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ongation

검색결과 3,173건 처리시간 0.033초

저탄소강판을 이용한 굽힘 가공에서 발생하는 꺾임 현상에 대한 발생기구 해석 (Analysis on the Mechanism of Fluting in the Bending of Low Carbon Steels)

  • 박기철;윤정봉
    • 소성∙가공
    • /
    • 제16권4호
    • /
    • pp.317-322
    • /
    • 2007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ause and condition of fluting in tangential bending of low carbon steel sheet, an analytic analysis, an experiment and a series of finite element analysis for bending process were done. The fluting in bended sheet was related with the yield point elongation of material. Due to the yield point elongation, unstable plastic hinge was occurred in course of bending of elastic perfectly plastic sheet. According to the analysis and computational results, lower yield point elongation than 5% was required to prevent fluting in 0.5-0.6t sheet in $15{\sim}25mm$ radius bending. The tendency of fluting occurrence was reduced as decreasing the radius of bending, increasing thickness of bended sheet, and removing irregularity in sheet and bending processes.

지황 신초의 유도와 신장에 미치는 Thidiazuron과 Paclobutrazol의 영향 (Effects of Thidiazuron and Paclobutrazol on the Induction and Elongation of Shoots in Rehmania glutinosa Lib.)

  • 고은정;채영암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46-149
    • /
    • 2001
  • 이 연구는 지황에서 신초의 유도와 신장에 미치는 thidiazuron과 paclobutrazol의 영향을 조사분석한 것으로 얻어진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신초 유도시 thidiazuron을 단독처리한 경우에 신초 발생율이 높았으며, thidiazuron은 저농도에서부터 활성을 나타내어 영향을 주는 농도범위가 비교적 넓었다. 특히 thidiazuron 1.0mg/L 농도에서 신초 발생이 많았다. 2. 신초 유도시 thidiazurona만을 사용하였거나 thidiazuron에 paclobutrazol을 조합처리하였던지 간에 신초의 신장에는 모두 thidiazuron 1.0mg/L 처리구에서 마디수와 신초의 수가 가장 많아 신초 신장에 효과적이었다.

  • PDF

Properties of Biodegradable Films Produced from Rice Bran and Roasted Sesame Meal through Chemical Modifications

  • Bae, Dongho;Kim, Woo Jung;Jang, In Sook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2호
    • /
    • pp.79-85
    • /
    • 2000
  • Biodegradable films were prepared from roasted sesame meal and rice bran. Acetic anhydride, succinic anhydride, and formaldehyde were added to the film-forming solutions, and their effects on tensile strength, percent elongation, water vapor permeability, and water solubility of the films were studied. Roasted sesame meal did not form film without acylation or addition of formaldehyde. Acylated roasted sesame films had higher tensile strength and water-solubility, and lower % elongation than rice bran films. Acylation with acetic and succinic anhydrides increased tensile strength, percent elongation, and water solubility of rice bran films, but decreased water vapor permeability. Treatment with formaldehyde increased tensile strength of roasted sesame and rice bran films and % elongation of rice bran films, while reducing water-solubility of roasted sesame and rice bran films and water vapor permeability of rice bran films.

  • PDF

신장율 변화에 의한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정전기 대전 특성 (Electrostatic Electrification Properties of Polypropylene Film due to Elongation Transition)

  • 이성일;김상현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48-52
    • /
    • 2010
  • This paper examined the effects of specimen elongation on the electrostatic electrification voltages when polypropylene film specimens with 500%, 650% and 700% elongations were rotated at 1550 rp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decease of electrification voltage was not measured according to the time elapse, in case of elongated specimens with 70% environment humidity. As +10 kV was applied to the specimens with 650% elongations, the electrostatic electrification voltages were increased by the effect of environment humidity (1.23~1,25 kV at 50~60% humidity, and 1,46 kV at 70% humidity). The voltages were decreased to 1.2 kV at 700% elongation. As -10 kV was applied to the specimens with 500%, 650% and 700% elongations, the electrostatic electrification voltages were negatively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environment humidity and the elongation of specimens.

