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al Work

검색결과 779건 처리시간 0.028초

공공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of Nurses in Provincial Medical Centers)

  • 정봉희;김현숙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131-138
    • /
    • 2021
  • 공공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관련 있는 요인 중 간호근무환경과 감정노동의 영향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대상 선정은 G도의 공공의료원 6개 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176명의 간호사를 편의 표집하였다.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분산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SPSS/WIN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한 명의 간호사가 담당하는 평균 환자 수는 12명이었고, 공공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간호하는 환자의 수가 적을수록 직무만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β=-.092, p<.05), 간호근무환경이 좋을수록(β=.797, p=.000), 감정노동의 정도가 낮을수록(β=-.089, p=.045) 직무만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므로 간호사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 간호사 일 인당 환자수의 감소, 간호근무환경 향상 그리고 감정노동 정도를 완화시키는 대책이 필요할 것이다.

치과위생사의 직무수행능력이 정서적 노동평가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job performance of dental hygienists on emotional labor evaluation)

  • 이종렬;배수명;김혜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835-847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job performance of dental hygienists on emotional labor evaluation. Method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03 dental hygienists working at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in Gyeongnam and Busan from May 2014 and March 2015. The study instruments comprised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9 items), job performance competency (44 items), and emotional labor evaluation (29 items) by Likert 5 point scale. Data were analyzed by SPSS 21.0 program and AMOS 18.0 program. Results: Those who had turnover intention showed higher scores in the dental treatment cooperation category and overall job performance than those who had not. Higher job performance was shown in those who had more work experience and higher salary. The scores of emotional labor evaluation were higher in the group of higher salary and team and department leaders. The job performance had a significant impact of the emotional labor evaluation. Conclusions: The job performance of dental hygienist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motional labor evaluation. Psychologic stress by work caused the dental hygienists to have depression and lower quality of life.

119구급대원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피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n the fatigue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 임완영;김철태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01-118
    • /
    • 2022
  • Purpose: This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hat aim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fatigue by examining the degree of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fatigue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119 EMTs). Th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fatigue was also confirmed. Methods: A total of 139 EMTs working in the Daejeon a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6-15, 2021. Results: When the number of dispatches was high and the job was dissatisfying, the degree of emotional labor was high. In addition, the shorter the work experience and the lower the job satisfaction are, the higher the job stress is. The degree of fatigu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emale than male 119 EMTs, and when they had short work experience and were dissatisfied with their job, the degree of fatigue was higher. Moreover,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fatigue of the 119 EMTs. Conclusion: To reduce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fatigue of 119 EMTs, appropriate interventions for each factor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are required.

상급초보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극복력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the Resilience on Retention Intention among Advanced Beginner-Stage Nurses)

  • 박해진;김춘자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03-110
    • /
    • 2023
  • Purpose: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psycho-emotional factors that affect the retention intention among advanced beginner-stage nurses.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using a convenience sample of 118 nurses with a work experience of at least one to three years of work experience in a university hospital in Suwon, Korea.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assess retention intention, emotional labor, and resilienc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retention intention. Results: Retention intention had a moderate mean score (4.75 out of 8). Factors influencing participants' retention intention were founded in the order of resilience (β=.29, p<.001) and emotional labor (β=-.20, p=.011) after adjusting nursing satisfaction as a covariate.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accounted for 42% of the variance in retention intention (p<.001). Conclusion: Resilience and emotional labor may be primary factors influencing retention intention of advanced beginner-stage nurses. Therefore, this study finding suggested that psycho-emotional factors such as emotional labor and resilience should be considered while designing programs to increase nurses' retention intention.

간호사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 건강증진행위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on nursing work performance among nurses)

  • 최은비;유경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33-341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dicting factors of nursing work performance.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48 nurses working in S university hospital in P city. The scales included social support,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II (HPLP-II), and nursing work performance. A descriptive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social support,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nursing work performance. The significant predictive factors of nursing work performance were the emotional support subscale of social support (β=.31, p<.001)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 subscale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β=.32, p<.001). These two subscales explained 27% of nursing work performance. Conclusion: Nursing education programs should include an emphasis on developing methods of emotional support and interpersonal relations in order to improve nursing work performance among clinical nurses.

