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5.15.04.479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Character Emoticon as the Techno-code  

Lyou, Chul-Gyun (이화여자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부)
Kim, Jeong-Yeon (이화여자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부)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aradigm of communication is changing by the generalization of mobile computers and the extension of network service. In the mobile messenger communication, people are increasingly using character emoticons to substitute linear text. This means that the character emoticons are functioning as narrative characters so that they are becoming the nonlinear techno-code, which can substitute for the alphabet code. As Vil$\acute{e}$m Flusser said, the post-modern communication is arrived. In this kind of communication, storytelling with character emoticons are effective enough to tell various stories. In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tries to prove the functions of character emoticons and suggests the classification of the character emoticon series. This paper also structures the post-modern communication model as a new paradigm of visual communication.
Keywords
Emoticon; Character; Visual Communic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이영미, "Social Network Service의 Visual Communication 표현 유형별 특성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Vol.13, No.4, pp.262-264, 2012.
2 조성태, "인터페이스 환경에서의 이모티콘 디자인에 관한 연구 - 플래시콘을 중심으로", 정보디자인학연구, Vol.9, p.295, 2006.
3 Charles Sanders Peirce, 김성도 편역, 퍼스의 기호사상, 민음사, pp.45-50, 2006.
4 Charles Sanders Peirce, 김성도 편역, 퍼스의 기호사상, 민음사, p.176, 2006.
5 이인화, 스토리텔링 진화론, 해냄, pp.208-210, 2014.
6 Philip Crick, "Kitsch," British Journal of Aesthetics, Vol.23, No.1, pp.48-52, 1983.   DOI
7 Gunter Kress and Theo van Leeuwen, Reading Images, London : Routledge, pp.204-208, 2006.
8 Vilém Flusser, 김성재 역, 코무니콜로기, 커뮤니케이션북스, p.107, 2001.
9 Vilem Flusser, 김성재 역, 코무니콜로기, 커뮤니케이션북스, p.156, 2001.
10 Vilem Flusser, 김현진 역, 그림의 혁명, 커뮤니케이션북스, pp.33-35, 2004.
11 엄기서, 신순범, "인터넷 시각언어 이모티콘의 기호학적 해석과 분석",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8, p.154, 2004.
12 조규명, 김경숙,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감성기호로서 이모티콘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Vol.55, pp.323-324, 2004.
13 http://www.koreanclick.com/
14 김승연, "이모티콘의 표현 양상에 관한 연구", 한국어 의미학, Vol.38, p.5, 2012.
15 엄기서, 신순범, "인터넷 시각언어 이모티콘의 기호학적 해석과 분석",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8, p.155, 2004.
16 이인화, 스토리텔링 진화론, 해냄, p.210, 2014.
17 이인화, 스토리텔링 진화론, 해냄, pp.209-210, 2014.
18 Northrop Frye, 임철규 역, 비평의 해부, 한길사, pp.97-306, 2000.
19 Vilem Flusser, 김현진 역, 그림의 혁명, 커뮤니케이션북스, pp.62-63, 2004.
20 Gunter Kress and Theo van Leeuwen, Reading Images, London : Routledge, p.18, 2006.
21 Vilem Flusser, 김현진 역, 그림의 혁명, 커뮤니케이션북스, pp.26-35, 2004.
22 Scott McCloud, 김낙호 역, 만화의 이해, 비즈앤비즈, p.163, 2008.
23 박일우, 글과 그림 - 문화와 기호, 문학과 지성사, p.387, 1995.
24 Randall Harrison, 하종원 역, 만화와 커뮤니케이션, 한나래, p.143, 2008.
25 Vilem Flusser, 김현진 역, 그림의 혁명, 커뮤니케이션북스, pp.9-18, 2004.
26 오택근, "아이러니(Irony) 연구", 인문과학연구, Vol.13, 안양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p.15, 2005.
27 이인화, 스토리텔링 진화론, 해냄, p.46,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