇌졸중이환후 경동맥 내막 절제술은 최소 4-6주 이상 안정화 시킨 다음 수술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된다 경동맥 내막 절제술은 뇌졸중 예방에 효과적인 치료방법이며 경동맥 혈류역류압이 40mmHg 이하일 경우 shunt를 설치하여 수술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사료된다.

  • PDF

관상동맥우회술 후 발생한 뇌혈관계 합병증 (Cerebrovascular Complications after Coronary Bypass Surgery.)

  • 진웅;김영두;윤정섭;김치경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11호
    • /
    • pp.869-875
    • /
    • 2000
  • 배경: 뇌혈관계 합병증은 관상동백우회술 후 발생하는 사망률 중 10% 이상을 차지하는 치명적인 질환이다. 최근들어 고령 환자, 고혈압, 당뇨병 등이 병발하고 고 위험군에 대한 수술이 증가하면서 뇌혈관계 합병증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관상동맥우회술을 받은 환자의 의무기록을 조사하여 관상동맥우회술 후 발생되는 뇌혈관계 질환의 위험 인자를 밝히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1년 3월부터 1999년 7월 사이에 관상동맥우회술을 받은 185명을 조사하여, 뇌혈관계 합병증의 위험 인자들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결과: 뇌혈관계 합병증의 유병율은 7.57%(14명)였으며 이중 5예는 사망하였다. 동 기간 중 전체 사망은 11예이므로 사망자의 45.5%가 뇌혈관계 합병증으로 사망한 것이다. 통계적의의가 있는 뇌혈관계 합병증 위험 인자로는 수술 후 부정맥(p=0.0064), 기왕의 뇌혈관계 병력(p=0.0090), 체외순환시간(p=0.0181), 대동맥의 동맥경화(p=0.03575) 및 당뇨병(p=0.0452) 등이었다. 경동맥협착이 동반되어 경동맥 혈관내막 절제술(carotid endarterectomy)을 동시에 시술한 경우는 2예였으나, 뇌혈관계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75세 이상의 고령환자는 3명이었으며 모두 뇌혈관계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관상동맥우회술 후 발생하는 뇌혈관계 질환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위험요인은 수술 후 부정맥, 뇌혈관이상의 기왕력, 체외순환시간, 대동맥궁의 동맥경화, 당뇨 등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