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oticons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2초

메시지 해석에 이모티콘이 미치는 정서적 효과 - 휴대전화 문자 메시지 상황을 중심으로 (The Emotional Effect of Emoticon on Interpreting Text Message)

  • 안원미;김종완;한광희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11-18
    • /
    • 2010
  • 일상에서 휴대전화 사용자들은 익숙하고 친밀하게 문자 메시지와 이모티콘을 함께 사용하고 있지만 수신자가 메시지를 해석함에 있어서 어떠한 정서적 효과가 미치는지는 실험적으로 연구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CMC 상황 중에서 휴대전화의 문자 메시지 상황으로 도메인을 한정하여 이모티콘의 정서적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메시지와 이모티콘 정서가 사이의 다양한 관계를 살펴보았는데, 실험 1에서는 이모티콘의 영향을 증명하였고, 또한 이모티콘의 존재만으로 메시지의 완고성이 낮아지고 친밀성이 높아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실험 2를 통해 메시지의 정서가가 있는 경우에도 이모티콘이 여전히 발신자의 기분과 정서 측정에 있어 영향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상호작용 분석을 통해 두 매체의 정서가 불일치하는 경우 메시지를 빈정댄다고 지각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 PDF

모바일 메신저에서 이모티콘 캐릭터를 통한 플랫폼 비즈니스 확장에 관한 연구 - 카카오 프렌즈와 라인 프렌즈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se of Communication Functions in Mobile Messenger Emoticons - Focus on Line Messenger -)

  • 김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51-158
    • /
    • 2020
  • 모바일을 활용한 SNS는 소통을 위한 필수 요소이고 수단이자 현대인의 삶의 일부분이 되었다. 비대면 소통에 익숙해진 현대인들은 문자로 표현하지 못하는 감정을 전달하는 매개체로 이모티콘을 선택하였고, 꾸준히 그 사용량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는 다양한 스타일의 그림체와 움직임을 가지고 있는 이모티콘이 사용자들에게 감정적, 정서적 반응을 불러일으켜 그들의 취향까지 드러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국내를 대표하는 SNS 플랫폼인 (주) 카카오에서 출시한 카카오톡(Kakao talk)과 (주) 네이버가 내놓은 라인(Line)의 초기 이모티콘 캐릭터를 이용과 다양한 플랫폼 사업으로의 확장에 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양사의 사례를 바탕으로 향후, 국내 이모티콘이 문화콘텐츠로서의 발전 방향과 지향점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MIM커뮤니케이션에서 이모티콘 활용이 사용자 이미지메이킹과 자기표현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moticons on User Image making and Self-expression Satisfaction in MIM Communication)

  • 허진주;고혜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1136-1147
    • /
    • 2017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users' emoticon usage on their satisfaction with image making and self-expression in MIM communication. We defined internal attraction, social appeal, and communication ability as personal image making factors due to the use of emoticons in MIM communication. And we defined the research hypotheses based on the definition of intimacy, openness, and social reality as relational image making factors. In MIM communication, we analyzed the questionnaire about emoticon users. As a result, emoticon usag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self-expression in relation image making rather than personal image making. The study implies that the use of emoticons can lead to image making in MIM communication and satisfy the satisfaction of self expression.

Emoticon by Emotions: 소비자 감성 기반 이모티콘 추천 시스템 개발 (Emoticon by Emotions: The Development of an Emoticon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Consumer Emotions)

