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angered

검색결과 1,158건 처리시간 0.026초

Observations of the Mating Behavior and Larvae Habitat of Polyphylla laticollis manchurica in the Republic of Korea (Coleoptera: Scarabaeidae: Melolonthinae)

  • Jaeha Lee;Sang-Bong Son;Sang Woo Jung;Yoon-Ho Kim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4권3호
    • /
    • pp.131-133
    • /
    • 2023
  • Polyphylla laticollis manchurica Semenov, 1900, is a critically endangered species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is strictly protected as a Class I endangered species. Although this beetle species faces a threat of extinction, its ecological understanding is limited. Previous studies conducted on this species in the Republic of Korea have focused only on its taxonomy and mitochondrial genome sequences. Herein, we report an observation of the mating of adults of P. l. manchurica in June 2021, during an ongoing study on Korean beetles. This incidence was reported around light sources from newly constructed townhouses near Geumgang River. Larval habitats were observed along the river between April 2022 and March 2023. Particularly, two larvae were found inside the plant debris, and three were found under the roots of reeds. This study provides key information on the mating ecology of P. l. manchurica that can assist conservation efforts of this critically endangered species.

경기도 내 분포·서식 생물종에 대한 주요 조사의 통합적 분석 및 함의 (Integrated Analysis of Major Surveys on Biota in Gyeonggi Province and its Implications)

  • 박은진;이응경;현진오;박미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93-108
    • /
    • 2014
  • The inventory list of wildlife species inhabiting or distributing in Gyeonggi Province was made by compiling species data from precedent surveys, 10 national level nature surveys, 1 survey that Gyeonggi-do conducted, and 46 local surveys presented in scientific journals. Total 2,913 wildlife species including 2,041 vascular plants, 39 mammals, 304 birds, 34 herptiles, 145 fish, and 350 benthic macro-invertebrates were listed in the inventory. It explains 47% of nationwide total species in vascular plants, 31.5% in mammals, 58.2% in birds, 65.4% in herptiles, 12.2% in fish. The total number of important species including endangered species, national monuments, national red lists, etc. was 628 species, accounting for 21.6% of all listed species in Gyeonggi Province. More than 90% of endangered bird species, almost half of endangered fish and herptile species were found in Gyeonggi Province. In particular, abundant bird diversity and inhabitation of many endangered bird species were identified in Gyeonggi Province. Species diversity was greater in the northern area adjacent to the Demilitarized Zone and the eastern forest area. The distribution of the important species such as national endangered species was more distinct in these areas, especially in Gapyeong and Yeoncheon Counties. The inventory list compiled in this study implicates the level of management for biological resources and can provide information for policy decisions regarding new survey sites, protection management of specific species and areas, management practices by spatial characteristics. It should be more compiled and updated with survey data to be utilized as basic indices for local biodiversity strategies and management of biological resources.

우리나라의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평가기준 선정의 필요성 (The Neccesity of Evaluation Criteria Selections for Korean Rare and Endangered Plant Species)

  • 김용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0
    • /
    • 1994
  • 본 논문에서는 현행 우리나라의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의 평가에 관한 몇 가지 문제점을 살피고, 이러한 문제점의 제시와 함께, 최근 I. U. C. N. 의 S. S. C. 에서 시안을 작성 중인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에 대한 새로운 분류안에 대한 내용을 소개하였다. 본 시안에 의하면 멸종종, 자생지 멸종종. 멸종위기종, 위기종, 취약종, 민감종, 안전/저위험종, 자료 불충분종 및 미평가종 등 모두 9개 분류군으로 구분되어 있다. 본 시안이 더욱 다듬어지고 공식화되기 위해서는 앞으로 얼마간의 기간이 소요되리라 판단되며, 이 같은 움직임을 염두에 두고, 앞으로 우리나라의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인 평가기준의 작성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믿는다. 아울러 새로이 도입된 몇 가지 용어의 우리말 번역에 대해서도 앞으로 충분한 검토를 거친 후에 통일을 기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Possible Application of Animal Reproductive Researches to the Restoration of Endangered and/or Extinct Wild Animals - Review -

  • Fujihara, N.;Xi, Y.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7호
    • /
    • pp.1026-1034
    • /
    • 2000
  • As described here, most recently developed methods for improving reproduction performance of domesticated animals such as cattle, swine and chicken have been considered to be also usable for restoring some sorts of endangered and/or extinct wild animals in the very near future. Especially, the techniques for in vitro storage of gametes obtained from dead animals shortly after the death, probably 24 h following the sacrifice are also available for obtaining some of experimental specimens. In case of the endangered animals, nobody will be allowed to use any tissues from the living animals, therefore, e.g., the use of skin tissues from these bodies is another possibility of restoring the living animals. Regarding the use of skin tissues, the most highly usable tools must be the cloning techniques for reviving rare cells from the living body. Most possible techniques for cloning cells is nuclear transfer from rare species to highly relative species, and this is the case of germ cells, e.g., primordial germ cells (PGCs) of avian species. One of the possibilities is the nuclear transfer of Crested Ibis (Nipponia nippon) to the PGCs of chicken, resulting in the PGCs with transferred nucleus from the ibis. In mammalian species, the same procedure as in the case of birds would be successful, e.g., the removed nucleus from Giant Pandas will be transferred to the cell, such as somatic cells or germ cells from black bears or lesser pandas, leading to the production of transnucleared cells in the body of female black bears. These two cases are most promising techniques for reviving endangered animals in the world, particularly in Asian countries, mainly in China. As a conclusion, possible production of cloned animals carrying transnucleared cells from endangered animals, such as Giant Pandas and Crested Ibis, may be reproduced gradually in the near future. Scientists are, therefore, required to convert the paradigm from domestic animals to wild animals, including endangered and/or extinct animals on the earth.