각시붕어, Rhodeus uyekii (Pisces: Cyprinidae)의 산란관의 신장 (Elongation of the Ovipositor in Korean Rose Bitterling, Rhodeus uyekii (Pisces: Cyprinidae))

  • 채병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1-116
    • /
    • 2001
  • 조개와 수컷의 유무, 암컷 단독, 수조의 크기, 수조당 개체수 등과 같은 조건 하에서 각시붕어 (Rhodeus uyekii)의 산란관의 신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각시붕어 암컷의 산란관은 조개, 조개+수컷, 수컷의 조건에서 모두 산란관이 주기적으로 신장하였으며, 암컷 단독으로 존재하는 상황에서도 신장되는 경우가 많았다. 조개와 수컷 없이 암컷만 사육하였을 때 큰 수조에 1개체를 넣은 경우에는 산란관이 신장되지 않았지만 작은 수조에 1개체 혹은 큰 수조에 여러 개체를 넣은 경우에는 신장이 일어났다. 신장된 상태의 지속기간은 1~3일 (평균 1.2~2.5일)이었으며, 신축주기는 4~15일 (평균 6.4~11.9일)로 나타났다. 신장되었을 때의 산란관의 길이는 68~100% (평균 78.5~98.8%)이었다. 주기적 신축기의 축소시기에 산란관의 길이는 20~51% (27.3~33.1%)이었으며, 더 이상 신축하지 않는 시기의 산란관의 길이는 3-30% (평균 11.1~19.9%)이었다. 수조의 크기와 개체수가 산란관의 신장에 미치는 영향 및 기존에 보고된 다른 종의 산란관의 신장과의 관계를 논의하였다.

  • PDF

철근 최소 연신율 규격에 대한 평가 (Evaluation of Minimum Extensibility Standard Requirements for Steel Reinforcement)

  • 이재훈;김동현;최진호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559-567
    • /
    • 2011
  • 효율적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설계 시공하기 위하여, 최근 들어 고강도 철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고강도 철근은 일반강도 철근에 비하여 연신 능력이 낮은 것이 일반적이므로, 기존의 최소 연신율규격을 만족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국내외 철근 규격의 최소 연신율 규정과 표점 거리 규정은 각 규격마다 상이하여, 동일한 철근이라도 적용하는 규격에 따라 적합 여부가 다르게 평가된다. 따라서 각 철근 규격을 비교 검토하고, 국내의 철근 규격 KS D 3504의 규정이 합리적인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 미국, 일본, 유럽, ISO 등 국내외 철근 규격의 최소 연신율 규정과 표점 거리 규정을 비교 분석하고, 철근 인장시험을 통하여 규격의 엄격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국내 철근 규격인 KS D 3504가 가장 엄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 엄격성 비교 결과를 바탕으로 KS D 3504의 일반용 철근 규격의 최소 연신율 규정을 수정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내진용 철근 규격을 제안하였다.

Production and Properties of Edible Film Using Whey Protein

  • Chae, Seung-Il;Heo, Tae-Ryoen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2권2호
    • /
    • pp.122-125
    • /
    • 1997
  • The utilization of excess whey is necessary to reduce dairy waste because the large amount of whey disposal in waste streams has caused environmental problems. During whey protein film production as the effective means of utilization of excess whey, we have examined the effects of pH, temperature, and plasticizers for water vapor permeability(WVP), tensile strength(TS), and elongation rate(%E) of the whey protein films. The 10% whey protein films had the highest WVP(28.73g$.$mm/kPa$.$day$.$㎡) and TS(1.85${\pm}$0.11Mpa). But, in this case, an increase of WVP was caused by the thickness of whey protein films. At the concentration of 8% whey protein, appropriate thickness was obtained. Whey protein films prepared at the pH 6.75 and 95$^{\circ}C$ showed lower WVP(28.38g$.$mm/kPa$.$day$.$㎡) and elongation rate(12.9%) and higher TS value(3.769${\pm}$0.407 MPa) than at the pH 6.75 and 75$^{\circ}C$. As the temperature increased, WVP of films decreased slightly and tensile strength increased slightly, while elongation rate decreased significantly. Higher WVP and TS were observed at pH6.75 compared to pH7-9. In contrast, significantly higher elongation was observed at pH 9comapred to pH6.75-8. Among the plasticizer types used, the addition of sorbitol showed the highest TS value(6.244${\pm}$0.297 MPa) at the concentration 0.4g sorbitol and elongation rate(49%) at the concentration of 0.6g sorbitol.

