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on mining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8초

집단 감성과 모바일 게임 사용경험 : 카카오게임 사례연구 (Collective Sentiments and Users' Feedback to Game Contents : Analysis of Mobile Game UX based on Social Big Data Mining)

  • 천영준;곽규태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45-156
    • /
    • 2015
  • 현재까지 모바일 게임 사용자 연구는 개별 콘텐츠의 재미, 중독성, 편의성과 같은 1차적 정서를 분석하는 차원에 머물러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의 확산 이후 사용자들의 멀티태스킹이 보편화되면서 사용자의 게임 콘텐츠 경험은 복잡해지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행위를 동시에 수행하는 사용자의 관점에서 모바일 게임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분석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집단 감성의 관점에서 모바일 게임 사용자들의 연결된 심성 모형을 포착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사용자들의 비의도성과 의도성을 동시에 포착할 수 있는 소셜 데이터 분석을 실시했으며, 그 결과로 서비스의 교차 소비, 정보 추천방식의 다양화, 관계 기반의 과제 경험을 주요 이슈로 제시했다.

인스타그램 광고에 대한 이용자의 감정반응 요인이 구매의도와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D Factors Purchase Intention and Word-of-Mouth on Instagram Advertising Users)

  • 백진주;변제민;권두순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47-72
    • /
    • 2021
  •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s purchase intention and word-of-mouth for Instagram advertisements. In addition, Instagram currently has many users in the order of Kakao Talk, Facebook, and Instagram. However, most of the previous prior papers are 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of Instagram. Recent research on Instagram advertising has been lacking. This research is academically significant in that it conducted with the focus on advertising on Instagram. In addition, we provide a framework based on future research in that we proposed a model between human psychology and the oral effect on how much Instagram affects purchasing through the theory of emotional response (PAD). Future studies need to demonst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response (PAD) factors that directly affect purchase intent. Finally, it will need to be studied to analyze purchasing patterns using data mining techniques between different social network services.

한국어 특성을 고려한 감성 분류 (Sentiment Classification considering Korean Features)

  • 김정호;김명규;차명훈;인주호;채수환
    • 감성과학
    • /
    • 제13권3호
    • /
    • pp.449-458
    • /
    • 2010
  • 다양한 분야에서 인터넷 상의 방대한 양의 문서 혹은 리뷰로부터 유용한 정보를 얻고자 하는 노력이 높아짐에 따라 문서 혹은 리뷰 상의 생각 및 의견에 대한 자동 분류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자동분류를 감성 분류라 하며, 감성 분류 연구는 크게 세 가지 단계를 가지는데, 첫 번째로 주관적인 생각이나 느낌을 표현하는 문장을 추출하기 위한 주관성 분류 연구, 두 번째로 문서 또는 문장을 긍정, 부정으로 나누는 극성 분류 연구, 그리고 세 번째로 문서 또는 문장이 어느 정도의 주관성 및 극성을 갖는지 그 강도를 구하는 강도 분류 연구이다. 최근 의견 분류에 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분류를 위해 자질(Feature)로서 단일어(Single word)가 아닌 2개 이상의 N-gram 단어, 어휘 구문 패턴 및 통사 구문 패턴 등을 사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패턴은 단일어나 N-gram 단어에 비해 유연하고, 언어학적으로 풍부한 정보를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연구들은 주로 영어에 대한 연구들이었으며, 한국어에 패턴을 적용하여 주관성을 갖는 문장을 분류하거나, 극성을 분류하는 연구들은 아직 미비하다. 한편, 한국어는 용언의 활용이 발달되어 있어, 어미의 변화가 다양하며, 그 변화에 따라 의미가 미묘하게 변화한다. 그러나 기존 한국어에 대한 의견 분류 연구들은 단어의 핵심 의미만을 파악하기 위해 어미부분을 제거하고 어간만을 취해서 처리하여 어미에 대한 의미변화를 고려하지 못하였다. 그래서 본 연구는 영어에 적용된 패턴을 이용한 기존 방법들을 정리하고, 그 방법들 중에서 극성을 지닌 문장성분 패턴을 한국어에 적용하였다. 그리고 어미의 변화에 대한 패턴을 추출하여 이 변화가 의견 분류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PDF

장기적 금연 지속기간 예측 모형: 스트레스 대처를 중심으로 (Decision-Tree Model of Long-term Abstention from Smoking: Focused on Coping Styles)

