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vation Design

검색결과 505건 처리시간 0.032초

수치지형정보를 애용한 지형의 3차원 표현 software 개발 (Development of the Three Dimensional Landform Display Software Using the Digital Terrain Model)

  • 이규석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8
    • /
    • 1990
  • The digital terrain model (DTM) or digital elevation model (DEM) is commonly used in representing the continuous variation of relief over space. One of the most frequent applications is to display the three dimensional view of the landform concerned. In this paper, the altitude matrices-regular grid cell format of the elevation in Mt. Kyeryong National Park were used in developing the three dimensional view software for the first time in Korea. It required the removal of hidden lines or surfaces. To do this, it was necessary to identify those surfaces and line segments that are visible and those that are invisible. Then, only the visible portions of the landform were displayed. The assumption that line segments are used to approximate contour surfaces by polygons was used in developing the three dimensional orthographic view. In order to remove hidden lines, the visibility test and masking algorithms were used. The software was developed in the engineering workstation, SUN 3/280 at the Institute of Space Science and Astronomy using 'C' in UNIX operating system. The software developed in this paper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Some of them are as follows : (1) Landscape design and planning for identifying viewshed area(line of sight maps) (2) For planning the route selection and the facility location (3) Flight simulation for pilot training (4) Other landscape planning or civil engineering purposes

  • PDF

한국 도시근교 목조주택의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I) -내부공간 구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sign Character of the Wooden House in Korea -Focused on Inner Space Design of Suburbs House-)

  • 유영희;김란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호
    • /
    • pp.107-113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materials for developing the new house style by analysing the space characteristics of wood frame houses in suburbs of Seoul. For this, we analysed 45 drawings(site plan, floor plan, elevation, section) that were designed by MICHOO, WOOD-LAND, STUGA and CHOWONJUTECK company etc. The space design characteristics that we found are as follows; 1. The wood is fragile to humidity. Therefore this characteristic is especially considered in designing the space of bathroom and utility room. 2. It is the merit of wood frame house that inner space can be designed variously by using spilt-level and the slope of roof. 3.The public space and private space are completely separated in most cases and the stair is located in the middle of house. This structure of house is short of horizontal openness. Instead, most houses gets vertical openness by making second floor on the living room opev. 4. In wood frame house as the rural house, the outer space is well used by setting up deck and balcony. The outer spaces like deck and balcony are usually used as a part of life space in connected with living room, dining room, master bed room and family room. 5. The public spaces like kitchen, living room, dining room and family room are considered so important in design that those are arranged in front in order to have good outlook and directiov.

  • PDF

내장타일 디자인 개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Wall Tile Design)

  • 김명근
    • 디자인학연구
    • /
    • 제21권
    • /
    • pp.185-194
    • /
    • 1997
  • 건축물의 마감재료인 내장타일은 생활공간에 많은 부분에 쓰여지고 있지만 제품이 연구되고 생산되고 판매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별로 많은 관심을 가지지 못했다. 생활문화의 발전과 주택의 고급화는 실내공간에서 차지하는 마감재에 많은 느낌과 관심을 가지게 되어 타일에 대한 관심도 매우 높아지게 되었다. 특히 디자인을 전공하는 디자이너들에게는 타일산업은 단지 요업분야로만 생각되어져 있어 별로 큰 관심의 대상이 아니었다. 이러한 사고의 바탕으로 본 연구는 타일산업에서 차지하는 디자인의 비중과 디자인 방향과 역할을 여러 각도에서 접근하여 우리 나라 타일산업의 발전과 미래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서종 MA주택에 구현된 영화적 시선에 대한 융합적 연구 (The Convergence Study of the Cinematic Gaze Represented in Seojong MA-Residence)

  • 문근종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293-30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영화적 시선들이 어떻게 서종 MA주택(2016, 경기도 양평군)에 구현되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즉, 초기 기획설계의 단계에서 어떠한 영화적, 건축적 개념들이 고려되었는지, 다음의 계획설계 단계에서는 이러한 개념들이 배치계획 및 평면, 입면계획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발전되었는지, 또한 이러한 디자인 의도가 준공된 건축작품에 효과적으로 반영되었는지를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주택의 건축디자인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설계 단계에서의 스케치, 모형, 도면 등을 참조하였다. 결과적으로 다양하고 흥미로운 영화적 시선들은 성공적으로 구현되었지만 야간의 시각적 노출, 파사드 디자인의 불완전 실현 등은 미흡한 부분으로 남게 되었다. 본 연구는 건축학, 영화학의 학제간 융합에 대한 시론으로서 그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장파봉파가 해상표적의 RCS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수치해석 (Numerical Analysis on the Effect of Long-crested Wave to the RCS of Marine Target)