Effects of Grandparenting and Emotional Attachments on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 Symptoms of Grandchildren

  • Sohn, Byoung-Duk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10권2호
    • /
    • pp.13-24
    • /
    • 2009
  • The effects of grandparenting involvement and emotional attachments on emotional and behavioral development among adolescents were explored through the use of a UK cross-sectional national data of 1,566 adolescents aged eleven to sixteen years old receiving some form of grandparenting. A correlation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yielded results that supported the positive effects of grandparenting on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 symptoms of adolescents. The results indicate that most selected socio-demographic, grandparenting involvement, and the emotional attachment variables of grandchildren influenced the likelihood of increasing or decreasing emotional disorder symptoms among adolescents. However, no support was found for perceiving emotional attachments with grandparents as a predictor of behavioral disorder symptoms among youth, whereas socio-demographic and grandparenting involvement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impacts on behavioral disorder symptoms. Th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a systematic approach about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levels of grandparenting, and emotional attachment levels with grandparents to understand youth cared for by grandparents that experience emotional and/or behavioral disorder symptoms, when intervention or prevention programs are considered.

자활사업 참여자의 정서적 자활과 사회적 자활의 영향요인 연구: 사회적응프로그램 참여자를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Emotional and Social Self-Sufficiency of Welfare-to-Work Recipients: Focused Social Adaptation Program)

  • 이은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2호
    • /
    • pp.539-548
    • /
    • 2014
  • 본 연구는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자활사업의 탈수급 탈빈곤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자활참여자의 복합적이고 다양한 근로장벽 특성상 자활 효과의 다차원적인 접근으로 정서적, 사회적 자활의 역할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자활프로그램 중 심리사회적 어려움으로 가장 자활가능성이 취약한 사회적응프로그램 참여자의 정서적 자활과 사회적 자활의 효과 및 그 영향요인을 검증하고자 한다. 조사 대상은 전국의 사회적응프로그램 수행기관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표집하였으며,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이 검증에 활용되었다. 분석결과, 첫째, 사회적응프로그램 참여자의 정서적 자활 효과와 사회적 자활 효과는 보통 수준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적 자활의 영향요인으로는 요보호가구원수(-)와 교육프로그램 만족도(+)가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음이 밝혀졌고 사회적 자활에는 삶의 만족도(+), 조직유형, 교육프로그램 만족도(+), 건강서비스 만족도(+)가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자활사업의 평가와 관련된 정서적, 사회적 측면의 자활효과 측정의 필요함을 밝히고 심리사회적 다양한 근로장벽을 지닌 자활참여자 특성에 적합한 통합사례관리 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서비스 지원체계 등에 관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애니메이션의 조명 연출에 대한 연구 - 3D 애니메이션 장면에서 나타나는 정서적 어휘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Lighting Directing of Animation - Focusing on the Emotional Vocabulary that Appears in the 3D Animation Scene)

