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lagic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9초

대두유에 대한 율피의 용매분획별(Ether, Butanol, Water) 항산화효과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ree Solvent(Ether, Butanol, Water) Extrats from Chestnut Inner Shell in Soybean Oil)

  • 오승희;김용욱;김명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703-708
    • /
    • 2005
  • 대두유에 율피의 용매분획별(에테르, 부탄올, 물) 추출물과 tocopherol, BHA를 각각 0.02% 첨가한 후 자동산화 및 가열 산화시 항산화효과를 비교하였다. 1. 자동산화시 과산화물가를 통한 항산화력 비교에서 $45^{\circ}C$에서 42일간 저장한 경우 부탄올추출물 > 에테르추출물 > 무첨가구 > BHA > 토코페롤 순으로 항산화력이 있었고, $60^{\circ}C$에서 32일간 저장한 경우에도 부탄올 추출물이 강한 항산화력을 보였으며, 에테르추출물은 무첨가구와 큰 차이가 없었다. 2. 가열산화의 경우 에테르추출물이 우수한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3. 추출물의 용매별 항산화성분의 분석결과 에테르추출물에는 ellagic acid, quercetin, morin, naringenin, flavanol로서 주요성분은 ellagic acid이었다. 이들 성분의 총량은 에테르추출물 49.09%(w/w), 부탄올추출물 76.26%(w/w)로서 부탄올 추출물에 폴리페놀성분이 다량 함유되어있어 우수한 항산화효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부탄올추출물에는 ellagic acid, naringenin, gallic acid, flavanol이 있었으며, 주요성분은 naringenin, gallic acid로서 이들 성분들이 항산화 효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유통 복분자와 토종복분자의 영양성분학적 차이점과 Ellagic acid 함량 비교연구 (A Study on the Comparsion of Nutrients Content and Ellagic Acid Content Between Distribution Bokbunja and Korean Native Bokbunja)

  • 정성희;한민우;서지호;유혜영;이기택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1-91
    • /
    • 2020
  • 국내 복분자는 서양에서 유래한 서양복분자(Rubus occidentalis)와 국내 자생종을 개량한 토종복분자(Rubus coreauns)가 혼용되고 있으며, 전통 한방약재로서 미숙과를 중심으로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복분자의 영양성분적인 특성과 주요성분인 ellagic acid 함량을 비교하였다. 토종복분자는 광양에서 재배되고 있는 복분자를 수집하였으며, 외래종 서양복분자는 고창에서 재배되고 있는 복분자를 수집하여 사용하였다. 나머지는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국내산과 중국산 복분자를 경동약령시장과 금산약령시장으로부터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영양성분으로는 조지방, 조단백질 그리고 탄수화물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유리당, 지방산, 유리 아미노산 17종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조지방의 경우 토종복분자는 1.90 %, 서양복분자는 3.03 % 이였으며, 중국산 유통품은 2.28 %, 기타 국내산 유통품의 경우 2.89 %으로 중국산복분자의 조지방 함량이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탄수화물 함량의 경우 70.28~71.85 %로 복분자간의 함량에 큰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유리당의 경우에는 토종복분자의 경우 glucose가 19.03 mg/g, fructose 16.29 mg/g이 측정되었고 고창 서양복분자의 경우 glucose가 16.29 mg/g, fructose 12.76 mg/g이 측정되어 유리당의 총 함량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토종복분자의 경우 glucose의 함량이 조금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복분자의 지방산 조성을 비교한 결과 고창 서양복분자에서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19.49 mg/g 으로 광양 토종복분자의 7.69 mg/g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것을 확인되었으며, 불포화지방산 중 linoleic acid (12.19 mg/g), oleic acid (1.88 mg/g)와 linolenic acid (5.43 mg/g) 함량이 높았다. 복분자의 아미노산의 함량은 광양 토종복분자의 경우 4.50 mg/g, 고창 서양복분자의 경우 5.05 mg/g으로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미노산 17종 성분 중 asparagine(0.65~0.84 mg/g), arginine(0.51~1.00 mg/g)과 threonine(0.99~1.63 mg/g)의 함량이 높았다. 지표성분으로 ellagic acid의 함량은 광양 토종복분자의 경우 2.56 mg/g, 고창의 서양복분자의 경우 3.16 mg/g으로 측정되어 서양복분자가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유통되고 있는 중국산 복분자의 ellagic acid의 경우 2.99 mg/g, 기타 국내산 유통 복분자의 경우 2.83 mg/g으로 광양 토종복분자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결과는 국내에서 유통되는 토종 및 서양 복분자를 원료로 하는 기능성식품에 대한 제품개발의 기초자료로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천연복합소재 LS-RUG-com의 기능성원료 표준화를 위한 산딸기 미숙과, 치자 및 유백피 지표성분의 분석법 검증 (Validation of Analytical Methods for Unriped Rubus crataegifolius, Gardenia jasminoides and Ulmus macrocarpa Marker Compounds for Standardization of Natural Complex LS-RUG-com Preparation as Functional Ingredient)

