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ployers

검색결과 394건 처리시간 0.025초

서비스 품질이 가격과 고객 만족도 및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테마파크의 식음료 상품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on Price and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 Focused on Foods and Beverages in Theme Parks -)

  • 황춘기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9-93
    • /
    • 2009
  • 본 연구는 테마파크에서 식음료서비스 품질과 가격이 테마파크를 방문한 고객의 만족도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 분석을 통하여 파악함으로써 테마파크 고객에게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 품질의 속성과 상관관계를 연구하여 테마파크의 수익성을 증가시키는 길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내용을 요약하면 본 연구는 식음료서비스 품질과 테마파크를 방문한 고객만족도의 영향관계를 파악했다는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테마파크의 전체매출액의 약 20%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식음료의 부분의 서비스 품질과 판매가격은 서로 연관성이 있으며 테마파크 입장객 만족도와 재방문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는 테마파크의 수익성증대와 고객의 만족도 상승으로 고객의 재방문율을 높이기 위해서 식음료 서비스품질을 높이고 품질에 바탕을 둔 합리적인 가격 결정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서비스 품질을 높이기 위한 품질 요인 중 가장 중요한 요인은 종업원이 고객에 도움을 주려는 마음자세 즉 서비스 정신이다. 이를 위해서 종업원의 사기 진작을 위한 교육 및 훈련을 통하여 구성원들의 사기를 증진시키고 서비스정신으로 무장된 종업원으로 탈바꿈시키기 위한 조치들이 필요하다. 이렇게 하여 서비스품질을 높임으로써 식음료 상품을 통한 고객만족과 고객의 재방문 의도를 높일 수 있다.

  • PDF

치과위생사의 행복과 직무만족도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Happiness and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s)

  • 류혜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68-174
    • /
    • 2017
  • 이번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행복과 직무만족도의 관련요인을 조사하여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행복요인에 대한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부산 경남지역 치과병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총 264명을 대상으로 2016년 7월 20일부터 8월 3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자기기입 방식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연령에서 행복지수 하위요인인 삶의 만족(p<0.05)의 경우 36세 이상의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고, 행복지수 하위요인인 부정적 정서(p<0.01)의 경우 25세 이하, 26~30세 이하, 31~35세 이하의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경력에서는 4~10년 이하 집단에서 부정적 정서(p<0.05)가 높게 나타났다.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변수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으로 행복의 하위요인인 삶의 만족(${\beta}=0.393$)이 높은 경우 직무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치과위생사의 주 업무(${\beta}=0.171$)에 따라, 행복의 하위요인 긍정적인 정서(${\beta}=0.139$)가 높은 경우의 순서로 직무만족도가 높았고, 부정적 정서(${\beta}=-0.173$)가 높은 경우 직무만족도가 낮았다. 치과위생사의 행복감을 개인의 삶의 영역뿐 아니라 직장 내의 건강성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이 되기 때문에 직장 내에서 원만한 인간관계 유지와 치과위생사의 주 업무에 대한 성취감과 만족감, 그에 따른 보상체계, 근무환경과 전문성 향상을 위한 기회제공과 이를 유지하기 위한 행정 및 조직적 체계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제도적 뒷받침은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의 향상과 더불어 치위생업무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일개 농촌지역 주민의 소규모 공장으로 인한 보건생활환경에 관한 인식도 조사 (Public perception of environmental health due to small-scale industries in a rural community)

