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ite Athlete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8초

보행과 보행분석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Gait and Gait Analysis Techniques)

  • 배성수;이진희;윤창구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8권1호
    • /
    • pp.49-64
    • /
    • 1996
  • The technology of gait analysis is moving rapidly. Human gait is very complex, and a through understanding of it demands with the basic principles of biomechanics and the technology used to measure gait. Some professionals reluctance to use gait analysis may be due to the amount of time and effort necessary to accomplish this and the necessity for teamwork among the disciplines involved. Any form of observational gait analysis has limited precision and is more descriptive than quantative. The techniques of 3-D kinetic and kinematic analysis can provide a detailed biomechanical description of normal and pathological gait. This article review gait characteristics and procedures that are available for gait analysis. We are certain that, given the steady advance of technology and our continued efforts to document the benefits of that technology. gait analysis will soon be a routine part of the evaluation of both the elite athlete and the physically impaired adult or child.

  • PDF

남자 높이뛰기 BKH 선수를 중심으로 한 도움닫기 마지막 1보와 발구름 국면의 운동학적 분석 (The Kinematic Analysis of the Last Approach Stride and Take-off Phase of BKH Athlete in the High Jump)

  • 윤희중;김태삼;이진택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05-115
    • /
    • 2005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kinematic factors of the last approach strides and. take off motion for the skill improving of BKH elite male athlete. 'The subjects chosen for the study were BKH and. KASZCZYK Emillian male athletes who were participated in 2003 Dae-Gu Universiad Games. Three high speed video cameras set in 60frames/s setting were used. for recording from the last approach strides to the apex position. After digitizing motion, the Direct Linear Transformation(DLT) technique was employed to obtain 3-D position coordinates, The kinematic factors of the distance, velocity and angle variable were calculated for Kwon3D 3.1.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1. It showed longer stride length, as well as faster horizontal and lateral velocity than the success trial during the approach phase. For consistent of the approach rhythm, it appeared that the subject should a short length for obtain the breaking force by the lower COG during the approach phase. 2. The body lean angle showed a small angle by a high COG during the take-off phase. For obtain the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COG and a enough space form the bar after take-off, it appeared that the subject should increase the body lean angle. 3. For obtain the vertical force during the takeoff phase, it appeared that the subject should keep straight as possible the knee joint. Therefor, the subject can be obtain a enough breaking force at the approach l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Shoulder Muscles in Archery Athletes

  • Kim, Ri Na;Lee, Jin-Hyuck;Hong, Seok Ha;Jeon, Jin Ho;Jeong, Woong Kyo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1권3호
    • /
    • pp.145-150
    • /
    • 2018
  • Background: This study evaluated the shoulder girdle muscle characteristics of elite archery athletes and provides suggestions for archery training programs. Methods: This study enrolled 15 cases of high level archery athletes (7 males, 8 females) and 30 cases of (15 males, 15 females) sex, age-matched, healthy, non-athletic individuals. We measured peak torques of flexion (FL), extension (EX), abduction (ABD), adduction (ADD), external rotation (ER) and internal rotation (IR) of both shoulders at an angular velocity of $30^{\circ}/sec$, $60^{\circ}/sec$, and $180^{\circ}/sec$. The peak torques and peak torque ratios of FL/EX, ABD/ADD, and ER/IR of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Results: The archer group had a greater peak torque of IR and ADD, but only in the left shoulder (p<0.05). In the same group, both shoulders had greater peak torque of EX and lower peak torque of FL. The peak torque ratios of FL/EX of both shoulder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archer group at all three angular velocities (p<0.05). The peak torque ratios of ABD/ADD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only the left shoulder of the archer group (p<0.05). Conclusions: The prominent characteristics of the shoulder girdle muscles of an elite archer are stronger adductor muscles of the bow shoulder and stronger extensors of both shoulders, as compared to healthy, non-athletic individuals. These muscle groups of the shoulder probably contribute a major role in maintaining the accuracy and stability during archery shooting. Hence, a training program that selectively enhances the adductor and extensor muscles could prove helpful in enhancing the archery skills of the athlete.

육상지도자의 전문성과 팀 분위기 및 운동만족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Elite Sport Track and Field Coaches' Expertise, Team Atmosphere and Athletic Satisfaction)

  • 김경지;임효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1호
    • /
    • pp.555-564
    • /
    • 2021
  • 이 연구는 전문 스포츠 육상지도자의 전문성과 팀 분위기 및 운동만족 간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21년 대한육상연맹에 등록되어 있는 중학생부터 대학생까지 학생선수 22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펜데믹 상황을 고려하여 Google 온라인 설문지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처리는 통계 프로그램 SPSS 2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그리고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육상지도자의 전문성은 팀 분위기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육상지도자 전문성의 하위요인 중 선수관리만 운동만족의 하위요인인 일상생활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육상 선수 팀 분위기의 하위요인 중 역할특성과 리더특성만 운동만족의 하위요인인 사회승인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캐나다 Long-Term Athlete Development(LTAD) 고찰을 통한 국내 스포츠시스템의 통합모델과 운영방안 (Integration of the Korea Sport System: Feasibility of the Canadian LTAD framework)

