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ployment Increase

검색결과 714건 처리시간 0.037초

Determinant's Factors to Employment Status of College Graduate Majored in Culinary Arts

  • NA, Tae-Kyun;KO, Beom-Seok
    • 식품보건융합연구
    • /
    • 제8권3호
    • /
    • pp.25-35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determine whether college graduates majoring in culinary arts are employed.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largely divided the factors affecting the status of employment into the personal background, college life, and employment preparation activities factors. And, the data of 164 graduates who graduated from culinary arts-related departments participating in the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were used.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health status and experience of job-seeking activities of college graduates majoring in culinary arts decreased the employment probability. On the other hand, major satisfaction and certification acquisition were found to increase the employment probability. Second, the health status and experience of job-seeking activities of graduates who participated in 2018GOMS were found to decrease the employment probability, and major satisfaction and grade were found to increase the employment probability. Third, it was found that only the health status of graduates who participated in 2019GOMS affected the status of employment.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employment rate of culinary arts majors at the end of COVID 19, universities need to make efforts to increase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s and their grades while attending college.

승수이론을 이용한 지속가능한 지역경제성장모델의 개발 (Development of a Sustainable Regional Economic Growth Model (SREG) Using Multiplier Theory)

  • 정남수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9권1호
    • /
    • pp.35-42
    • /
    • 2007
  • This paper develops a Sustainable Regional Economic Growth Model (SREG) which estimates the relation of labor population change and employment increase in each occupation and maximum limits and minimum requirements of employment increase by labor population change in a specified region using multiplier theory. To develop the proposed model, sustainable regional economic growth is defined as a steady increase of labor population over a long term period and the limit of employment increase is defined as the estimated labor population change in the region with no need for commutation from the surrounded areas. Developed model was applied to 67 county in Pennsylvania State an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investment in infrastructure occupations, such as transportation, warehousing, utilities,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other public utilities, maximizes the effects for increasing employment, whereas finance, insurance, and real estate occupations have minimum effects for increasing employment. Calculated minimum requirements of occupations show that infra-structure occupations is a critical factor for labor population change and maximum limits of occupations show that agriculture and finance occupations are difficult to increase independently.

A study on ways to make employment improve through Big Data analysis of university information public

  • Lim, Heon-Wook;Kim, Sun-Jib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3호
    • /
    • pp.174-180
    • /
    • 2021
  • The necessit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A decrease in the number of newborns, an increase in the youth unemployment rate, and a decrease in the employment rate are having a fatal impact on universities. To help increase the employment rate of universities, we intend to utilize Big Data of university public information. Big data refers to the process of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and includes all business processes of finding data, reprocessing information in an easy-to-understand manner, and selling information to people and institutions. Big data technology can be divided into technologies for storing, refining, analyzing, and predicting big dat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vision and special department of a university with a high employment rate by using big data technology. As a result of the study, big data was collected from 227 universities on www.academyinfo.go.kr site, We selected 130 meaningful universities and selected 25 universities with high employment rates and 25 universities with low employment rates. In conclusion, the university with a high employment rate can first be said to have a student-centered vision and university specialization. The reason is that, for universities with a high employment rate, the vision was to foster talents and specialize, whereas for universities with a low employment rate, regional bases took precedence. Second, universities with a high employment rate have a high interest in specialized departments. This is because, as a result of check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haracterization plan, universities with a high employment rate were twice as high (21/7). Third, universities with high employment rates promote social needs and characterization. This is because the characteristic departments of universities with high employment rates are in the order of future technology and nursing and health, while universities with low employment rates promoted school-centered specialization in future technology and culture, tourism and art. In summary, universities with high employment rates showed high interest in student-centered vision and development of special departments for social needs.