  • 김건우;박도형
    • 지능정보연구
    • /
    • 제24권1호
    • /
    • pp.227-252
    • /
    • 2018
  • 인터넷의 발달을 통해 지속적으로 인스턴트 커뮤니케이션이 발달해왔다. 인스턴트 커뮤니케이션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이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이다.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에서 이모티콘은 송신자의 감정 전달을 보완하기 위해 활용됐다.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송신자의 감정 전달에 약한 모습을 보이는데 그 이유는 면대면 커뮤니케이션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모티콘은 과거 화자의 기분 상태를 나타내는 기호로만 사용됐다. 그러나 현재는 이모티콘은 감정 전달 뿐만 아니라 개인의 특성과 개성을 나타내고 싶어 하는 소비자의 심리를 반영하는 형태로 발전해가고 있다. 이모티콘의 사용 환경이 개선되었고, 이모티콘 자체가 발전함으로써 이모티콘 자체에 대한 관심도는 증가하였다. 대표적인 예로 카카오톡, 라인, 애플 등에서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으며, 관련 컨텐츠 상품의 매출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모티콘 자체의 관심도 증가와 관련 사업의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현재 적절한 이모티콘 추천 시스템이 부재하다. 국내 점유율 90% 이상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인 카카오톡조차 단순히 인기 순이나 최근 순, 혹은 간략한 카테고리 별로 분류한 정도이다. 소비자들은 원하는 이모티콘을 찾기 위해서 스크롤을 계속해서 내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본인이 원하는 감성의 이모티콘을 찾기 어렵다. 소비자들이 편의성 향상과 기업의 이모티콘 관련 사업의 판매 매출 증가를 위해 소비자가 원하는 이모티콘을 추천해줄 수 있는 이모티콘 추천 시스템이 필요하다. 적절한 이모티콘을 추천하기 위해서 소비자가 이모티콘을 보고 느낀 감성에 대해 정량화할 필요성이 있다. 정량화를 통해 소비자가 원하는 이모티콘 셋이 가진 특징과 감성에 대해 분석할 수 있으며, 분석 결과를 토대로 소비자에게 이모티콘을 추천할 수 있다. 이모티콘은 메타데이터화의 방법으로 정량화가 가능하다. 메타데이터화 방법은 빅데이터 시대에 비정형, 반정형 데이터에 대해서 의미를 추출하기 위해 데이터를 구조화 혹은 조직화하는 작업이다. 비정형 데이터인 이모티콘을 메타데이터화를 통해 구조화한다면, 쉽게 소비자가 원하는 감성 형태로 분류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정확한 감성을 추출하기 위해 감정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통해 7개의 공통 감성 형용사와 한국어에서만 나타나는 은유 혹은 표현적 특징들을 반영하기 위해 하위 세부 표현들까지 고려했다. 이모티콘의 가장 큰 특징인 캐릭터를 기반으로 "표상", "형상", "색상"의 범주에서 세부 하위 감성들을 수집했다. 정확도 높은 추천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해 감성 지표만이 아니라 객관적 지표도 고려하였다. 메타데이터화 방법을 통해 이모티콘이 갖고 있는 캐릭터의 특징을 객관적 지표로 14개, 감성 지표로 활용하기 위해 감성 형용사를 36개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감성 형용사는 대비되는 형용사로 구성하여 총 18개로 줄였으며, 18개의 감성 형용사는 카카오톡의 이모티콘을 인기 순으로 임의의 40개 셋을 대상으로 측정하였다. 측정을 위해 이모티콘을 평가할 조사 대상자 온라인으로 모집하였고, 277명의 20~30대의 이모티콘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설문응답자에게 서로 다른 5개의 이모티콘 셋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평가 결과 수집된 18개의 감정 형용사는 요인분석을 통해 감성 지표 요인으로 추출하였다. 추출된 소비자 감성 지표의 요인은 "코믹", "부드러움", "모던함", "투명함"이었다. 이모티콘의 객관적 지표와 감성 지표 요인을 활용하여 소비자 만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고, 객관적 지표와 감성 지표 간의 관계도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객관적 지표가 소비자 태도에 바로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감성 지표 요인을 통해 소비자 태도에 영향을 주는 매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는 소비자의 감성 평가 메커니즘을 밝혀냈고, 소비자의 이모티콘 감성 평가 메커니즘은 객관적 지표가 감성 지표 요인에 영향을 미치며, 감성 지표 요인은 소비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였다. 따라서 감성 지표 요인의 네 가지만으로 이모티콘 추천 시스템을 설계하였고, 추천 방법은 각 감성과의 거리를 유클리디안 거리로 측정하여 거리의 차가 0에 가까울수록 비슷한 감성으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이모티콘 시스템의 검증을 위해 각 감성 지표 요인과 소비자 만족의 평균을 지표 값으로 활용하여 각 이모티콘 셋의 감성 패턴을 그래프로 비교하였고, 추천된 이모티콘들과 선택된 이모티콘이 대체로 비슷한 패턴을 그리는 것을 확인하였다. 정확한 검증을 위해 사전 조사하였던 소비자를 대상으로 이모티콘 추천 시스템이 제시한 결과와 유사하게 평가하였는지 유사 순위를 세 구간으로 나누어 비교하였고, 순위별 예측 정확도는 결과 1순위 81.02%, 2순위 76.64%, 3순위 81.63%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문적, 실무적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방법론을 제시하였으며, 기존에 없던 이모티콘 추천 시스템의 설계를 통해 소비자에게는 편의와 이모티콘을 서비스하는 기업에는 매출증대의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한다. 그리고 본 연구를 통해 지능형 이모티콘 시스템으로 발전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감성 요인들을 활용하여 감성 라이브러리로 사용함으로써, 새로운 이모티콘 출시 시 감성 평가의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축적된 감성 라이브러리와 기업의 판매 데이터, 매출 정보, 소비자 데이터를 결합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한 추천 시스템을 복합형 추천 시스템으로 발전시켜 단순 소비자의 편의성이나 매출 증가뿐만 아니라 기업에서 전략적으로 활용 가능한 지적 자산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이모티콘에 적용된 환유 유형과 현저성 속성 - 고 맥락과 저 맥락 이모티콘의 비교를 중심으로 - ((Types of metonymy applied to emoticons and their salience attributes -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high-context and low-context emoticons -))