  • 이은영;임희준;원도연;전용관;정재용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5권5호
    • /
    • pp.619-633
    • /
    • 2016
  • 지난 2015년 3월 27일 공포된 체육단체의 통합은 대한민국이 "스포츠강국"에서 "스포츠선진국"으로 발돋움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 국내 체육계의 노력의 결실이며, 스포츠계 새로운 패러다임의 도입이다. 이에 본 논문은 체육단체의 성공적인 통합을 위한 스포츠시스템과 프로그램 측면 토대의 마련을 위해, 지난 2012년부터 캐나다의 체육단체 통합과 스포츠시스템의 운영에 발판이 된 Long-Term Athlete Development(LTAD) 프레임워크를 비판적으로 살펴 본 후, 국내 활용도에 대해서 논의해보고자 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국내에 적합한 통합모델의 제시와 운영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한국형 스포츠시스템 통합모델"은 우리나라 전 국민을 대상으로 연령·발육발달단계·스포츠 입문 시기 별 스포츠 참여의 틀을 제공한다. 이는 지난 10년 간 체육계의 쟁점이었던 학교체육·엘리트체육·생활체육의 연계는 물론 엘리트선수의 발굴과 육성, 그리고 평생체육으로의 연계까지 가능하게 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형 스포츠시스템 통합모델"은 앞으로 실제에의 적용, 평가, 그리고 수정의 과정을 거쳐 지속적으로 진화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인천지역 대표 중고등학교 여자 선수의 운동경기 종목별 건강 및 식습관에 관한 조사 (A Survey on Self-reported Health and Eating Habit of Elite Female Adolescent Athletes in Incheon by Sport Type)

  • 성현이;장경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66-373
    • /
    • 2005
  • 인천지 역 대표선수인 중ㆍ고등학교 여 자 펜싱 , 사격 , 육상, 수영 선수 총 102명을 대상으로 건강과 식습관에 대해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 체 조사대 상자 중 35.9%가 현재 비타민 및 철분 보충제를 섭취하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육상선수의 섭취율이 62.5%로 운동경기 종목별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본인이 인식하는 건강상태는 전체 조사대상자의 65.3%가 '보통이다', 21%가 '좋다'고 응답하였고, 건강에 대한 관심정도는 전체 조사대상자의 69.5%가 보통이다', 25.3%가 '많다'고 응답하였다. 운동이 정신적 스트레스의 주요원인으로 나타났으며 운동과 관련된 스트레스가 펜싱&gt;사격&gt;육상)수영 순인 반면에 훈련 중 신체적 부담에 대해서는 수영&gt;육상&gt;펜싱&gt;사격 순으로 나타나서 운동경기 종목별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훈련 중 현기증을 느낀 적이 있는가에 대해 사격선수가 다른 종목에 비해 유의적으로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생리 주기의 규칙성에 대해 절반이상이 "불규칙하다"고 응답하였다. 가장 문제가 되는 식습관에 대해 결식&gt;폭식&gt;편식&gt;맵고 짠 음식선호 순으로 응답하였다. 주로 결식하는 끼니로 펜싱과 사격선수는 아침식사를, 육상과 수영선수는 저녁식사를 주로 걸러서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결식빈도에 대해 펜싱&gt;사격&gt;육상&gt;수영 순으로 자주 결식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운동경기 종목별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아침식사의 규칙성에 대해 펜싱과 사격선수가 육상과 수영선수에 비해 '불규칙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주로 섭취하는 간식으로는 스낵 및 과자류, 탄산음료, 초콜릿, 사탕류&gt;우유, 요구르트, 아이스크림 등 유제품&gt;빵, 케이크, 떡(볶이)&gt;라면&gt;햄버거, 피자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인천지역 대표 여자 운동선수의 건강과 식습관은 운동종목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이들 청소년 대표 여자 운동선수의 운동수행 능력과 건강을 위해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한 영양상담 및 교육프로그램이 운동종목별로 다양하게 개발되어 실용화되어야 할 것이다.

엘리트 운동선수들의 동기분위기 지각과 자기관리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a Motivational Climate and Self-management for Elite Athletes)

  • 황성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5호
    • /
    • pp.493-500
    • /
    • 2016
  • 본 연구는 선수들이 지각하는 동기분위기와 자기관리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대학과 실업팀에서 활동하고 있는 남자 195명, 여자 153명의 선수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우선 각 검사지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술통계와 일원변량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관계분석결과 모든 요인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동기분위기 지각이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선수들이 지각한 숙련분위기는 자기관리의 하위 요인인 정신관리, 훈련관리, 대인관리, 생활관리, 몸 관리, 고유 행동관리의 모든 요인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쟁분위기 지각은 자기관리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도자는 숙련분위기를 통하여 극복전략, 자기평가, 문제해결과 의사결정기술, 자기조절, 목표설정, 자기강화에 대한 노력, 계획 등 선수가 스스로를 보다 잘 관리하고 조절하게 하도록 해야 할 것을 제언하였다.