고용불안과 그 원인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Employment Instability and Its Causes)

  • 남재량
    • 노동경제논집
    • /
    • 제28권3호
    • /
    • pp.111-139
    • /
    • 2005
  • 본 연구는 고용불안을 정의하고 실제 자료를 사용하여 이를 측정하여 고용불안에 대한 사실들(facts)을 찾고 그 원인을 분석한다. 고용불안을 실직의 두려움과 재취업의 어려움으로 정의할 때 우리나라에서 고용불안은 외환위기 발생 전에 비해 2000년 이후 상당히 높아졌으며 이는 대부분 일용직 종사자 집단의 고용불안 증대에 기인한다. 이러한 고용불안의 증대는 고용의 소멸이 많아졌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창출되는 고용도 일용직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외환위기 하에서 대대적으로 실시된 공공근로 정책으로 일용직에 진입한 근로자들의 고용불안 증대가 노동시장 전체의 고용불안 증대와 깊이 관련되어 있다.

  • PDF

외부 기술 연구개발 협력 네트워크의 다양성이 중소기업의 고용 증대에 미치는 영향: 수출 증대의 매개 효과 (The Impact of the External Technology R&D Collaboration Network Heterogeneity on the Employment Increase of Small and Medium Companies: The Mediating Effect of Export Growth)

  • 허용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181-187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 중소기업의 수출 증대와 고용 증대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 흐름의 깊이를 심화시키기 위해 외부 기술 연구개발 협력 네트워크의 다양성이 중소기업의 수출 증대와 고용 증대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모형화 하였으며, 대한민국의 2,200개의 중소기업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연구 모형을 실증적으로 검증 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실증 검증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2개의 연구 결과를 조명한다. 첫째, 중소기업의 외부 기술 연구개발 협력 네트워크의 다양성은 기술 개발로 인한 고용 증대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친다. 둘째, 중소기업의 기술 개발로 인한 수출 증대는 기술 개발로 인한 고용 증대가 외부 기술 연구개발 협력 네트워크의 다양성에 의해 받는 양(+)의 영향을 부분 매개한다.

가교일자리에서의 근로가 베이비부머의 결혼만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Bridge Employment and Changes in Marital Satisfaction among Korean Baby Boomers)

  • 나수영;한경혜
    • 한국노년학
    • /
    • 제36권3호
    • /
    • pp.541-562
    • /
    • 2016
  • 본 연구는 가교일자리에서의 근로가 베이비부머의 결혼만족도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그 과정에서 일자리 특성의 변화가 매개역할을 하는가를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한국 베이비부머 패널 조사' 1-3차년도(2010-2014년) 자료를 활용하여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생애주된일자리에서 가교일자리로 이동하는 것은 근로소득의 변화율을 매개로 하여 결혼만족도의 변화율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1-3차년도 사이에 가교일자리로 이동한 베이비부머의 근로소득이 현저히 감소하였고, 그로 인해 생애주된일자리를 유지한 자에 비하여 결혼만족도가 보다 완만하게 상승하는 효과가 있었다. 반면에, 가교일자리에서 근로를 지속하는 것은 직업몰입의 변화율을 매개로 하여 결혼만족도의 변화율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1차년도에 이미 가교일자리에서 일하고 있었으며 이후 가교일자리에서 계속 일한 경우에는 생애주된일자리를 유지한 경우에 비하여 직업몰입이 더 가파르게 상승하였고, 그로 인해 결혼만족도가 더 가파르게 높아졌다. 본 연구결과는 부부관계를 재정립하는 중년기에 생애주된일자리에서 가교일자리로 이동하는 것이 생애주된일자리를 유지하는 것에 비하여 결혼만족도의 상승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으나, 그 효과가 지속되지는 않음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는 가교일자리에서의 근로가 결혼만족도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후속연구에서는 가교일자리로의 이동 시의 소득감소가 결혼만족도의 변화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를 완충할 수 있는 중재요인을 탐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Different Types of Liberalization and Jobs in South Korean Firms

