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al Technology

검색결과 1,096건 처리시간 0.03초

대본 내용에 의한 정서음성 수집과정의 정규화에 대하여 (Normalization in Collection Procedures of Emotional Speech by Scriptual Context)

  • 조철우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2006년도 춘계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23-125
    • /
    • 2006
  • One of the biggest problems unsolved in emotional speech acquisition is how to make or find a situation which is close to natual or desired state from humans. We proposed a method to collect emotional speech data by scriptual context. Several contexts from the scripts of drama were chosen by the experts in the area. Context were divided into 6 classes according to the contents. Two actors, one male and one female, read the text after recognizing the emotional situations in the script.

  • PDF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직무만족도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 및 매개효과 (Resilience as a Moderator and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nd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among Nurses working in ICUs)

  • 변미림;이윤미;박효진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4-34
    • /
    • 2019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among nurses working in intensive care units (ICUs). Method : The participants were 144 ICU nurses from three university hospitals.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t-test, ANOVA, $Scheff{\acute{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5.0.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was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Baron and Kenny's procedure. Results :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emotional labor and resilience (r=-.21, p<.014) and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r=-.34, p<.001).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resilience and job satisfaction (r=.31 p<.001). A partial mediating effect by resilience was found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atisfaction (Z=-2.11, p=.034), but no moderating effect was found. Conclusion :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of ICU nurses, evaluation of their emotional labor, resilience, and interventions are necessary to alleviate emotional labor and improve resilience.

항공사 콜센터 상담원의 감정노동과 소진 및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motional Labor,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of Airline Call Center Wokers)

  • 윤선영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10
    • /
    • 2010
  • 본 논문은 고객과 직접적인 대면을 하지 않고 정보통신(전화)을 이용하여 감정노동을 수행하는 항공사 콜센터 상담원들의 감정노동의 결과로 표출되는 소진(Burnout)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감정노동은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소진이 직무만족을 저해시켜 결국 이직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 이직율이 높은 콜센터 운영에서 관리하여야 할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실증분석 하였고 콜센터 운영에 있어서 감정노동이 상담원의 관리에 중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간호대학생의 학습참여, 감성지능, 학업탄력성과의 관계 : 자기조절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among Learning Engagement, Emotional Intelligence, and Academic Resilicence of Nursing Students :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 Regulation)

  • 정미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1268-128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학습참여와 학업탄력성과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학습참여와 감성지능의 관계에서 자기조절이 조절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J지역 3개교 간호대학생 27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 변인들 간의 관계는 회귀분석과 부트스트래핑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간호대학생의 학습참여, 감성지능, 학업탄력성 그리고 자기조절 간의 인과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타당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간호대학생의 학습참여가 학업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감성지능의 부분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간호대학생의 학습참여가 감성지능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절은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는 간호대학생의 학업탄력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변인들의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는 것과 학업탄력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대상자들의 학업참여, 감성지능과 자기조절도 함께 고려한 전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간호리더를 위한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감성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the Emotional Leadership by Enneagram for Nurse's Leaders)

  • 김혜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737-747
    • /
    • 2019
  • 본 연구는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감성리더십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간호 리더에게 적용하여 프로그램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의 유사 실험연구이다. 우선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감성리더십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S시와 B, D시에 위치한 4개의 500병상이상의 국공립병원 및 2차 병원의 주임 급 간호 리더에게 2018년 5월 21일~6월 25일까지 총 6주간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감성리더십, 자기 효능감, 조직성과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으며, 각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 감성리더십, 자기 효능감, 조직성과에 대한 사전 동질성은 자료의 정규성 여부에 따라서 각각 ${\chi}^2$-test, Fisher's exact test,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감성리더십프로그램이 조직성과와 감성리더십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간호리더의 감성리더십과 조직성과를 향상시키는 간호중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액터 닥터: 병원으로 간 배우들 (Actor Doctor: Actors Visiting Hospitals for Care)

  • 이강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3호
    • /
    • pp.229-238
    • /
    • 2022
  • 본 논문은 예술과 의료의 융합 개념인 '액터 닥터'를 통해서, 배우와 그 이중으로서의 정서 돌보미에 관하여 다룬다. 처음에, 액터 닥터는 사회공헌 프로그램에서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일원으로 출발했다. 그러나 진화하는 액터 닥터 프로젝트에서, 액터 닥터는 배우 직업을 유지하면서, 전문 의료 제공자가 되는 이중 직업인을 추구한다. 액터 닥터는 따뜻한 가슴, 높은 정서 지능, 그리고 전문가적 기술을 갖춘 기능인으로서, 우리의 정서적 삶이 위협받는 이 시대에 더욱 필요성이 요구된다. 액터 닥터는 배우의 능력과 훈련을 이용해서, '건강 사회와 생활 복지'라는 사회적 비전을 실현시킬 수 있는 생활 밀착 정서 돌보미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퍼포먼스 연구와 인지과학의 전망으로부터, 정서 전문가로서 일하는 액터 닥터의 개념, 역할, 기능, 기술 등을 과학적 기초 위에 정립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신건강 위험 예측 및 관리를 위한 멘탈 헬스케어 디지털 트윈 기술 연구 (Mental Healthcare Digital Twin Technology for Risk Prediction and Management)

