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ployment Test (TET)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6초

A Study on the Recruitment and Selection of Secondary Science Teachers in Korea

  • Kwak, Young-Sun;Lee, Yang-Rak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88-499
    • /
    • 2010
  • In this research, we investigated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ways of improvement of the teacher employment test (TET, hereafter) in Korea. This paper consists of three parts. The first part details the secondary science teacher education system in Korea. The second part elaborates upon the development of the TET since 1990's. The third part provides conclusion by addressing ways to improve science teacher education and employment systems in Korea. After all, the keen competition for teacher education and the demanding entry test ensure that secondary science teachers are selected from a pool of candidates with high academic achievement. Korean teacher employment system in general places more weight on subject knowledge. Although we cannot simply conclude that Korean science teachers must have profound knowledge in the subject matter and are competent in pedagogy, it stands to reason that the teachers could be more competent in performing their roles than those of many western countries with an acute shortage of teachers. We also suggested future directions and ways of improvement regarding teacher education and the TET in Korea.

중등 과학과 교사임용시험의 교과교육학 시험 개선 방안 탐색 (Exploring Ways to Improve Science Education Area Exam in Secondary School Teacher Employment Test)

  • 곽영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89-9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현행 중등 과학과 교사임용시험의 2차 교과교육학 시험의 특징과 개선 방안을 탐구하였다. 임용시험 2차 교과교육학 시험인 교수학습지도안 작성 평가, 수업실연 평가, 교직적성 심층면접 평가, 과학실험시험 등을 중심으로 1차 지필시험과 차별화하면서 2차 실습형 과학교육학 시험의 개선 방안을 탐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교수학습지도안 평가의 경우 1차 지필시험과는 평가초점이 달라서 2차 교수학습지도안 시험을 유지하되, 교수학습지도안 작성의 배점을 줄이고 수업실연의 비중을 높이는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수업실연 평가의 경우 교사양성과정에서 수업실연을 학점화하여 임용시험에 반영하는 방안, 교육실습이나 실제 수업 상황에서 평가하는 방안, 교과 수업전문성에 초점을 두고 수업실연을 평가할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과학실험시험의 경우 모든 시·도교육청에서 과학실험시험을 필수화하고, 실험설계 능력과 실험기반 과학탐구 지도 능력 등을 평가할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수업실연이나 심층면접 등을 시·도교육청에서 자체 출제하는 방안, 수습교사제도 도입의 필요성, 교육전문대학원 도입 방안 등을 제언하였다.

중등교사임용시험 지구과학 교과교육학 출제동향 및 개선방안 분석 (Analysis of Exam Trend of Earth Science Education in the Secondary-school Teacher Employment Test)

  • 곽영순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78-8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중등교사임용시험의 지구과학교육학 출제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지구과학교육학 출제 개선방안을 도출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중등교사자격증 표시과목 '지구과학'의 기본이수과목 중 '지구과학교육론'에 해당하는 중등교사임용시험 지구과학교육학 문항 분석을 위한 분석틀을 도출하였다. 지구과학교육학 문항 분석틀은 대영역, 평가영역, 평가요소 등으로 구성된다. 중등교사임용시험의 변천 과정을 시기별로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본 연구에서는 중등교사임용시험 체제가 현재와 같은 2단계 전형으로 바뀐 2014학년도 부터 2018학년도까지 출제된 1차 전공시험의 지구과학교육학 문항들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전체 전공 80점 중에서 지구과학교육학에는 22-24점이 배정되어 출제되어왔다. 평가영역별 출제 경향과 배점을 살펴보면, 지구과학 교수학습 영역의 출제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이어서 지구과학 탐구, 과학사 및 과학철학 등의 순으로 출제되었다. 각 평가영역별로 출제경향을 상세하게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중등교사임용시험 지구과학교육학 출제 및 평가 개선방안과, 교사양성대학의 지구과학교육학 교육과정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중등 과학교사 임용시험의 1차 전공영역에 대한 개선 방안 탐색 (Exploring Ways to Improve the First Major Area of the Examination for Appointing Secondary Science Teachers with the Change of Educational Environment)

  • 곽영순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4권1호
    • /
    • pp.122-132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역량기반 교육과정으로의 전환 등과 같은 교육환경 변화에 부응하기 위해 과학과 중등교사임용시험에서 평가해야 할 교사역량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현행 중등과학과 교사임용시험의 1차 전공영역 평가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등교사임용시험 출제경험이 있는 과학교육학 교수 18명을 대상으로 두 차례의 델파이 조사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과학과 중등교사임용시험에서 평가해야 할 교사역량으로는 교수활동, 학생이해지도, 인공지능 등과 같은 지능정보활용, 공동체 전문성 등이 제안되었다. 과학과 중등교사임용시험 1차 과학내용학 시험 개선 방안으로는 문항수 증가를 통한 실질적 공정성과 타당도 제고, 중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제고, 10년 정도 주기로 표시과목 업데이트 등이 제안되었다. 중등교사임용시험 1차 과학교육학 시험 개선 방안으로는 과학교육학 문항 유형에 대한 연구·개발, 교과교육학을 논술형으로 출제, 과학 교육학에 대한 표준화된 커리큘럼 개발 등이 제안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사양성대학 교육과정 개정의 필요성, 과학과의 경우 사범대학과 자연대학의 커리큘럼 차별화의 필요성, 교육전문대학원 도입과 같은 교사양성체제 개혁의 필요성 등을 제언하였다.

Educ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achers in Korea

  • Park, Han-Shick;Shin, Hyunyong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8권2호
    • /
    • pp.69-80
    • /
    • 2004
  • It is undeniable that teachers play the principal roles in education. This is why educ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are so important. Some of recent works have made this fact clearer. In America, in particular, many reports and research papers have recently been published on these problems. In this paper, we first introduce briefly the current system of education, employment,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achers in Korea. And then we mention a research project on education of mathematics teachers. The final report of the project contains some suggestions for curriculums of the department for education of mathematics teachers. We describe one example of extended syllabus which implements those suggestions. The example is on Modern Algebra I.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