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ypes of metonymy applied to emoticons and their salience attributes -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high-context and low-context emoticons -)

이모티콘에 적용된 환유 유형과 현저성 속성 - 고 맥락과 저 맥락 이모티콘의 비교를 중심으로 -

  • 김찬희 (조선대학교 창의공학디자인융합학과) ;
  • 류시천 (조선대학교 디자인공학과 & 조선대학교 대학원 창의공학디자인학과)
  • Received : 2021.12.01
  • Accepted : 2021.12.17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Visual communication based on socio-cultural context, such as emoticons on social media, is increas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visual expression of metonymy as a means to correctly understand the communication method in the age of visual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metonymy is visualized within a cultural context. Specifically, , a typical underlying phenomenon of metonymy expression, and the expression principles of various reproduced through it are identified by pairing them with the cultural context. Based on context theory, which is a representative discourse in the social science field, emoticons from in high context and emoticons in in low context were selected and compared as case study subjects. The major findings are: First, a visual application model of metonymy was proposed regarding the process through which metonymy is reproduced as a visual result. Second, the types of metonymy and their salience attribute applied to the emoticon expression method was identified in detail. Third, based on the contextual theory, how the characteristics of high-context visual metonymy differ from that of low-context visual metonymy were presented.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criterion for judging the local acceptability and local suitability of design results in the design development process that requires the use of localization strategies.

소셜미디어상의 이모티콘처럼 사회·문화적 맥락에 기초한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시각문화 시대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환유의 시각적 표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 맥락 안에서 환유가 어떤 방식으로 시각화되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환유 발현의 대표적인 기저 현상인 <현저성(Salience)>과 이를 통해 재현되는 다양한 <이모티콘>의 표현 원리를 문화 맥락과 짝지어 규명하는 것이다. 사회과학 분야의 대표 담론인 맥락이론을 기반으로 고 맥락의 <아프리카TV> 이모티콘과 저 맥락의 <트위치> 이모티콘을 사례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비교하였다. 주요 발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환유가 어떤 과정을 거쳐 시각적 결과물로 재현되는지에 관한 환유의 시각적 적용 모형을 제안하였다. 둘째, 이모티콘 표현방식에 적용된 환유 유형과 현저성 속성을 세부적으로 파악하였다. 셋째, 맥락이론에 기초하여 고 맥락의 시각적 환유와 저 맥락의 시각적 환유의 특성이 어떻게 상이한지를 제시하였다. 향후, 현지화 전략 구사가 필요한 디자인 개발과정에서 디자인 결과물의 현지 수용성, 현지 적합도 등을 판단하는 기준으로서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Lakoff, G., Women, Fire and Dangerous Things: What Categories Reveal About the Mind,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7.
  2. 김동환, 환유와 인지, 인지언어학적 접근법, 한국문화사, 3쪽, 49쪽, 96쪽, 2019년
  3. 강현국, "시 감상 지도를 위한 분석틀 연구(1): 개념적 은유론을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논총, Vol. 18 No. 3, 2003년
  4. Kovecses, Z. and Radden, G., "Metonymy: developing a cognitive linguistic view," Cognitive Linguistics, vol. 9, no. 1, pp. 37-77, 1998. https://doi.org/10.1515/cogl.1998.9.1.37
  5. Panther, K-U. and Radden, G. (eds), Metonymy in Language and Thought,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1999.
  6. 하인쯔 크로웰 저, 최길렬 역, 현대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도서출판국제, pp. 99-116, 1993년
  7. 류시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디자인(HCI Design)에서의 시각적 표현 수단에 관한 연구", KAIST 석사학위 논문, 1995년
  8. 신지현, "시각적 환유광고 표현의 효과 연구", 부경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3년 2월
  9. Seto, K., Distinguishing metonymy from synecdoche. In K-U. Panther and G. Radden (eds), Metonymy in Language and Thought, 91-120. Amsterdam/Philadelphia: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