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al Self-sufficiency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2초

자활사례관리가 정서적 자활에 미치는 영향: 자활사례관리 수행에 대한 자활참여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Effects of the Self-Sufficiency Case Management on the Emotional Self-Sufficiency: Focusing on the Perceptions of Self-Sufficiency Program Participants)

  • 이은지;조준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19-29
    • /
    • 2019
  • 본 연구는 근로능력이 미약한 빈곤층을 대상으로 하는 자활사례관리가 자활참여자의 정서적 자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이다. 이를 위해 이론적 개입관점과 참여자의 인식에 기반한 자활사례관리 척도를 구성하고, 춘천지역에서 시장형 및 비시장형 자활사업단 참여자 142명에 대해 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자활사례 관리를 사회적 지지망과 임파워먼트 요인으로 구성한 뒤, 이에 따른 정서적 자활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자활사례관리, 그중에서도 특히 사회적 지지망 유형의 사례관리가 자활 참여자의 정서적 자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업단 유형에 따른 자활사례관리의 차별적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변화하는 자활환경에서 갈수록 강조되는 자활사례관리의 효과성에 대한 실증자료를 제공하고, 사업단 유형을 뛰어넘는 사회적 지지망 중심의 자활사례관리 확대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자활사업 참여자의 조직헌신이 정서적 자활에 미치는 영향 및 경제적 스트레스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Devotion and Moderating Effect of Economic Stress on Emotional Self-Sufficiency among the Participants of Self-Sufficiency Program)

  • 엄태영;임진섭
    • 한국사회정책
    • /
    • 제20권2호
    • /
    • pp.9-34
    • /
    • 2013
  • 본 연구는 자활사업 참여자들의 정서적 자활과 조직헌신의 관계를 분석하고 동시에 이들이 경험하는 경제적 스트레스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향후 국내 자활사업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2년 11월 대구광역시 자활근로사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698명이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변수간의 인과관계 및 조절효과 검증을 위해 다중선형회귀분석방법(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을 적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자활사업단에 소속된 자활참여자의 조직헌신 정도가 높을수록 정서적 자활 역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헌신과 정서적 자활간의 관계에서 참여자들이 인식하는 경제적 스트레스 정도가 조절변수(moderating variable)로 기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비춰본다면 향후 국내 자활사업 참여자들의 정서적 자활 향상을 위해서는 공동체의식교육 이외에 경제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자활사업 참여자들의 정서적 자활에 대한 조직헌신과 경제적 스트레스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향후 자활사업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실천적 개입의 기초자료를 제공해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자활사업 참여자의 정서적 자활과 사회적 자활의 영향요인 연구: 사회적응프로그램 참여자를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Emotional and Social Self-Sufficiency of Welfare-to-Work Recipients: Focused Social Adaptation Program)

  • 이은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2호
    • /
    • pp.539-548
    • /
    • 2014
  • 본 연구는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자활사업의 탈수급 탈빈곤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자활참여자의 복합적이고 다양한 근로장벽 특성상 자활 효과의 다차원적인 접근으로 정서적, 사회적 자활의 역할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자활프로그램 중 심리사회적 어려움으로 가장 자활가능성이 취약한 사회적응프로그램 참여자의 정서적 자활과 사회적 자활의 효과 및 그 영향요인을 검증하고자 한다. 조사 대상은 전국의 사회적응프로그램 수행기관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표집하였으며,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이 검증에 활용되었다. 분석결과, 첫째, 사회적응프로그램 참여자의 정서적 자활 효과와 사회적 자활 효과는 보통 수준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적 자활의 영향요인으로는 요보호가구원수(-)와 교육프로그램 만족도(+)가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음이 밝혀졌고 사회적 자활에는 삶의 만족도(+), 조직유형, 교육프로그램 만족도(+), 건강서비스 만족도(+)가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자활사업의 평가와 관련된 정서적, 사회적 측면의 자활효과 측정의 필요함을 밝히고 심리사회적 다양한 근로장벽을 지닌 자활참여자 특성에 적합한 통합사례관리 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서비스 지원체계 등에 관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학생 주도적 영재 캠프 프로그램 개발 (Developing Students' Self-Directed Camp Programs for Gifted Students)