  • 이영익;표수진;이희진;윤혜정;손호용;조진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59-67
    • /
    • 2024
  • 산딸기, 치자, 유백피의 혼합물인 복합 천연물 LS-RUG-com이 위염, 위궤양, 식도성 역류염 및 Helicobacter를 억제함을 확인한 바, LS-RUG-com을 건강기능식품 개별인정형 소재로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재 개발을 위한 LS-RUG-com 분석방법을 확립하고자 하였으며, 산딸기, 치자 및 유백피의 지표물질을 HPLC/UV system을 이용하여 분석방법을 최적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법 validation을 입증하기 위하여 특이성(specificity), 정확성(accuracy), 정밀성(precision),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detection & quantitation limit) 및 직선성(linearity)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본 연구의 HPLC/UV 동시 분석법이 산딸기, 치자 분석에 적합하며, 신뢰성이 있음을 증명하였다. 또한 유백피의 HPLC/UV 단독 분석법이 적합하며 신뢰성이 있음을 증명하였다.

Chemical Investigation of the Constitutive Phenolics of Rosa arabica; the Structure of a New Dimeric Phenolic Glycoside

  • Souleman, Ahmed M.A.;El-Mousallamy, Amani M.D.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6권2호
    • /
    • pp.82-85
    • /
    • 2000
  • The aqueous ethanolic whole plant extract of Rosa arabica was found to contain the new natural dimeric phenolic compound, ellagic acid 3,3'-dimethyl ether $4-O-{\alpha}-rhamnopyranoside$, 9, along with ten known phenolic metabolites (1-8, 10 and 11). Structures of all compounds (1-11) were established by routine methods of analysis and confirmed by FAB-MS, $^1H\;and\;^{13}C$ NMR spectral analysis.

  • PDF

Composition of Secondary Metabolites in Various Parts of 'Seolhyang' Strawberry Plants

  • Kim, Dong Sub;Na, Haeyoung;Kwack, Yurina;Kim, Sung Kyeom;Heo, Jeong Wook;Chun, Changhoo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2호
    • /
    • pp.224-230
    • /
    • 201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ntent of phenolic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edible and non-edible parts of 'Seolhyang' strawberry plants. We performed a comparative chemical analysis of the compounds found in roots, leaves, petioles, runners, and unripe and ripe fruits during vegetative propagation and reproductive growth. The contents of ellagic and gallic acids in the leaves of runner plants during vegetative propagation were $7.36{\pm}1.10$ and $5.07{\pm}3.66mg{\cdot}g^{-1}$ FW, respectively, and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other parts. The main volatile organic compound was identified as 3-hexen-1-ol, and it was mostly detected in leaves. The content of ellagic acid in leaves during reproductive growth was $12.96{\pm}2.30mg{\cdot}g^{-1}$ FW, while that in the other parts was below $6.00mg{\cdot}g^{-1}$ FW. The content of gallic acid in unripe fruits was $2.75{\pm}0.48mg{\cdot}g^{-1}$ FW and was higher than that in the other parts. Ripe fruits contained the lowest contents of ellagic and gallic acids but contained the most diverse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cluding sesquiterpenes, among the tested plant parts. The results indicate that non-edible parts (e.g., leaves and unripe fruits) of strawberry plants can be used as a raw material for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gents, and edible parts (i.e., ripe fruits) can be available for making an essential oil.

Ellagic acid plays a protective role against UV-B-induced oxidative stress by up-regulating antioxidant components in human dermal fibroblasts

  • Baek, Beomyeol;Lee, Su Hee;Kim, Kyunghoon;Lim, Hye-Won;Lim, Chang-Ji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0권3호
    • /
    • pp.269-277
    • /
    • 2016
  • Ellagic acid (EA), an antioxidant polyphenolic constituent of plant origin, has been reported to possess diverse pharmacological properties, including anti-inflammatory, anti-tumor and immunomodulatory activities. This work aimed to clarify the skin anti-photoaging properties of EA in human dermal fibroblasts. The skin anti-photoaging activity was evaluated by analyzing the reactive oxygen species (ROS), matrix metalloproteinase-2 (MMP-2), total glutathione (GSH) and superoxide dismutase (SOD) activity levels as well as cell viability in dermal fibroblasts under UV-B irradiation. When fibroblasts were exposed to EA prior to UV-B irradiation, EA suppressed UV-B-induced ROS and proMMP-2 elevation. However, EA restored total GSH and SOD activity levels diminished in fibroblasts under UV-B irradiation. EA had an up-regulating activity on the UV-B-reduced Nrf2 levels in fibroblasts. EA, at the concentrations used, was unable to interfere with cell viabilities in both non-irradiated and irradiated fibroblasts. In human dermal fibroblasts, EA plays a defensive role against UV-B-induced oxidative stress possibly through an Nrf2-dependent pathway, indicating that this compound has potential skin antiphotoaging properties.

