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ulsification Stability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3초

나노에멀젼: 화장품을 위한 새로운 제형 (Nanoemulsions: a Novel Vehicle for Cosmetics)

  • 조완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21
    • /
    • 2011
  • 본 총설에서는 나노에멀젼을 제조하기 위한 다양한 유화방법과 나노에멀젼의 화장품 응용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나노에멀젼은 입경이 일반적으로 20 ~ 200 nm의 범위에 있으며 입자 분포도 좁은 영역을 보인다. 많은 논문에서 O/W 또는 W/O 나노에멀젼 제조에 있어서 고압을 이용한 분산 방법을 보고하고 있지만 유화과정 중에 일어나는 상전이에 기초한, 응축 또는 저 에너지 유화 방법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상 거동 연구 결과에 의하면 나노에멀젼의 입자 크기는 온도나 구성 성분에 의해 유도되는 전상점에서의 계면활성제 상 구조(이중 연속상 마이크로에멀젼 또는 라멜라 액정)에 의해서 지배된다. PIT 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나노에멀젼 연구에서 초기 상평형 상태가 단일상인지 다중상인지 관계없이 유화입자의 크기는 마이크로 에멀젼 이중 연속상에 오일이 완전히 가용화됨에 따른다는 것을 보여준다. 나노에멀젼의 안정성은 나노에멀젼의 입자 크기가 작 기 때문에 크리밍, 침전 또는 합일 현상보다 오스트왈드 라이퍼닝에 의해 지배된다. 나노에멀젼은 나노에멀젼 입자를 마이크로 리엑터로 활용하고 모노머를 이용하여 나노 입자를 제조하거나 화장품 등의 유효성분 전달 등에 이용되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화장품에의 응용에 초점을 맞췄다.

CCD-RSM을 이용한 알팔파 추출물인 천연계면활성제가 포함된 O/W 유화액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O/W Emulsion with Natural Surfactant Extracted from Medicago sativa L. using CCD-RSM)

  • 홍세흠;호우지아천;이승범
    • 공업화학
    • /
    • 제34권2호
    • /
    • pp.137-143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알팔파로부터 추출한 천연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중심합성설계모델(CCD-RSM)을 이용한 O/W 유화제조 공정의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95% 신뢰구간에서 최적화 결과의 통계학적 합리성을 확인하였다. CCD-RSM을 통하여 독립변수인 알팔파 추출물:Sugar ester S-370의 혼합비율(P), 계면활성제의 첨가량(W) 및 유화속도(R)가 반응치인 유화안정도지수(ESI), 평균입자크기(MDS) 및 점도(V)에 끼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O/W 유화제조공정의 최적조건을 산출하였다. 유화안정도지수, 평균입자크기 및 점도에 관한 회귀방정식으로부터 다중반응을 수행하여 3가지 반응치를 동시에 만족하는 최적 유화조건으로 알팔파 추출물:Sugar ester S-370의 혼합비율은 49.5 wt%, 계면활성제의 첨가량 9.1 wt%, 유화속도 6559.5 rpm으로 나타났으며 산출된 반응치의 응답값은 ESI는 89.9%, MDS는 1058.4 nm, V는 1522.5 cP로 산출되었다. 이를 실험으로 확인한 결과 ESI는 88.7%, MDS는 1026.4 nm, V는 1486.5 cP이었으며 평균 오차율은 2.3 (± 0.4)%이었다. 따라서 CCD-RSM을 실제 유화 제조에 적용하여 만족스러운 O/W 유화제조 공정조건을 얻을 수 있었다.

Oil in Water 에멀전에서 오일 입자 크기가 분산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il particle size on dispersion stability in oil in water emulsion)

  • 황보선애;추민철;문창권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33-139
    • /
    • 2017
  • In this paper, we proposed an emulsification method without using an emulsifier and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in fluids on dispersion stability. Surfactant-free oil in water emulsion was prepared with 1 % (w/w) of olive oil by using high speed agitation, high pressure and ultrasonic dispersion methods. The particle size, microscopic observation, and dispersion stability of each sample were evaluated and dispersion stability according to various dispersion methods was compared. As a result, the emulsion dispersed by the ultrasonic dispersion method showed the smallest particle size and uniform distribution of $0.07{\sim} 0.3{\mu}m$ and was the most stable in a 7 days stability evaluation. In the above experiment, four olive oil emulsions having different particle sizes were prepared using ultrasonic dispersion technology that was capable of producing stable emulsions. The dispersion stability of each samples with oil droplet sizes of (A) 0.1 to $0.5{\mu}m$, (B) 0.3 to $4{\mu}m$, (C) 1 to $10.5{\mu}m$ and (D) 2 to $120{\mu}m$, was observed for 7 day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bility and performance was studied. Emulsion (A) with particle size less than $0.5{\mu}m$ displayed the dispersion stability showing below 5 % change in a 7 days stability evaluation. In the case of (B), (C), and (D) that had larger particle than $0.5{\mu}m$, the changes of dispersion stability were 10 %, 13 % and 35 % respectively. From these results, it was proved that dispersion stability of emulsion with uniform particle size of $0.5{\mu}m$ or less was confirmed to be very stable.