  • 이경숙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4호
    • /
    • pp.907-925
    • /
    • 2011
  • 본 연구는 2009년과 2010년 여름에 실시된 충남 인문 영재 학급의 연합 캠프 분석이다. 캠프 주제에 대한 학생의 사전 공부, 학생 개인별 프로젝트 연구 주제 선정 및 연구 계획서 작성, 캠프 후 그 연구 계획서에 따른 창의적인 산출물을 제작하는 학생 주도적 캠프 방법은 영재 학생들의 인지적 만족에 효과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숙형 캠프는, 교사나 다른 영재 학생들과의 친밀감을 증가시키며, 2학기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기대감 및 정서적 평안함이 증가되는 것으로 설문 결과 나타났다. 캠프를 위한 교사의 준비 정도, 학생들의 프로젝트에 대한 교사의 피드백 정도, 그리고 학생 개인의 사전 준비 정도가 학생들의 캠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영재 교육 및 연수 경험 정도에 따라 영재 학생에 대한 이해 및 캠프를 통한 영재아의 사회적, 정서적 발달에 대한 기대에 있어서 교사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 Caring Program for Health Promotion among Women Who Have Experienced Trauma: A Quasi- Experimental Pilot Study

  • Kim Goun;Kim, Heejung;Park, Jeongok;Kang, Hee Sun;Kim, Soojin;Kim, Sunah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3권5호
    • /
    • pp.500-513
    • /
    • 2023
  • Purpose: Women are more vulnerable to post-traumatic stress (PTS) than men, causing several health problems. Nurses should understand and work with women who have experienced trauma and provide interventions to promote their physical, social, and mental health. Methods: This quasi-experimental pilot study used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Data were collected from 14 women recruited between December 2019 and May 2020 from a self-sufficiency support center in South Korea for sexually-exploited women who had experienced trauma. The program consisted of six one-on-one intervention sessions per week for six weeks. Each session averaged 60~120 minutes. Participants were assessed at pre-test, post-test, and one-month follow-up. Changes in outcome variables over time were analyzed using the Wilcoxon signed-rank and Friedman tests. Results: The caring program for health promotion was divided into six sessions: understanding the self, sharing traumatic events and negative emotions, reframing the meaning of traumatic events, identifying thoughts and physical and emotional responses, developing health promotion activities, and maintaining a positive attitude during the process of change. As a result of the caring program, PTS (F = 36.33, p < .001), depression (F = 24.45, p < .001), health-promoting behaviors (F = 7.06, p = .004), and self-esteem (F = 19.74, p < .001) among the participants differed significantly at pre-test, post-test, and follow-up.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foundational informa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a theory-driven program by nurses in clinical and community settings to provide comprehensive care for women who have experienced trauma.

Why Do People Move to Cohousing Communities in Sweden? -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40 Cohousing and the Mixed-Age Cohousing?