  • 서경현;유제민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73-90
    • /
    • 2005
  • Objectives: Smokers who had failed to quit smoking were frequently reported that life stress mostly interrupted their abstention. Stress vulnerability model for smoking cessation has been considered, and most of contemporary smoking cessation programs help smokers develop coping strategies for stressful situation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ppropriate coping styles for stress of abstention from smoking.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bstention following smoking cessation program and coping styles would suggest useful information for those who want to stop smoking and health practitioners who help them. Methods: Participants were 69 smokers (62 males, 7 females) participated in a hospitalized smoking cessation program, whose mean age was 44.89 (SD=9.61). Participants took medical test and completed questionnaires and psychological tests including: Fagerstrom Test for Nicotine Dependence and Multidimensional Coping Scale. To identify participants' abstention, researchers followed them for 2 years. To identify whether abstained or not and encourage them to abstain, researchers called them on the telephone once a week for 3 months. After 3 months, they were contacted every other week till 6 months passed since they left smoking cessation program. And they were contacted once a month for other 18months. Researchers also contacted their family to identify their abstention. Data Mining Decision Tree was performed with 37 variables (13 variables for the coping styles and 24 smoking-related variables) by Answer Tree 3.0v Results: Forty four (63.8%) out of sixty nine for 2 weeks, 34 (49.3%) for 6 months, 25 (36.2%) abstained for 1 year, and 22 (31.9%) abstained for 2 years. Participants of this study abstained average of 286.77 days from smoking. Included variables of a Decision Tree model for this study were positive interpretation, emotional expression, self-criticism, restraint and emotional social support seeking. Decision Tree model showed that those (n=9) who did not interpret positively (<=7.5) and criticized themselves (>6.5) abstained 23 days only, while those (n=9) who interpreted positively (>7.5), expressed their emotion freely (>6.5), and sought social support actively (>11.5) abstained 730 days, till last day of the investiga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certain coping styles such as positive interpretation, emotional expression, self-criticism, restraint and emotional social support seeking were important factors for long-term abstention from smoking. These findings reiterate the role of stress for abstention from smoking and suggest a model of coping styles for successful abstention from smoking. Despite of limitation of this study, it might help smokers who want to stop smoking and health practitioners who help them.

표정 분류 연구 (Analysis of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 손나영;조현선;이소현;송종우
    • 응용통계연구
    • /
    • 제31권5호
    • /
    • pp.539-554
    • /
    • 2018
  • 최근 등장하는 다양한 사물인터넷 기기 혹은 상황인식 기반의 인공지능에서는 사용자와 기기의 상호작용이 중요시 된다. 특히 인간을 대상으로 상황에 맞는 대응을 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표정을 실시간으로 인식하여 빠르고 정확한 판단을 내리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표정을 인식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얼굴 이미지 분석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선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웹사이트 Kaggle에서 제공한 48*48 8-bit grayscale 이미지 데이터셋을 사용하여 얼굴인식과 표정분류로 구분된 두 단계를 거치는 얼굴표정 자동 인식 시스템을 구축하였고, 이를 기존의 연구와 비교하여 자료 및 방법론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Face landmark 정보에 주성분분석을 적용하여 단 30개의 주성분만으로도 빠르고 효율적인 예측모형을 얻을 수 있음이 밝혀졌다. LDA, Random forest, SVM, Bagging 중 SVM방법을 적용했을 때 가장 높은 정확도를 보이며, LDA방법을 적용하는 경우는 SVM 다음으로 높은 정확도를 보이며, 매우 빠르게 적합하고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두이노 센서 기반 학업 효과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ing Method of Academic Effect based on Arduino sensors)

  • 배영철;홍유식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226-232
    • /
    • 2016
  • 효율적으로 수학 및 과학 성적 향상을 위해서는 뇌 체조 및 스트레스 해소 및 감성 조명이 효과적이라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원리는 과학 과목은 뇌파가 안정되고, 수학문제를 풀 경우에, 스트레스를 최소화 하고 안정감을 느낄 정도의 편안한 조도를 유지 시키면, 두뇌 회전을 빠르게 수행 한다는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과학 및 수학 학습을 효과적으로 하기위해서, 스트레스 치료 및 음악치료를 이용해서, 최적의 학습조건 모의실험을 하였다. 그러나,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서, 좋아하는 음악이나 색깔은 많은 차이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최적의 조명 치료및 음악치료를 제안하고 모의실험 하였다.