  • 김찬희;류시천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0권4호
    • /
    • pp.91-101
    • /
    • 2021
  • 소셜미디어상의 이모티콘처럼 사회·문화적 맥락에 기초한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시각문화 시대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환유의 시각적 표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 맥락 안에서 환유가 어떤 방식으로 시각화되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환유 발현의 대표적인 기저 현상인 <현저성(Salience)>과 이를 통해 재현되는 다양한 <이모티콘>의 표현 원리를 문화 맥락과 짝지어 규명하는 것이다. 사회과학 분야의 대표 담론인 맥락이론을 기반으로 고 맥락의 <아프리카TV> 이모티콘과 저 맥락의 <트위치> 이모티콘을 사례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비교하였다. 주요 발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환유가 어떤 과정을 거쳐 시각적 결과물로 재현되는지에 관한 환유의 시각적 적용 모형을 제안하였다. 둘째, 이모티콘 표현방식에 적용된 환유 유형과 현저성 속성을 세부적으로 파악하였다. 셋째, 맥락이론에 기초하여 고 맥락의 시각적 환유와 저 맥락의 시각적 환유의 특성이 어떻게 상이한지를 제시하였다. 향후, 현지화 전략 구사가 필요한 디자인 개발과정에서 디자인 결과물의 현지 수용성, 현지 적합도 등을 판단하는 기준으로서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모바일 메신저 이모티콘의 이용동기에 대한 이용자의 태도 분석 - 개인성향을 조절 효과로 - (An Analysis of Users Attitudes toward the Motivation of Mobile Messenger Emoticons - Moderating Effect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

  • 권미정;김종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5호
    • /
    • pp.407-417
    • /
    • 2018
  • 본 연구는 모바일 메신저 이모티콘의 이용동기가 무엇이며, 이용동기와 구매의도간의 영향관계에서 개인성향(외향성/내향성)은 조절역할을 할 것인지를 알아보고자, 모바일 메신저를 사용하는 10대-60대의 198명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이를 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모바일 메신저 이모티콘 이용동기 요인은 "유희성 요인", "유용성 요인", "간결성 요인", 그리고 "범용성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바일 메신저 이모티콘 이용동기 중 유희성만이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바일 메신저 이모티콘의 사용자의 개인성향중 외향적인 성향이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테크노-코드로서의 캐릭터 이모티콘 분류체계 연구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Character Emoticon as the Techno-code)