금개구리 서식지 적합성 지수(HSI)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A Basic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Habitat Suitability Index Model of Pelophylax chosenicus)

  • 심윤진;김선령;윤광배;정진우;박선욱;박용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9-62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basic study to develop the HSI(Habitat Suitability Index) model of Pelophylax chosenicus based on the research on the ecological and habitat status of Pelophylax chosenicus and the literature research on the HSI model. The habitat variables of Pelophylax chosenicus are the altitude of the spawning pond, the habitat area, the distance from wetland, the soil(aptitude grade for paddy field), the place for eating such as paddy field and wetlands(land cover) and the distance from Predator(Lithobates catesbeianus) distribution area.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 of Pelophylax chosenicus, the results of field surveys and expert opinions, the SI(Suitability Index) model and HSI model were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site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HSI model. As a result of application, SI 4 and SI 5 with varying SI values seem to have a major influence on the HSI.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HSI model is an arithmetic mean of SI models, which has a major impact on HSI. The HSI model can be an important basis for the habitat evaluation and restoration model of Pelophylax chosenicus. In particular, it is highly applicable to the selection and evaluation of alternative habitats for Pelophylax chosenicus.

나도승마(Kirengeshoma koreana Nakai) 생태정보 수집 및 서식지 평가 (Ecological Data Collection and Habitat Assessment of Kirengeshoma koreana Nakai)

  • 장래하;김선령;도재화;윤영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221-234
    • /
    • 202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habitat assessment system for the endangered wildlife II Kirengeshoma koreana Nakai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based on field survey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rough spatial data analysis and literature research. Evaluation factors were selecte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of 31 variables for 23 K. koreana habitats. Afterwards, the importance and evaluation range for each assessment factor were selected. The selection of survey variables, assessment factors, importance of each factor and assessment range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s at each stage. As a result, the assessment factors and importance were 16% for precipitation of the wettest month, 10% for vegetation zone, 12% for vegetation type, 10% for crown canopy vitality, 14% for tree layer coverage, 13% for drainage grade, 12% for soil depth, and 13% for distance to stream including dry stream. This study provides basic ecological information and a habitat assessment system for K. koreana habitats. Therefore, it can be used as primary data for preparing an endangered wildlife conservation policy, preparing a habitat improvement plan, and selecting an alternative habitat.

금강 대권역 대표 멸종위기 담수어류의 분포 특성 및 이화학적 수질-하천 생태건강도와의 관계분석 (Distributions of Endangered Fish Species and Their Relations to Chemical Water Quality-Ecological Stream Health in Geum-River Watershed)

  • 이상재;안광국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986-99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금강 대권역에 서식하는 멸종위기 담수어류의 분포, 이들 종에 대한 화학적 지표와의 관계 및 물리적 서식지 특성을 분석하였다. 금강 대권역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종의 개체수는 감돌고기(Pseudopungtungia nigra), 꾸구리(Gobiobotia macrocephala), 돌상어(Gobiobotia brevibarba), 퉁사리(Liobagrus obesus), 미호종개(Iksookimia choii) 순으로 나타났다.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 어류인 감돌고기는 금강 대권역 내 18개 하천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분포하여, 향후 감돌고기의 I급 어종 선정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초강 중권역에서 멸종위기어종이 총 4종 384개체가 채집되어 종수 및 개체수가 풍부하였다. 멸종위기어종 서식지에서 이화학적 수질내성도 분석에 따르면,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 및 총인(TP)은 각각 매우 좋음(Ia), 좋음(Ib)으로 평가 되었으며. 암모니아성 질소($NH_{4+}$), 총질소(TN), 인산염 인($PO_{4^-}P$) 등의 수질 항목도 멸종위기종 비 출현지점에 비해 훨씬 양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미호종개의 경우 수질의 내성범위가 다른 어종에 비해서 광범위하게 나타나, 화학적 수질특성이 크게 악화되지 않을 경우 수질특성 보다는 미소서식처의 하상구조, 수리수문학적 특성 등의 물리적 서식지 조건이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멸종위기종의 분포는 1~3차의 소형하천보다 4~6차 대형하천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주로하천의 상류 및 중상류에 작은 무리를 이루며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멸종위기종 미출현지역과 출현지역의 생태건강도 다변수 평가모델 값은 각각 21.6 "보통상태(Fair)" 및 30.5 "양호상태(Good)"로 나타나 뚜렷한 차이를 보여, 생태건강도가 잘 유지된 곳에서 멸종위기종이 잘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요약해 보면, 감돌고기와 같은 어종의 멸종위기종 선정에 대한 재평가가 향후 필요하며, 수질오염 및 서식지교란이 가속화되고 있어 멸종위기종에 대한 체계적인 보호 및 관리가 필요하다.