닥나무 추출물이 함유된 Cosmeceuticals의 제조: 중심합성계획모델을 이용한 최적화 (Preparation of Cosmeceuticals Containing Broussonetia kazinoki Extracts: Optimization Using Central Composite Design Method)

  • 홍세흠;박보라;이승범
    • 공업화학
    • /
    • 제29권6호
    • /
    • pp.682-68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중심합성계획모델을 사용하여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cosmeceuticals 유화액의 안정성 조건을 설정하였다. 중심합성계획모델을 이용한 유화 최적화 조건으로 계량인자는 유화제와 유화안정제의 농도로, 반응치는 ESI와 PDI로 설정하였으며 ESI의 목표값은 60% 이상, PDI의 목표값은 최소값으로 하였다. 유화 최적화 결과 유화제와 유화안정제의 농도는 각각 3.73, 3.07 wt%이었으며, 이때 예상 반응치 ESI는 60%, PDI는 0.585로 산출되었다. 유화제와 유화안정제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제조한 유화액의 안정성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두 가지의 계량인자 중 ESI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유화제였으며, PDI에 대한 두 인자의 영향은 유사하게 나타났다. 중심합성계획모델의 실험조건으로 제조한 cosmeceuticals 유화액의 ESI는 적어도 약 45% 이상의 안정성을 보였으나 제조 후 4주 뒤에는 모두 분리되었다. 유화제의 농도가 3.72 wt% 이상일 때 ESI의 값은 60%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유화안정제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층 분리 속도는 감소하였다.

에멀젼 연료의 안정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f Stability of Emulsion Fuel)

  • 김문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1330-134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근해에서 선박유로 많이 사용되는 MDO(Marine Diesel Oil)를 물과 함께 혼합하고 여기에 유화제를 첨가하여 물이 10 ~ 20% 첨가된 에멀젼 연료를 만들었다. 그리고, 이 에멀젼 연료의 분산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에멀젼 연료의 분산 안정성은 30℃, 45℃, 60℃에서 10일간 평가하였다. 에멀젼 연료의 안정성은 MDO-10 > MDO-13 > MDO-16 > MDO-20 순서로 물 함량이 적은 순으로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제조된 에멀젼 연료가 실제로 엔진에서 사용 가능한지를 엔진 다이나모메터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유화시킨 MDO 유화물은 선박용 연료로 사용이 가능하였다. 대기오염에 대하여 물이 16% 이상 첨가된 시료들은 50% 이상의 부하 영역에서 매연은 50% 이상 감소하였으며, 질소산화물은 20% 정도의 저감 효과가 있었다.

Chitin의 분자량과 Phosphorylation 정도가 Microcrystalline Chitin의 유화안정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olecular Size and Degree of Phosphorylation on the Emulsion Stability of Microcrystalline Chitin)

  • 이영춘;임지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009-1013
    • /
    • 1996
  • 게껍질로부터 얻은 분자량이 다른 chitin을 phosphorylation하여 얻은 MCC의 유화 안정능력은 중간 분자량의 chitin에 40% phosphorylation시킨 것(M-40-MCC)이 가장 좋았다. 그리고 MCC의 지방 결합 능력은 사용한 chitin의 분자량 크기에 별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phosphorylation 정도가 높은 MCC는 지방 결합 능력 이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액상 커피 creamer에 사용되는 유화제의 50-70%를 MCC로 대체하여 제품을 만들어 품질을 평가한 결과 유화 안정성이 만족스러웠고, MCC를 첨가하면 creamer의 점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creamer의 백탁능력을 커피에 평가한 결과 MCC 첨가한 creamer의 L 값이 대조구보다 우수하였다. 그리고 creamer제품의 관능검사 결과 시료간에 여러가지 관능적 특성에 차이가 없었으나, MCC를 70% 첨가하면 creamer의 구수한 맛이 대조구보다 떨어지고 전체적인 선호도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결과를 종합해 보면 액상 커피 creamer에 50%정도의 MCC를 첨가하는 것이 적당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신규 화장품용 천연유래 보존제의 물성 측정, 용액 거동 및 보존제 포함 화장품의 제형 안정성 (Basic Properties and Solution Behavior of New Naturally Derived Cosmetic Preservative, and Stability of Cosmetic Formulation)