  • 김정연;정윤재;성유미;하은희;위자형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5권1호
    • /
    • pp.1-9
    • /
    • 2000
  • 본 연구는 최근 급속히 산업화가 진행되고 있는 일개 농촌지역주민의 보건생활환경에 대한 관심도, 요구도, 참여의지 등을 조사하여, 근로자와 지역주민의 건강보호를 위한 대책 마련에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지역사회주민 200명을 대상으로 지역 환경에 관한 인식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응답자의 평균 거주기간은 21.87년이었으며, 가족 중 공장 근로자가 있는 경우가 19.4%, 집 근처에 공장이 위치한 경우가 85가구로 절반 이상이었다. 2. 일부 응답자(30.1%)들은 집근처에 공장이 들어서는 것에 대해 좋지 않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고, 일부(14.4%)는 반상회에서 공장 공해에 대하여 의논한 적이 있었다. 3. 응답자들은 수질오염이 가장 심각하다고 느끼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대기오염, 먼지, 악취, 소음의 순이었다. 주민건강문제보다는 근로자의 건강악화문제가 더 심각하여 근로자 보건관리 대책이 더 시급하다고 인지하고 있었으며 공장으로 인한 환경보건문제에 대한 책임은 사업주에게 있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4. 응답자의 절반 정도가 근로자 보건관리사업의 주체는 공공보건기관이 되어야 한다고 하였으며, 지역주민이 이 사업에 참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5. 근로자들에게 제공되어야 할 사업장 보건사업 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근로 환경의 개선이었으며, 건강진단, 근로자 건강교육, 응급환자 후송체계 마련의 순이었다. 이상의 지역사회 보건생활환경에 관한 인식 및 요구도 조사 분석결과가 공공보건기관 연계망을 이용한 지역사회 환경 및 산업보건관리체계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 PDF

노후 노동지위: 생애노동경력과 재산을 매개로 (Labor Status of Old age: Lifetime Career and Wealth as Mediators)

  • 지은정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1권1호
    • /
    • pp.323-357
    • /
    • 2009
  • 본 연구는 고령자 노동지위가설과 사회적 지위획득모델의 한계를 보완하고 통합하여, 노후 노동지위에 미치는 생애과정의 메커니즘을 조명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60세 이상 남성근로자의 노동지위는, 직종은 대부분이 농어업이거나 단순노무직이고, 고위직 (준)전문가는 소수에 불과하였다. 종사상 지위도 상용직과 고용주는 4.4%에 불과한 반면, 약 70%가 임시일용직과 자영업이며, 약 60%는 연 천만원 이하의 저임금근로자였다. 대부분의 고령자는 노후에도 고위직을 유지한다는 노후풍요가설이 적용되는 경우는 소수에 불과함을 말해준다. 둘째, 약 20%가 5천만원 미만의 재산을 가지고 있는 반면, 9.3%는 6억 이상의 재산을 소유하여 격차가 크다. 노후풍요가설처럼 대부분의 사람이 노후에 필요한 적절한 부를 축적하였다고 보기 어렵다. 그리고 재산은 교육수준에 따라 차이가 커서, 부의 축적은 사회적 지위획득모델이 더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교육수준에 따라 생애노동경력뿐 아니라, 노후 노동지위가 달랐다. 넷째, 경로분석결과, 교육수준은 생애노동경력과 재산을 매개로 노후 노동지위에 영향을 미쳤다. 즉, 교육수준이 낮은 사람은 생애노동경력이 불안정하고, 재산이 적으며, 노년에도 일은 하지만 저임금, 낮은 사회적 직종, 불안정한 고용형태에서 근무하였다. 생애불평등이 노년에도 지속됨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교육기회의 불평등과 비정규직과 영세자영업 확산을 축소시키고, 불안정 고용이 덫이 되지 않도록 제반 여건을 마련해야 한다.

  • PDF

건설VE 인센티브 제안 (A VE Incentive System for Construction Industry)

  • 송용철;송낙현;이찬식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019-1022
    • /
    • 2007
  • 최근 건설 프로젝트는 대형화${\cdot}$복잡화${\cdot}$고도화 되어 가고 있다. 이에 따라 비용${\cdot}$기능${\cdot}$품질을 최적화하기 위한 VE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VE는 건설 분야에서 적용과정이나 방법상의 어려움으로 활성화 되지 못하고 있다. 건설 분야에서 VE를 활성화하기 위한 대안 중 하나는 인센티브제도를 도입하는 것이다. 인센티브 제도를 통해 발주자는 해당 프로젝트의 원가절감을 할 수 있고 시공자는 이윤 창출을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이다. 국내의 경우 지난 1992년 미국의 시공 VE 인센티브 제도와 유사한 '기술개발보상제도'를 마련하여 시공자의 기술개발노력에 대한 제도적 지원책을 제시하였으나 그 실적은 매우 저조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cdot}$외 건설VE 인센티브 제도를 고찰하고 건설VE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국내 건설VE 인센티브 유사제도의 문제점인 '건설VE 인센티브 조항 및 기준의 미흡', '건설VE 평가자 및 전담부서 미흡' 등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문제점을 바탕으로 건설VE 전문가와 면담을 실시하여 건설 산업에 건설VE 인센티브제도를 도입하기 위한 방안으로 '건설VE 인센티브제도에 관련 법 및 제도의 개선', '건설VE 전문가 및 조직구축' 등을 제시하였다.