  • 양세모;이강윤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9-36
    • /
    • 2022
  • 감정 노동 및 서비스업 종사자의 급격한 증가에 따른 감정노동자의 스트레스 및 우울증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감정노동자의 정신건강 관리는 스트레스 상황 당시의 정서반응을 고려하기 어렵고 개인의 기저 상태가 반영되지 않아 기존 정신건강 관리의 한계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 맞춤형 스트레스 위험 관리 솔루션인 멘탈 헬스케어 디지털 트윈 솔루션 기술을 제시한다. 감정노동으로 인한 정신건강 위험 관리를 위해, 정서/신체반응 및 환경 등의 개인별 스트레스 위험요인을 다양한 모달리티로 추출하고 가상 공간에서 동적 객체의 동기화/모델링을 통하여 스트레스 위험도를 정밀 예측하는 솔루션 탐색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사용자에게 맞는 인터벤션을 제공하여, 감정노동자의 환경에 맞게 모달리티와 객체의 구성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피드백에 따라 개선 가능한 개인 맞춤형 정신건강 위험 예측을 위한 멘탈 헬스케어 디지털 트윈 솔루션을 제공한다.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대인관계유능성이 돌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ursing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n Caring Efficacy)

  • 박의정;정경순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15-124
    • /
    • 2023
  •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nursing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n their caring efficacy. Methods : This study surveyed 217 junior and senior nursing students from City B in South Korea between June 1 and June 30, 2023. The SPSS 22.0 program was employ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by computing the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s well as by conducting t-test, ANOVA test, Scheffe'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a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The nursing students exhibited an average emotional intelligence of 5.31±.78, interpersonal competence of 3.47±.56, and caring efficacy of 4.02±.62. The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p<.001), satisfaction with the clinical practice (p<.001), satisfaction with their relationship with clinical practice instructors (p=.001), and the standard of living (p=.021). Furthermo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personal competence was observed in terms of th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p=.003), satisfaction with the clinical practice (p=.001), satisfaction with their relationship with clinical practice instructors (p=.002), and subjective mental health (p=.005). Meanwhile caring efficacy demonstr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gard to the grade level (p=.001), satisfaction with the major (p<.001), satisfaction with the clinical practice (p<.001), satisfaction with their relationship with clinical practice instructors (p=.007), subjective mental health (p<.001), and subjective physical health (p=.047).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 caring efficacy included interpersonal competence (p=.002), grade level (p<.001), satisfaction with the major (p=.004), and emotional intelligence (p=.020), all of which together accounted for an explanatory power of 22.3 %. Conclusion :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vident that further research related to the emotional intelligenc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caring efficacy of nursing students must be encouraged in the future. Furtherm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develop appropriate programs aimed at enhancing nursing students' caring efficacy by accounting for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BELBIC을 이용한 Rotary Inverted Pendulum 제어 (Control of a Rotary Inverted Pendulum System Using Brain Emotional Learning Based Intelligent Controller)

  • 김재원;오재윤
    • 한국생산제조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837-844
    • /
    • 2013
  • This study performs erection of a pendulum hanging at a free end of an arm by rotating the arm to the upright position. A mathematical model of a rotary inverted pendulum system (RIPS) is derived. A brain emotional learning based intelligent controller (BELBIC) is designed and used as a controller for swinging up and balancing the pendulum of the RIPS. In simulations performed in the study, a pendulum is initially inclined at $45^{\circ}$ with respect to the upright position. A simulation is also performed for evaluating the adaptiveness of the designed BELBIC in the case of system variation. In addition, a simulation is performed for evaluating the robustness of the designed BELBIC against a disturbance in the control input.

The Effects of Depression and Stress on College Life Adjustment of Ophthalmic Optics Students

  • Cho, Seonahr;Kwak, Jinkyu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7권4호
    • /
    • pp.14-22
    • /
    • 2019
  •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into the effects of depression and stress on college life adjustment of ophthalmic optics students.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empirically carried out to 142 male and female students majoring in ophthalmic optics at colleges in Gangwon-do. The findings are as follows: Depress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adjustment and social adjustment, but no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adjustment and college satisfaction. Stress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adjustment, but no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adjustment, emotional adjustment and college satisfaction. The above results showed that depression and stress were major factors affecting academic and social adjustments, and academic adjustment, respectively. Which means that depression restricted the activities of academic adjustment and social adjustment, and did not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psychological mechanisms - emotional adjustment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Stress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adjustment, but did not have a direct relationship with social adjustment, emotional adjustment and college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