  • 신수빈;박정은;고나연;김미정;신혜원;이다솜;김나래;엄태식;정국인;배준원
    • 공업화학
    • /
    • 제35권2호
    • /
    • pp.122-127
    • /
    • 2024
  • 화장품 보존제는 화장품의 유효 사용 기간에 매우 중요한 성분으로, 최근에는 저독성 자연유래 화장품 보존제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다이올(diol) 계통 보존제를 대체할 수 있으며 천연유래 성분으로부터 얻어진 신규 보존제(laurimino bispropanediol, LB)의 기초적인 물성을 측정하고 신규 보존제를 포함한 수용액을 제조하여 용액 거동을 고찰하였다. 특히, 신규 보존제의 수용액에서의 micelle 형성 가능성을 pyrene 분자를 이용한 실험법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신규 보존제는 상대적으로 긴 소수성 탄화수소와 늘어난 하이드록실 그룹(hydroxyl group)으로 인해 micelle 형성이 가능함을 추론할 수 있었다. 보존제의 제형 속에서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유화력 테스트를 수행하였으며, 유기용매와 유지 성분에 대해 유화력을 지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로, 점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에센스 및 비교적 점도가 높은 로션 제형에 도입하였을 때 제형의 분산 안정성이 확보됨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새로운 저독성 천연유래 화장품 보존제의 개발 및 사용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역삼투법으로 분리, 농축한 두부순물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ybean Curd Whey Concentrated by Reverse Osmosis)

  • 김동만;백형희;진재순;이세은;김길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11-314
    • /
    • 1992
  • 역삼투 방법을 이용한 두부순물의 정화시 역삼투 잔사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두부순물 농축물의 성분 특성 및 분리 단백질의 기능성을 조사하였다. 두부순물의 역삼투 잔사 농축물에는 자당, 라피노오스 및 스타치오스가 건물 중으로 각각 32.59%, 4.76% 및 9.99% 함유되어 있었고, 무기물중 칼륨이 5.23%로 회분의 42.7%를 점하였다. 또한 조단백질 함량은 18.69%이었으며 아미노산 조성 및 전기영동상의 sub-unit 양상은 분리 콩단백질과 다소 차이를 보였다. 한편 두부순물로부터 분리한 단백질의 기능성중 pH에 따른 용해도는 분리 콩단백질에 비해 전반적으로 다소 높은 값을, 유화능과 유화안정성 및 점도는 분리 콩단백질보다 비교적 낮은 값을 나타냈다.

  • PDF

Recombinant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hEGF)-loaded Solid Lipid Nanoparticles: Fabrication and Their Skin Accumulation Properties for Topical rhEGF Delivery

  • Hwang, Hee-Jin;Han, Sunhui;Jeon, Sangok;Seo, Joeun;Oh, Dongho;Cho, Seong-Wan;Choi, Young Wook;Lee, Sangkil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5권8호
    • /
    • pp.2290-2294
    • /
    • 2014
  • For the present study, rhEGF was encapsulated into solid lipid nanoparticles (SLNs). The SLNs were prepared by the $W_1/O/W_2$ double emulsification method combined with the high pressure homogenization method and th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particle size, zeta-potential and encapsulation efficiency were measured. The overall particle morphology of SLNs was investigated using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The percutaneous skin permeation and accumulation property of rhEGF was evaluated using Franz diffusion cell system along with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CLSM). The mean particle size of rhEGF-loaded SLNs was $104.00{\pm}3.99nm$ and the zeta-potential value was in the range of -$36.99{\pm}0.54mV$, providing a good colloidal stability. The TEM image revealed a spherical shape of SLNs about 100 nm and the encapsulation efficiency was $18.47{\pm}0.22%$. The skin accumulation of rhEGF was enhanced by SLNs. CLSM image analysis provided that the rhEGF rat skin accumulation is facilitated by an entry of SLNs through the pores of skin.

비타민 E 아세테이트가 봉입된 셀룰로오스 나노입자의 제조 (Preparation of Cellulose Nanoparticles Loaded with Vitamin E Acetate)

  • 남다은;정택규;김승수;신채호;신병철
    • 폴리머
    • /
    • 제28권2호
    • /
    • pp.128-134
    • /
    • 2004
  • 비타민E 아세테이트를 봉입하고 있는 셀룰로오스 나노입자는 개선된 자발적 유화확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셀룰로오스 나노입지는 셀룰로오스 유도체와 비타민E 아세테이트를 아세톤/에탄올 혼합유기 용매로 용해한 다음 초음파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모노올레이트) 용액에 분산하여 제조하였다. 입자크기와 비타민 E 아세테이트의 봉입률은 광산란 장치와 UV 분광계를 이용하여 각각 측정하였다. 나노입자의 안정성은 상온에서 30일간 입자크기 변화를 통해 비교하였고 입자의 형태는 주사전자 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결과적으로 제조된 나노입자의 형태는 구형인 것을 관찰하였고, 상온에서 30일간 입자크기 변화가 없었다. 가장 좋은 셀룰로오스 나노입자의 제조 조건은 1% w/v 니트로셀룰로오스와 8% w/v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모노올레이트)를 사용하였을 경우이고, 이때 나노입자의 크기는 65nm, 비타민E 아세테이트의 봉입률은 71%의 값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