우리나라 중동부지역에 분포하는 멸종위기야생식물 현황과 위험요인 평가 (The Status of Endangered Plants Distributed in the Middle Eastern Area of Korea and Evaluation of the Risk Factors)

  • 김영철;채현희;홍보람;오현경;이경화;이규송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91-307
    • /
    • 2016
  • 전 세계적인 그리고 국가적인 규모에서 멸종위기야생식물의 멸종위험 평가와 더불어 지역적인 규모에서의 멸종위험평가는 직접적인 보전활동의 계획과 실행에 있어 대단히 중요하다. 우리나라 중동부지역에는 34종의 멸종위기야생식물이 분포하였다. 각각의 종에 대해 분포지, 분포면적, 개체수 및 개체군의 소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에 따라 각각의 종이 소유하고 있는 생활사 특성을 포함한 10가지 평가항목을 바탕으로 위험요인을 평가하였다. 34종에 대한 위험요인 평가결과 첫째, 다수의 위험요인이 존재하고 심각한 훼손압력에 노출되어 있어 적극적이고 시급한 생육지 보전활동이 필요한 12종, 둘째, 소수의 직접적인 위험요인을 제거하는 것으로 개체군의 지속이 가능한 16종, 셋째, 비교적 넓은 분포지와 많은 개체수에 따라 소극적인 관리를 통해서도 개체군의 지속이 가능한 6종으로 구분되었다. 멸종위기야생식물에 있어 가장 큰 위험요인은 인구의 증가, 개발, 채취에 따른 생육지와 개체군의 소멸이었다. 또한 식생환경의 변화로 인한 적합한 생육지의 감소와 재정착의 기작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생태계 건강성의 상실이 또 다른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조사가 이루어진 지역에서 멸종위기야생식물의 분포지와 출현 빈도 및 중요도를 바탕으로 5개 권역별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각 권역의 특성에 따른 보전 전략을 제시하였다. 우리는 멸종위기야생식물의 멸종위험에 대한 평가는 분포현황정보 뿐만 아니라 종의 생활사 특성을 포함하는 평가방법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뿐만 아니라 개체군동태와 생태적 지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2011년 환경부 멸종위기종 등록절차 및 대상 멸종위기종 식물 목록 재고-과연 현재 국가 멸종위기종 관리가 최선의 방안인가? - (Critiques of 'The Endangered and Protected Wild Species List in Korea' Proposed by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and Listing Process - Is This the Best Process for the Current National Management of Endangered Wildlife and Plants in Korea? -)

  • 김휘;이병천;김용식;장진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1호
    • /
    • pp.7-19
    • /
    • 2012
  • 환경부는 2005년 야생동 식물법을 제정 공포후, 2011년 6월에 멸종위기야생동 식물 지정 해제 목록과 함께 지정관리 기준안을 발표하였다. 고등식물의 경우 64종중 멸종위기 I, II등급 유지 및 등급 변경종은 40종, 멸종 위기 해제종(안)은 19종, 해제예정종(안)은 5종, 신규지정종은 29종, 지정후보종은 3종으로 본 연구에서는 모두 96종을 IUCN의 적색목록의 범주와 평가기준 ver. 3.1에 의해 재평가를 함과 동시에, 환경부에서 제시한 멸종위기야생동식물 지정관리 기준 및 절차와 시스템의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변경된 환경부 목록의 40종의 평가 결과를 보면 남한을 경계로 한 평가로 인하여 전세계 수준의 평가인 IUCN 적색목록으로 등재될 개느삼, 미선나무, 한계령풀, 솜다리, 노랑무늬붓꽃, 히어리가 모두 환경부 목록에서 해제되었다. 추가 신규제정도 이와 유사하며 지정후보종인 섬국수 나무는 기존 연구에서 인가목조팝의 이명으로 보는 견해와, 비합법적으로 발표한 학명인 참골담초가 포함되어 문제의 소지가 있다. 환경부에서 제시하는 IUCN적색목록을 개선하였다는 내용은 IUCN 적색목록을 수정한 것이 아니라 평가 방법을 잘못 번역함과 동시에 적색목록의 범주를 단순히 참고하는 수준이다. 특히, 관련용어의 정의에 대한 오역과 이해를 못하고 번역해서 임의로 평가기준을 혼용하고 있어 평가 자체를 혼란과 왜곡으로 유도하는 결과물로 수용하기 어렵다. 환경부의 멸종위기종 목록을 개선하는 데에는 고유종에 대한 매우 좁은 종의 개념대신 주변 국가에서 넓은 개념으로 보는 분류학적 소견을 수용할 필요가 있으며, 남한이나 북한의 국토 개념의 평가가 아니라 최 소 한반도를 기준으로 전세계 수준의 평가를 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