  • PDF

경호학과 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Job Search Stress on Career Maturity among the Students of Security Services)

  • 이솔지;이주락
    • 시큐리티연구
    • /
    • 제42호
    • /
    • pp.179-203
    • /
    • 2015
  • 대학생들은 취업난으로 인해 많은 취업스트레스를 겪고 있다. 특히 경호학과 학생들은 전공과 관련된 높은 취업의 문턱으로 다른 전공의 학생들보다 더 많은 취업스트레스를 겪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호학과 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를 알아보고 취업스트레스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전라도 경상도 지역 총 7개 대학교에 재학 중에 경호학과 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하였다. 설문지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전문가회의를 거쳐 수정 보완한 후 SPSSWIN 20.0을 활용하여 요인 및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등을 수행하였고 최종적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사회인구학적 특성은 취업스트레스와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경호학과 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는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친다. 즉 취업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진로성숙도가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경호학과 학생들은 많은 취업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취업스트레스가 진로를 선택함에 있어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경호학과 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 진로선택의 다양성을 확보하는 방안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이를 위해 경호학계와 전국의 경호학과들이 실행할 수 있는 방안 몇 가지를 제시하였다.

  • PDF

건설업 옥외작업장 근로자의 미세먼지 노출 실태 조사 (Exposure of Outdoor Workers to Particulate Matter in Construction Sites)

  • 김승원;이가현;피영규;양원호;하권철;박현희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6-58
    • /
    • 2017
  • Objectives: Particulate matter (PM) at construction sites mostly originates from either construction activities or the atmospheric environ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xposure level to PM and the contribution ratio of atmosphere sources at construction sites. Methods: We reviewed literature and governmental systems related to PM exposure in occupational settings and summarized them. In the field evaluation, five construction sites and one golf course were selected: two from Gyeonggi-do Province and four from North Gyeongsang-do Province. For each site, personal samples from outdoor construction workers and area samples from the outdoor area around the construction site office were collected according to construction work types. PM concentrations reported from nearby National Ambient Air Monitoring Stations were recorded. Respirable dust concentrations, respirable silica concentrations, and several metal concentrations including Cd, Cr, Pb, and As were monitored over four months. In the end we suggested how to manage particulate matter exposure at construction sites. Results: There was little literature reporting on exposure levels of construction workers to PM. Respirable dust concentrations measured in Gyeonggi-do Province were higher than those measured in North Gyeongsang-do Province. The geometric means of respirable dust concentrations in personal samples and area samples were $37.89{\mu}g/m^3$ and $92.86{\mu}g/m^3$, respectively. The respirable dust concentrations were higher than the PM concentrations reported from nearby National Ambient Air Monitoring Station. The geometric means of respirable silica concentrations of personal samples and area samples were $1.3{\mu}g/m^3$ and $1.1{\mu}g/m^3$, respectively. All metal concentrations were lower than 10% of individual Korean occupational exposure limits. Conclusions: Assuming that personal samples consisted of ambient PM and dust originating from work activities and area samples only collected ambient PM, we concluded that the dust exposure of outdoor construction workers originated 40.8% from the atmosphere and 59.2% from construction activities. PM exposure at construction sites should be controlled by employers, as in the case of outdoor heat stress.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consider setting an occupational exposure limit for respirable dust.

개인 건강행태 및 지역보건의료 수준이 고혈압 의사진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dividual Patient Behavior and Medical Care Level on Doctor's Diagnosis of Hypertension)