추출용매 조건에 따른 비파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유효성분의 분석법 밸리데이션 (Validation of analytical method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Eriobotrya japonica Lindl. Leaf extract according to extraction solvent)

  • 김현희;허미라;이송미;임순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01-30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다고 알려진 비파의 잎과 이에 비하여 연구가 미흡한 비파 어린잎에 대한 항산화 활성 등 생리활성에 대한 과학적 연구 근거를 제공하여 산업적 이용 증대 및 고부가가치 소재 개발을 목적으로 비파 잎 및 비파의 어린잎을 열수, 20% 에탄올, 80% 에탄올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 용매 조건에 따른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주요성분의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추출물의 수율이 가장 높았던 비파 잎 및 어린잎의 80% 에탄올 추출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2194.7 mg QE/g 및 502.3 mg QE/g으로 장미과 식물과 비교해 보았을 때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DPPH radical 소거 활성 및 ABTS radical 소거 활성은 모든 추출물 시료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성 있는 항산화 활성을 보였고, 비파 잎의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DPPH와 ABTS radical 소거 활성 $IC_{50}$ 값이 13.9와 $10.9{\mu}g/mL$로 분석되어 비파 어린잎 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비파 잎에 함유되어 있는 페놀성 화합물 중 항산화 효능이 입증된 ellagic acid와 chlorogenic acid 성분의 표준화를 위하여 HPLC-DAD를 이용하여 chlorogenic acid와 ellagic acid의 함량분석 및 분석법에 대한 밸리데이션을 수행하여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이상의 결과 비파 잎 80% 에탄올 추출물은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어 비파 잎의 산업적으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각종 가공식품 및 건강 기능성 식품 개발가치가 한층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딸기 품종별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및 지표성분 밸리데이션 (Antioxidant activities and Validation of Analytical Method of Marker compounds in strawberry fruits from various cultivars)

  • 용예슬;이송미;변나영;선상욱;김민정;장서우;장원석;이선이;임순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517-52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품종의 딸기 추출물로부터 천연물을 이용한 천연 항산화제 개발을 위하여 농업기술원에서 시료를 제공받아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고, ellagic acid 함량 분석 및 분석법 검증을 위한 밸리데이션을 수행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22.77-107.61 mg/100 g FW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 또한 17.58-44.12 mg/100 g FW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결과 Aiberry와 Elie star에서 가장 많은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은 1540.6-1124.0 μmol TEAC/100 g FW 범위를 나타내었고, Derunoka가 1.541 μmol TE/100 g FW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실험결과 6352.3-4592.3 μmol TEAC/100 g FW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FA23 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Ellagic acid 표준물질에 대한 검량선의 상관계수(R2)값은 0.9998-1.0000으로 매우 높은 직선성을 보였으며, 딸기 추출물의 ellagic acid 함량은 9.2-22.9 μg/mL을 나타냈으며, 그 중 Asca 추출물이 22.9 μg/mL로 가장 높은 ellagic acid 함량을 나타내었다. 밸리데이션 결과 정확성은 평균 100-101%의 회수율을 나타내었고, 정밀성 또한 농도별로 10 μg/mL에서는 5.31, 5.30%, 50 μg/mL에서는 0.66, 0.88%, 100 μg/mL에서는 0.20, 0.82%의 RSD값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다양한 딸기품종 추출물은 높은 항산화 효능을 나타내며, 이는 자유라디칼의 산화를 억제하는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높은 함량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천연항산화제 표준화를 위한 지표성분으로서 ellagic acid 정량분석 및 밸리데이션을 수행함으로써 본 실험에서 사용된 딸기추출물의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개발 가능성과 함량분석에 대한 기준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시사한다.

대극 지상부의 페놀성 화합물(제2보) (Phenolic Compounds from Aerial Parts of Euphorbia pekinensis (II))

  • 안병태;강삼식
    • 생약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42-145
    • /
    • 1996
  • We have previously reported the isolation of seven hydrolyzable tannins and nine flavonoids from Euphorbia pekinensis Ruprecht. Further investigation about the same plant has led to the isolation of kaempferol, quercetin, kaempferol $3-O-(2'-O-galloyl-{\beta}-_D-glucoside)$, quercetin 3-O-(2'-O-galloylrutinoside), ellagic acid and acetonyl geraniin. These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is plant for the first time.

  • PDF

Phenolic compounds from the Stems of Sapium japonicum

  • Kang, Shin-Jung;Hong, Seong-Su;Hwang, Bang-Yeon;Ro, Jai-Seup;Lee, Kyong-Soon;Towers, G.H.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2권3호
    • /
    • pp.125-128
    • /
    • 2006
  • A chemical examination of the stems of Sapium japonicum PAX et $H_{OFFM}$ (Euphorbiaceae) has led to the isolation of seven phenolic compounds. On the basis of UV, IR, MS, and NMR spectral data and the chemical reaction, the structures of these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gallic acid (1), ellagic acid (2), 3,3'-di-O-methylellagic acid (3), $4-O-({\beta}-D-xylopyranosyl)-3,3'-di-O-methylellagic$ acid (4), $4-O-({\alpha}-D-arabinofuranosyl)-3,3'-di-O-methylellagic$ acid (5), isoquercitrin (6), and geraniin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