  • Kim, Hyuk-Hwang;Lee, Hongshik
    • East Asian Economic Review
    • /
    • 제19권1호
    • /
    • pp.71-97
    • /
    • 2015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several factors indicating economic openness-imported intermediate goods, total imports, IFDI (in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foreign ownership-on regular, irregular jobs and the ratio of irregular employment to regular employment. Findings revealed that imported intermediate inputs and IFDI affected neither regular nor irregular job figures. However, an increase in total imports led to a decrease in the number of irregular jobs without affecting regular full time jobs, leading to a decrease in the ratio of irregular jobs to regular jobs. On the other hand, changes in foreign ownership structure had a contrary effect, that is, a decrease in the number of regular jobs and an increase in irregular ones, and, thus, an increase in the ratio of irregular jobs to regular jobs. Overall results showed that a rise in imports results in depressed overall employment, irregular employment in particular, while more IFDI results in more irregular jobs replacing regular ones, effectively exacerbating job insecurity. The implication of this analysis is that greater economic openness may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South Korean labor market overall.

한국의 최저임금과 자영업 (Minimum Wage and Self-employment in Korea)

  • 배진한;김우영
    • 노동경제논집
    • /
    • 제44권1호
    • /
    • pp.31-72
    • /
    • 2021
  •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12~21차)을 이용하여 최저임금 인상이 개인의 노동이동에 미친 영향을 다항로짓으로 추정한다. 특히 2018년 최저임금의 급격한 상승에 따른 특이한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추정 결과, 첫째, 최저임금 인상은 임금근로자와 자영업자 모두 미취업 확률을 높여왔지만 2018년의 추가적인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최저임금 인상은 자영업자가 상용직보다는 임시·일용직으로 입직할 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2018년 최저임금 인상은 고졸 이하 자영업자에 큰 타격을 주었으며, 청년 임금근로자의 자영업으로의 입직을 현저히 낮춘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최저임금 인상이 우리나라 자영업 비중의 감소를 설명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며, 임시·일용직으로의 입직을 늘리기 때문에 고용의 질에는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마르코프 체인 모형을 이용한 직종별 취업자의 공간적 분포 변화 예측 (Prediction for the Spatial Distribution of Occupational Employment by Applying Markov Chain Model)

  • 박소현;이금숙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525-539
    • /
    • 2016
  • 본 연구는 사후분포를 예측하는 베이지안 추정기법의 일환인 마르코프 체인 모형을 적용하여 직업요인 인구이동에 따른 직종별 취업자의 공간적 분포에 나타나는 변화를 예측하였다. 이를 위해 인구이동의 사유 중 직업요인 이동량을 추출하여 직업을 요인으로 하는 인구이동 패턴을 파악하고, 직업요인 인구이동의 추이확률 산출 값을 토대로 채프만-콜모고로프 방정식을 구축하여 장래 지역별 취업자 분포와 직종분포의 변동성을 예측하였다. 분석결과, 서울의 취업자 분포가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나 직종 중 단순노무 종사자는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전문가 및 관련 직의 경우 수도권과 일부 광역시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었고, 강원, 충청지역은 전체 직업군의 취업자 분포에 있어 증가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지역 노동시장의 원활한 인력수급이 가능하도록 유입, 유출될 가능성이 높은 인력 및 직종을 중심으로 직업훈련, 취업알선 등 고용지원 서비스를 통해 사전 대비하는 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지식서비스산업의 구조변화 분석 (An Analysis on The Structural Change of The Knowledge Service Industry)

  • 김방룡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8B권10호
    • /
    • pp.808-816
    • /
    • 2013
  • 최근 들어 우리나라는 제조업 부문의 투자와 고용이 부진하여 잠재성장률이 둔화되는 가운데 신성장동력 및 일자리 창출부문으로서 지식서비스의 역할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출 및 고용측면에서 1995년에서 2010년까지의 기간 동안 우리나라의 지식서비스산업의 구조변화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지식서비스산업이 경제성장 및 고용창출에 어느 정도의 기여를 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지식서비스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지식서비스산업은 여타 산업에 비하여 총산출과 고용의 규모면에 있어서 국가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그다지 크지 않지만, 타 산업에 비하여 가장 빠른 성장 속도를 보이고 있어서 우리나라의 총산출 증가와 고용 창출에 큰 기여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산출증가율과 성장기여도는 점차 하락하고 있어서 지식서비스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성장동력 및 고용창출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생산성 증대를 위한 특별 대책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