  • 박창수;김영란;이태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119-130
    • /
    • 2016
  • 본 연구는 의사로부터 고혈압으로 진단받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개인 건강행태 및 지역 보건의료수준이 고혈압의사진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는 2010년도 지역사회건강조사대상 만 19세 이상 성인 229,229명을 대상으로 개인특성에 따른 고혈압 의사진단의 차이 비교는 카이제곱 검정을 사용하였으며, 개인 및 지역수준 변수를 고려한 고혈압 의사진단의 관련지표의 지역 간 변이 파악은 다수준 로지스틱회귀분석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개인건강행태수준에서 연령수준이 높을수록,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기초생활수급이 무일 때, 체질량지수가 높을수록, 일회음주량이 많을수록 고혈압 의사진단 경험률이 높았다. 또한 보건의료기관을 이용한 사람이, 한 달 동안 혈압측정횟수가 높을수록, 주관적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감 경험이 있을 때 고혈압 의사진단 경험률이 높았다. 반면에 고용형태가 임금근로자인 경우, 고용주 및 자영업자에서, 걷기일수가 많을수록, 현재 흡연여부 경험이 적을수록, 민간의료보험에 가입한 사람에서 고혈압 의사진단 경험률이 낮았다. 건강행태 및 지역의 보건의료수준에 따라, 고혈압의사진단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추후 많은 연구에서 지역수준을 고려한 다수준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미술관 관람객의 서비스품질 인식과 만족도 분석 : 광주시립미술관을 중심으로 (Service Quality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Art Museum Visitors: The Case of Gwangju Museum of Art)

  • 변길현;이혜진;강신겸
    • 문화경제연구
    • /
    • 제17권2호
    • /
    • pp.137-159
    • /
    • 2014
  • 기존의 박물관 중심의 연구에서 활용되어온 서비스품질 측정지표들이 미술관의 서비스품질 측정 및 서비스 개선방안 연구에 여과 없이 사용됨에 따라, 미술관 고유의 서비스 특성과 이에 따른 적절한 개선안을 도출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술관의 특성을 고려한 서비스 척도를 개발하고, 이들이 방문객 만족도 및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미술관의 서비스품질 개선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광주시립미술관을 방문한 관람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요인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미술관의 서비스품질 요인은 전시방법, 직원서비스, 전시내용, 미술관시설, 부대프로그램 등 5개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서비스품질 요인 가운데 전시내용이 미술관 재방문이나 추천의도, 전반적 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나 전시내용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재방문 의도와 추천 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부대프로그램은 재방문의도에 전시내용 다음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미술관의 고유한 기능인 전시이외에도 교육, 체험, 여가의 요소들이 복합된 다양한 부대프로그램이 미술관의 서비스 질을 높이고 방문객의 만족도 및 재방문율을 높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미술관을 대상으로 하는 실증적 연구를 통해 미술관의 서비스 연구에 필요한 서비스품질 척도들을 검증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가진다. 나아가 미술관 경영 및 마케팅 담당자들에게 전시내용 및 부대프로그램 개발이라는 서비스품질 향상을 위한 핵심적인 요소들을 제안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헌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Overview of Legal Measures for Managing Workplace COVID-19 Infection Risk in Several Asia-Pacific Countries

  • Derek, Miller;Tsai, Feng-Jen;Kim, Jiwon;Tejamaya, Mila;Putri, Vilandi;Muto, Go;Reginald, Alex;Phanprasit, Wantanee;Granadillos, Nelia;Farid, Marina Bt Zainal;Capule, Carmela Q.;Lin, Yu-Wen;Park, Jihoon;Chen, Ruey-Yu;Lee, Kyong Hui;Park, Jeongim;Hashimoto, Haruo;Yoon, Chungsik;Padungtod, Chantana;Park, Dong-Uk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2권4호
    • /
    • pp.530-535
    • /
    • 2021
  • Background: Despite the lack of official COVID-19 statistics, various workplaces and occupations have been at the center of COVID-19 outbreaks. We aimed to compare legal measures and governance established for managing COVID-19 infection risks at workplaces in nine Asia and Pacific countries and to recommend key administrative measures. Methods: We collected information on legal measures and governance from both general citizens and workers regarding infection risks such as COVID-19 from industrial hygiene professionals in nine countries (Indonesia, India, Japan, Malaysia, New Zealand, Republic of the Philippines, Republic of Korea, Taiwan, and Thailan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Results: A governmental body overseeing public health and welfare was in charge of containing the spread and occurrence of infectious diseases under an infectious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ct or another special act, although the name of the pertinent organizations and legislation vary among countries. Unlike in the case of other traditional hazards, there have been no specific articles or clauses describing the means of mitigating virus risk in the workplace that are legally required of employers, making it difficult to define the responsibilities of the employer. Each country maintains own legal systems regarding access to the duration, administration, and financing of paid sick leave. Many workers may not have access to paid sick leave even if it is legally guarante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