  • PDF

교정용 고무탄성재료의 생역학적 성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IOMECHANICAL PROPERTIES OF ORTHODONTIC RUBBER ELASTIC MATERIALS)

  • 송현섭;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563-580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compare the biomechanical properties of orthodontic rubber elastic materials. Latex bands, nylon-covered elastic threads and polyurethane-based elastic modules, delivering $205{\pm}10$ grams force at 30mm stretching state were selected and stored separately in 3 environments-air ($22{\pm}3^{\circ}C$), distilled water ($37{\pm}1^{\circ}C$), or natural saliva ($37{\pm}1^{\circ}C$). And, the amount of remaining force and permanent elongation of each sample were measured on Instron at interval of 1 hour, 6 hours, 12 hours, 24 hours, 1 week, and 2 weeks. So the data derived were analyzed statistical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Force decay and permanent elongation of all materials increased with time lapsed; elastic module, latex band and nylon-covered elastic thread in that order of the amount of force decay; elastic module, elastic thread, latex band in that order of the amount of permanent elongation. 2. Among environmental conditions, force decay and permanent elongation in natural saliva, most increased, and those in air, least increased. 3.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force decay and permanent elongation. 4. Force decay and permanent elongation were most affected by the material itself, time and environments in that order. 5. After 24 hours in saliva, the percentage of remaining force in elastic module was 51.9% (107.37grams); in latex band, 83.2%(172.62grams); in elastic thread, 85.0%(179.25grams). After 2 weeks in saliva, the percentage of remaining force in elastic module was 42.9%(88.75grams); in latex band, 74.5%(154.50grams); in elastic thread, 77.6%(163.75grams).

  • PDF

염기서열 특이적 전사종결부위에서 T7 RNA 중합효소 전사연장복합체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zation of T7 RNA Polymerase Transcription Elongation Complex in Sequence-specific Transcription Termination)

  • 신지영;이상수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39-50
    • /
    • 2004
  • 박테리오 파아지 T7 RNA 중합효소는 다른 RNA 중합효소와 비교하여 볼 때 보조인자 없이 전사를 진행하는 하나의 subunit로 구성된 RNA 중합효소이다. 전사 진행 단계 중에서 T7 RNA 중합효소의 전사연장을 연구하기 위해 biotin이 결합된 DNA 주형을 streptavidin bead로 고정시킴으로서 T7 RNA 중합효소의 진행과정을 관찰할 수 있었고, 이러한 기작을 이용하여 일련의 활성을 가지는 가장 안정한 전사연장복합체들을 얻을 수 있었다. 전사 연장체들은 16번 염기 위치로부터 18번 염기의 위치까지 방사선 동위원소가 표지되어 있으며 이들 표지된 전사연장복합체들은 단계별로 합성하여 22-40개 핵산잔기들이 합성된 전사연장복합체들을 얻을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전사연장복합체들을 PTH 전사종결 부위가 있는 주형으로 사용하여 야생형 및 R173C 돌연변이 RNA 중합효소를 이용하여 전사연장복합체를 제조하여 비교한 결과 PTH 전사종결에 둔감한 R173C 돌연변이 중합효소의 경우 야생형에 비해 PTH 전사종결부위를 지난 위치에서도 전사연장복합체가 생성되었다.

  • PDF

중명도(中明渡) 산화염모제 처치 후 모발의 형태학적 변화 연구 (A study on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Hair after Treatment with Neutral Oxidative Dyeing Agent)

  • 박장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289-295
    • /
    • 2020
  • 아름다움을 추구하려는 외모의 중대성이 부각됨에 따라 모발 염색을 포함한 미용 산업의 시장규모도 점점 커지고 있다. 헤어살롱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산화염모제를 지속적으로 시술할 경우 모발 손상은 피할 수 없게 되므로 중명도 산화염모제를 시술한 모발의 형태학적 변화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실험결과 control과 6N-7N 실험군 간에 Max. load, Max. stress, Max. elongation, Break load, Break stress, Break elongation, strain 구간에 따른 Max. modulus 및 Tangential modulus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Max. load, Max. stress, Max. elongation, Break load, Break stress 및 Break elongation은 모두 대조군이 가장 높은 값으로 나타났으며, 실험군의 처리에 따른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은 보이지 않았다. strain 평가구간에 따른 Max. modulus와 Tangential modulus는 대조군과 실험군 간에 차이가 있음에도 일정하게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모발손상을 최소화하는 산화염모제 개발 연구의 기초자료 제공 및 헤어디자이너들의 산화염모제와 모발 건강과의 상관관계 이해를 위한 초석을 다지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