  • Choi, Jung Shin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15권2호
    • /
    • pp.77-86
    • /
    • 2013
  • Cohousing is based on collaborative network, or fictive kin in the community. It could facilitate the goal of self-sufficiency.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motivation of move to cohousing communities in Sweden, and to find out if there a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wo different cohousing types; between the +40 cohousing and the mixed-age cohousing. The +40 cohousing is a kind of senior cohousing in which residents are supposed to be aged over 40. Questionnaire survey was applied and 242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statistical program. Notable differences in demographic and dwelling variables are found between the 2 groups. There are more women, singles, academics, and small dwellings in the +40 cohousing than in the mixed-age cohousing. Referring motivation of move, "sharing common activity" and "idea of cohousing" are commonly noticed as the main reasons why people move to cohousing communities. Major difference between the 2 groups is that residents of the +40 cohousing tend to stress more on social interaction with neighbors than practical merit. On the contrary, ones of the mixed-age cohousing focus more on practical advantage than social interaction. As a conclusion, it is evident that motivation of move to cohousing communities is different by cohousing types, which have different residents' characteristics. Cohousing could contribute to elevate marginal group's quality of life as an alternative living environment. Therefore, cohousing design has to be tailored to adapt residents' specific needs of different life-stages. In order to implement cohousing model into other countries, for instance into Korea, it needs to experiment with the notion of transplanting selected cohousing principles to a public housing development. In the mixed-age cohousing where more dual income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than conventional housing developments reside, residents would need more practical advantage than emotional support in the community, while as residents in the senior cohousing need vice versa.

Trend Analysis of Grow-Your-Own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Focusing on Hashtags on Instagram

  • Park, Yumin;Shin, Yong-Wook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51-460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 The prolonged COVID-19 pandemic has had significant impacts on mental health, which has emerged as a major public health issue around the world.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rends and network structure of 'grow-your-own (GYO)' through Instagram, one of the most influential social media platforms, to encourage and sustain home gardening activities for promotion of emotional support and physical health. Methods: A total of 6,388 posts including keyword hashtags '#gyo' and '#growyourown' on Instagram from June 13, 2020 to April 13, 2021 were collected. Word embedding was performed using Word2Vec library, and 7 clusters were identified with K-means clustering: GYO, garden and gardening, allotment, kitchen garden, sustainability, urban gardening, etc. Moreover, we conducted social network analysis to determine the centrality of related words and visualized the results using Gephi 0.9.2. Results: The analysis showed that various combinations of words, such as #growourrownfood, #growourrownveggies, and #growwhatyoueat revealed preference and interest of users in GYO, and appeared to encourage their activities on Instagram. In particular, #gardeningtips, #greenfingers, #goodlife, #gardeninglife, #gardensofinstagram were found to express positive emotions and pride as a gardener by sharing their daily gardening lives. Users were participating in urban gardening through #allotment, #raisedbeds, #kitchengarden and we could identify trends toward self-sufficiency and sustainable living. Conclusion: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expected that the trend data of GYO, which is a form of urban gardening,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to establish urban gardening plans considering each characteristic, such as the emotions and identity of participants as well as their dispositions.

빈곤노인의 노화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Lived Experience of Aging of the Poor Elderly)

  • 장경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1권4호
    • /
    • pp.355-380
    • /
    • 2009
  • 본 연구는 빈곤노인의 노화경험의 의미를 발견해내고 이를 바탕으로 빈곤노인을 위한 복지정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빈곤노인을 기준표집방법으로 총 16명 선정하여 심층면접을 진행하였고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빈곤노인의 노화경험의 의미는 27개 주제, 10개 주제묶음과 4개의 범주로 나타났다. 4개의 범주는 '죽음으로 향해 가기', '초라해지는 마음', '험한 인생살이', '삶의 끈을 지켜나가기'이었다. 이러한 의미를 통합해볼 때 빈곤노인의 노화경험의 본질은 '정부로부터 생계비를 받을지언정 제 힘으로 살아가기'로 발견되었다. 빈곤노인의 노화경험은 의존적이라기보다는 독립적이고 긍정적인 삶의 의미를 강하게 드러냈고, 생계비가 최소한의 생존비용임을 보여주었고, 심한 죽음불안을 나타냈으며, 가(家) 중심의 유교문화적 맥락을 통해 이해될 수 있었다. 이에 빈곤노인복지정책은 이들의 독립적이고 긍정적인 생활지원을 위한 사회활동의 촉진, 최저생계비의 현실화, 심리정서적 서비스의 강화, 죽음준비교육의 실시, 빈곤노인복지정책의 매뉴얼 구축 등으로 제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