  • 이종한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36호
    • /
    • pp.349-374
    • /
    • 2014
  • 빛은 언어이다. 연출자가 애니메이션의 장면을 구성할 때 자신의 의도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장면구성요소를 적절하게 사용해야 한다. 캐릭터의 연기, 장면의소품의 배치 그리고 빛이 장면구성요소에 들어갈 수 있다. 이러한 것들은 관객이 작품의 내러티브를 이해하고 연출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정서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특히 빛을 이용하여 색이나 명암을 조절하여 장면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정서를 표현하므로 관객들이 자연스럽게 정서를 이해하고 작품에 집중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조명 연출은 초기 연극 무대나 렘브란트와 같은 회화작가의 작품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부분적으로 빛을 조절하여 장면이 가지고 있는 신성, 고민, 두려움 등 여러 가지 정서를 표현하여 작품의 극적 요소와 아름다움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연출자가 어떠한 의도를 가지고 빛을 이용하느냐에 따라 장면의 의미는 여러 가지로 변화할 수 있다. 조명은 대상의 인식과 시공간의 시각화라는 기본적인 기능 외에도 예술적 방식을 통해 인간의 정서에 자극을 주어 작품의 몰입도를 높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작품의 내러티브에 기초를 둔 장면의 정서적 표현을 하기 보조하기 위해 조명이 어떤 역할을 하며 적절한 정서를 표현하기 위해 조명을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알아볼 것이다. "영화 조명의 정서 표현 기능을 적용한 3D애니메이션 조명 연구"를 선행연구로 하여 3D 애니메이션에 적용할 수 있는 정서적인 언어의 표현을 분류하여 기존의 정서 이론에 기반을 둔 정서적 어휘와 결합한다. 그리고 3D 애니메이션에서 나타난 정서적 장면을 선택하여 정서를 표현하기 위한 조명의 연출을 분석하여 정리한다. 이것으로 연출자가 장면의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정서적인 언어에 맞는 조명 연출법을 정리하고자 한다. 이것은 장면의 정서를 표현을 위한 3D 애니메이션 조명 연출의 기준을 제시할 연구가 계속 되어지길 기대한다.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스트레스가 월경 전 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motional Labor and Stress on Premenstrual Syndrome among Hospital Nurses)

  • 이선희;송지아;허명행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1-70
    • /
    • 2016
  • Purpose: This study is an explorative survey to examine emotional labor, stress, and premenstrual syndrome among hospital nurses and to examine relationships among them.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28 nurses working at hospitals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September to October, 2014.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by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Score of emotional labor was different by work time per week (F=4.03, p=.019), and menstrual amount (F=5.18, p=.006). Level of stress was different by marital status (t=2.29, p=.023), pattern of work (t=-3.63, p<.001), work time per week (F=3.39, p=.035), regularity of menstrual cycle (t=-4.20, p<.001), and exercise frequency (F=4.28, p=.015). Scores of premenstrual syndrome were different by regularity of menstrual cycle (t=-3.18, p=.002), and menstrual amount (F=5.88, p=.003). Emotional labor was related with perceived stress (r=.40, p<.001) and premenstrual syndrome (r=.23, p<.001). Also, perceived stress was related with premenstrual syndrome (r=.33, p<.001). Conclusion: Nurses' emotional labor, stress, and premenstrual syndrome were higher than the average. Emotional labor was correlated with stress and premenstrual syndrome, premenstrual syndrome with stress. This study shows tha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se relationships and to search for nursing intervention to ease emotional labor, stress, and premenstrual syndrome.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감성지능이 서비스품질과 조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Impact of Flight Attendants'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Service Quality and Organization)

  • 전지선;채규진;최문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735-74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자신 및 다른 사람의 정서를 인지하고 조절하며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라 정의되는 감성지능이 항공기라는 특수한 환경 속에서 근무하는 승무원들의 서비스품질 수행에 중요한 요인으로 판단되어 연구하였다. 더불어 감성지능이 직무만족과 조직충성도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영향관계를 구체적으로 검증하고자 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 국내 K항공사 승무원들의 감성지능을 분석하고, 이것이 승무원들의 서비스품질 수행과 직무 만족도 및 조직 충성도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승무원 조직 내 특이성을 파악하여 서비스품질 향상과 기업 조직 강화를 위한 적절한 방안들을 제시하기 위한 초석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감성지능이 높으면 서비스품질의 업무수행을 잘 해서 직무만족을 높이는데 기여하며, 직무만족이 조직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감성능력이 조직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항공사의 서비스품질 수행능력을 높일 뿐 만 아니라 근무에 대한 만족과 충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도 감성지능이 풍부한 직원을 뽑거나 지속적인 감성교육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