트위터를 활용한 감성 기반의 영화 유사도 측정 (Measuring Similarity Between Movies Based on Sentiment of Tweets)

  • 김경민;김동윤;이지형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292-297
    • /
    • 2014
  • 최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보편화되면서, 이를 활용하여 사람들의 의견이나 감성 등을 파악하기 위한 감성분석 연구가 다양한 분야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영화 관련 연구의 경우, 대부분이 영화평에 대해 단순 긍/부정으로 감성분석을 하여, 영화에 대한 선호도를 파악하는 데 그쳤다. 사람의 감성은 단순 긍/부정이 아닌 다양한 감성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반해, 이분법적 감성분석은 영화의 평점 정보에서 손쉽게 얻을 수 있는 선호도와 유사한 분석을 하는데 그친다. 따라서 영화의 평점보다 다양하고 유용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영화 리뷰를 세분화된 감성으로 분석하여 영화에 대해 느낀 감성을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Thayer 모델을 기반으로 감성 분류 기준을 세우고, 수집한 영화 관련 트윗을 이용하여 각 영화에 대해 대중이 느끼는 감성을 분석한다. 분석된 영화에 대한 감성 비율을 유클리드거리, 코사인유사도, 피어슨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영화간의 유사도를 측정하였다. IMDB에서 제공하는 유사 영화 정보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식의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생체신호를 활용한 학습기반 영유아 스트레스 상태 식별 모델 연구 (A Machine Learning Approach for Stress Status Identification of Early Childhood by Using Bio-Signals)

  • 전유미;한태성;김관호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8
    • /
    • 2017
  • 오늘날 감정 표현이 서툰 영유아가 처한 극도의 스트레스 상태를 자동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영유아의 안전을 위협하며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위험 상황의 실시간적인 인지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기술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생체신호를 활용하여 영유아의 스트레스 상태를 분류하기 위한 기계학습 기반의 모델과 생체신호 수집용 스마트 밴드 및 모니터링용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의 감정을 나타내는 주요한 요인이 되는 음성 및 심박 데이터의 조합을 활용하여 기존에 널리 알려진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통해 영유아의 스트레스 상태 패턴을 학습하고 예측한다. 본 연구를 통해 생체신호를 활용하여 영유아의 스트레스 상태 식별을 자동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나아가서 궁극적으로 영유아의 위험 상황 예방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I 스피커!, 감정을 담아 말해봐 - SNS 댓글 분석을 중심으로 (AI speakers!, Speak with feelings - Focusing on Analysis of SNS Comments)

  • 김준환;이남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7호
    • /
    • pp.101-110
    • /
    • 2020
  • AI 스피커를 비롯한 관련 디바이스에 감정 맞춤형 서비스나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된 기기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AI 스피커 사용자들이 작성한 구매 후기 텍스트들의 주제를 확인하고, 실제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분석 결과와 비교하기 위해서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기반의 토픽모델링 분석을 수행하였다. 더 나아가 AI 스피커 사용 경험이 있는 이용자 600명을 대상으로 사용자가 지각한 스피커의 감성지능과 관계품질을 조사하고 서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지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첫째, 토픽모델링 분석결과는 대부분의 글에서 주로 AI 스피커의 기능적인 측면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가 인식하는 AI 스피커의 감성지능은 관계품질에 영향을 미치며, 관계품질은 고객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본 연구는 AI 관련 기존 연구를 확장시켜 감성지능 및 관계품질의 개념을 새롭게 접목하여 분석함으로써 이론적 및 실무적으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Safeguarding Korean Export Trade through Social Media-Driven Risk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 Sithipolvanichgul, Juthamon;Abrahams, Alan S.;Goldberg, David M.;Zaman, Nohel;Baghersad, Milad;Nasri, Leila;Ractham, Peter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4권8호
    • /
    • pp.39-62
    • /
    • 2020
  • Purpose - Korean exports account for a vast proportion of Korean GDP, and large volumes of Korean products are sold in the United States. Identifying and characterizing actual and potential product hazards related to Korean products is critical to safeguard Korean export trade, as severe quality issues can impair Korea's reputation and reduce global consumer confidence in Korean products. In this study, we develop country-of-origin-based product risk analysis methods for social media with a specific focus on Korean-labeled products, for the purpose of safeguarding Korean export trade. Design/methodology - We employed two social media datasets containing consumer-generated product reviews. Sentiment analysis is a popular text mining technique used to quantify the type and amount of emotion that is expressed in the text. It is a useful tool for gathering customer opinions regarding products. Findings - We document and discuss the specific potential risks found in Korean-labeled products and explain their implications for safeguarding Korean export trade. Finally, we analyze the false positive matches that arise from the established dictionaries that were used for risk discovery and utilize these classification errors to suggest opportunities for the future refinement of the associated automated text analytic methods. Originality/value - Various studies have used online feedback from social media to analyze product defects. However, none of them links their findings to trade promotion and the protection of a specific country's export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fill this research gap, which could help to safeguard export trade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