  • 류철균;김정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479-489
    • /
    • 2015
  • 모바일 기기와 네트워크망이 보편화됨에 따라 현대인의 소통 방식이 변화하고 있다. 즉 모바일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대화의 비중이 늘어나면서 글이 중심이 되던 선형적 읽기와 말하기의 패러다임이 흔들리고 있는 것이다. 새로운 소통 방식에서 현대인들은 이모티콘을 적극 활용한다. 이로써 더 이상 그림은 글의 내용을 보충하는 보조적 수단이 아니라 테크노-코드라는 향상된 지위를 확보하게 되었다. 테크노-코드는 알파벳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시대의 기술적 형상이자 그림으로, 새로운 코드가 된다. 다시 말해, 비주얼 커뮤니케이션의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이러한 커뮤니케이션 패러다임의 변화는 빌렘 플루서가 말한 탈현대적 커뮤니케이션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캐릭터 이모티콘이 이러한 대화 모델의 변화를 주도하는 주체로서 기능한다고 보고, 이들을 단순 기호가 아닌 서사적 캐릭터로 인식하고 유형분류를 시도하였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탈현대적 커뮤니케이션의 새로운 모델의 양상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및 플랫폼 신뢰도가 모바일 콘텐츠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카카오플랫폼과 카카오톡 이모티콘을 중심으로 (The Impact of Trust in Mobile Instant Messenger and Platform on Mobile Contents Purchase Intention: Focusing on Kakao Platform and KakaoTalk Emoticon)

  • 정보희;김한구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5권2호
    • /
    • pp.131-152
    • /
    • 2016
  • Purpose Mobile phones increase the frequency and speed of communication. The most popular mobile application in Korea is KakaoTalk, one of the mobile instant messenger(MIM) services. Although studying mobile services such as SMS, SNS and SNG suggests drawing upon theories in marketing, consumer behavior, psychology to investigate their personal use, research on MIM is scarce. We designed this paper to fill this gap.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relationships among consumers psychological variables related to purchase intention to emoticons in context of MIM. Design/methodology/approach Data was obtained from 310 KakaoTalk users in Korea via questionnaire. The data was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order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in the model. Specifically,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benefits, perceived risks, trust in messenger service, system quality, trust in platform, and emoticons purchase intention. Finding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perceived benefits and perceived risk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rust in MIM service(e.g. KakaoTalk). Specifically, while perceived benefits had a positive effect on trust in MIM service, perceived risks had a negative effect on trust in MIM service. Second, trust in messenger service also had a positive impact on system quality. Third, trust in messenger service and system qu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rust in platform(e.g. Kakao platform) directly. Lastly, trust in platform had a positive influence on emoticons purchase intention in KakaoTalk messenger.

성격 특성과 이용 동기가 모바일 메신저 그래픽 이모티콘 활용에 미치는 영향: 카카오톡 사례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ersonality Traits and Motivations on Utilization of Graphical Emoticon in Mobile Messenger: Focusing on KakaoTalk)

  • 이성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129-140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 메신저 환경에서 어떠한 요인들이 그래픽 이모티콘의 활용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바탕으로, 인구통계학적 요인을 포함한 그래픽 이모티콘 활용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성격 5 요인 모델 및 이용과 충족 관련 선행 연구들을 중심으로 추출하여, 이들 요인들이 그래픽 이모티콘 활용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를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자료는 온라인 서베이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자료의 분석을 위해서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남성보다는 여성이, 연령이 낮을수록 그래픽 이모티콘 활용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개인 성격 측면에서는 외향성이 그래픽 이모티콘 활용 정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 동기, 유행, 대화의 간결성 동기는 모두 이모티콘의 활용 정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가 지니는 실무적 이론적 함의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Market Entry Strategy of LINE in Japan

  • Jung, Woo-Bum;Jung, Chang-Moon;Choi, Hyun-Young;Kim, Byoung-Goo
    • 동아시아경상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6-21
    • /
    • 2016
  • This study analyzed the successful case of Naver LINE's entry into the Japanese market. LINE pursued a strategy of establishing its dominance early on and implemented localization for Japan and thereby achieved success in the Japanese market. The various strategies adopted by LINE allowed it to win over 80% of the market share in Japan and function as a nationally ubiquitous mobile messenger. The conclusions to be drawn from our LINE analysis is that LINE must implement localization strategies sui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as it had done successfully in Japan. In the Asian region, it should retain the platform that provides various contents while pursuing a localization strategy to secure competitive edge, by offering emoticons suitable for each country, such as Ramadan emoticons in Islamic reg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