인간공학적 방법을 이용한 사이클 선수의 경기력 평가 (우수선수의 경기력 벤치마킹을 중심으로...) (Cyclist's Performance Evaluation Using Ergonomic Method (Focus to Benchmarking Elite Cyclist's Performance))

  • 하종규;장영관;기재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1-57
    • /
    • 2010
  • Cycling that transform human energy into mechanical energy is one of the man-machine systems out of sports fields. Benchmarking means "improving ourselves by learning from others', therefore benchmarking toward dominant cyclist is necessary on field. The goals of this study were to provide important factors on multi-disciplines (kinematics, physiology, power, psychology) for a tailored-training program that is suitable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Two cyclis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gave consent to the experimental procedure. One was dominant cyclist (years: 21 yrs, height: 177 cm, mass: 70 kg), and the other was non-dominant cyclist (years: 21, height: 176, mass: 70). Kinematic data were recorded using six infrared cameras (240Hz) and QTM (software). Physiological data (VO2max, AT) were acquired according to graded exercising test with cycle ergometer and power with Wingate test used by Bar-Or et. al (1977) and to evaluate muscle function with Cybex. Psychological data were collected with competitive state anxiety inventory (CSAI-2) that was devised by Martens et. al (1990) and athletes' self-management questionnaire (ASMQ) of Huh (2003). It appears that the dominant's CV of ankle joint angle was higher than non-dominant's CV and dominant's pedaling pattern was consistent in biomechanics domain, which the dominant's values for all factors ware higher than non-dominant's values in physical, and physiological domain, and their values between cognitive anxiety and somatic anxiety were contrary to each other in psychology. Further research on multi-disciplines may lead to the development of tailored-optimal training programs applicable with key factors to enhance athletic performance by means of research including athlete, coach and parents.

사이클 선수와 철인3종 선수들의 지구력 및 근력 트레이닝이 효율성 및 경제성과 VO2 kinetics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endurance and strength training of cyclists and triathlon athletes on efficiency, economy and VO2 kinetics)

  • 김도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1호
    • /
    • pp.491-498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훈련된 10명의 사이클 선수와 10명의 트라이애슬론 선수를 대상으로 서로 다른 트레이닝 상태에서 경제성과 효율성을 평가하는 데 있다. 모든 실험자는 50, 100, 150 watts의 자전거 프로토콜로 테스트 한 결과, 두 그룹의 효율성은 현저하게 다르게 나타났으며 철인3종 선수들의 경제성과 효율성이 사이클 선수들보다 더 나은 결과를 보였다. 산소섭취량과 작업량의 적절한 조합은 선수들의 산소부족량을 감소시켜 운동 후 회복기에 이에 맞는 부족량 부분을 다시 상환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복합성 외측 반월상 연골판 파열에서 슬와건을 한시적 지주로 시행한 구제적 성격의 관절경 봉합술의 임상 결과 (Clinical Results of Arthroscopic Salvage Repair including Popliteus Tendon as a Post for Complex Lateral Meniscus Tear)

  • 박상은;김상길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6
    • /
    • 2010
  • 이 연구는 반월상 연골판 절제술의 적응증이 되는 복합성 외측 반월상 연골판 파열에서 슬와건을 바탕으로 시행한 구제적 성격의 관절경 봉합술의 임상 결과와 기술적인 방면에 대한 고찰을 위해 시행하였다. 2004년 6월부터 2006년 5월까지 32 사례의 젊고 증상이 있는 복합성 외측 반월상 연골판 파열 환자들을 all inside 방법으로 봉합하였다. 연구는 전향적으로 시행되었으며, 평균 연령은 29.2세(범위, 17~42)이었으며 평균 관찰기간은 42.8개월(범위, 24~50)이었다. 임상 결과는 라이슬럼 스코어(lysholm knee score)와 2차적으로 시행한 관절경 혹은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평가되었다. 추적관찰은 약 80%에서 시행할 수 있었다. 추적 관찰된 환자들 대부분이 제한 없이 일상생활을 할 수 있었으며 평균 42.8개월의 추적관찰 동안에 재수술을 시행한 경우는 없었다. 평균 라이슬럼 스코어는 수술 전 65.4(범위는 55에서 75)에서 수술후 최종 추적관찰에서 평균 93.9(79에서 100사이)으로 증가되었다(p<.001). 80%에서 관절경으로 혹은 자기공명영상에서 병변의 치유가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슬와건을 바탕으로 시행한 관절경적 외측 반월상 연골판 봉합술은 복합성 외측 반월상 연골판 파열을 가지고 있는 젊은 환자에서 구제적 성격의 시술로서는 효과적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