  • 김국현;조대승;김진형;이정관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43권3호
    • /
    • pp.384-391
    • /
    • 2006
  • RCS effects of long-crested wave surfaces to marine targets are numerically analyzed using a 4-path model and a direct analysis method, developed based on physical optics and a combined method of physical optics/geometric optics, respectively. Reflectivity of long-crested wave surfaces is described with 'Fresnel reflection coefficients' The MPM(modified Pierson-Moskowitz) ocean spectrum is adopted to simulate long-crested waves in the direct analysis method. A numerical analysis of a benchmark model assures the validity of both methods. The direct analysis method is applied to the RCS calculation of electromagnetically large marine targets, which are vertically oriented or slanted to the long crested wave surfaces randomly generated with various significant wave heights. The long-crested wave surface much highly increases the RCS of the marine target, but those effects are decreased as the significant wave height grows up. At low elevation angle, the vertical model has entirely high RCS comparing slanted model, and the RCS of vertical flat plate is the highest on the calm sea surface, while those of slanted flat plates are the lowest on the calm sea surface. The RCS of marine targets on continuously-varying sea surface is more coherent at lower elevation angles, as well.

수치표고모형을 이용한 난지도 쓰레기 매립장의 이용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tilization Plan of Nangido Landfill Using Digital Elevation Model)

  • 이재기;조재호;이현직;이인성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9-27
    • /
    • 1993
  • 대규모 쓰레기 매립장의 신설계획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기존 매립장의 이용상태에 대한 정확한 현황분석을 통해 이용계획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현 매립장의 쓰레기 매립양과 도시 경관 및 제반조건에 부합되는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현 매립상태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수반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사진촬영에 의해 구축된 수치표고모형을 이용하여 현 쓰레기 매립상태 및 매립양의 정확한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 지형분류에 따른 최고 자료보관방법과 면·체적결정방법을 결정함으로써, 현재 쓰레기 매립장의 장래 이용계획에 정확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수행결과 대상지역의 지형분류를 객관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정립하였으며, 표본자료에 대해 각 지형의 최적보관법과 면· 체적결정방법을 결정하였다. 또한 이와 같이 얻어진 결과를 난지도 쓰레기 매립장에 적용함으로써 매립현황 및 매립가능량을 분석할 수 있었다.

  • PDF

지하저류조 신설에 따른 우수 유출량 저감 (Reduction of Rainfall Runoff by Constructing Underground Storage Tank)

  • 송창근;서일원;정영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3호
    • /
    • pp.927-93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서울대학교 댐 하류 노천강당 유역과 공대폭포 유역에 지속시간 1시간 50년 빈도 강우에 관한 저수지 홍수추적을 실시하고 지하저류조가 설치되는 경우 다음의 사항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을 수행하였다 (1) 저류조의 저류량; (2) 우수유출량 및 첨두수위의 저감정도; (3) 지체시간 변화; (4) 신설 지하저류조의 유출입부 암거 설계. 노천강당 유역에 $25,000m^3$ 저류조가 설치되는 경우 총 유입량 대비 49.43 %의 저류효과가 발생하고 49.64 %의 첨두 유량 감소효과와 28분의 지체시간 증대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첨두 수위는 $15,000m^3$ 저류조에 비해 35 cm 낮게 나타났다. 기존 저류시설과 신설 지하저류조의 공동 운영을 통해, 홍수 발생 시 댐 유역에서 초과되는 유출량을 탄력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5.25GHz 대역의 무선 LAN을 위한 광대역 U-슬롯 Bow-Tie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Fabrication of Wideband U-sloted Bow-Tie Microstrip Antenna for 5.25GHz Band Wireless LAN)

  • 강석엽;이원종;박효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2A호
    • /
    • pp.195-201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5.15-5.35GHz 대역의 무선 LAN용 U-슬롯 Bow-Tie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Bow-Tie 패치에 U-슬롯을 갖도록 하였으며 접지면과 기판사이에 공기층을 삽입하여 VSWR<1.2 에서 적절한 대역을 얻고자 하였다. 설계시 주요 파라미터는 U-슬롯의 길이, 폭, 위치와 공기층의 두께 및 급전위치였으며 최적화된 파라미터를 가지고 실제 제작 및 측정하였다. 제작된 안테나의 측정결과로 공진주파수는 5.28GHz이고, VSWR<1.2에서 7.76%의 대역폭과 4∼7dBi의 이득을 얻었다. Elevation과 Azimuth에서 각각 73.63$^{\circ}$와 65.08$^{\circ}$로 나타났다.

Seismic analysis of high-rise steel frame building considering irregularities in plan and elevation

  • Mohammadzadeh, Behzad;Kang, Junsuk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39권1호
    • /
    • pp.65-80
    • /
    • 2021
  • Irregularities of a building in plan and elevation, which results in the change in stiffness on different floors highly affect the seismic performance and resistance of a structure. This study motivated to investigate the seismic responses of high-rise steel-frame buildings of twelve stories with various stiffness irregularities. The building has five spans of 3200 mm distance in both X- and Z-directions in the plan. The design package SAP2000 was adopted for the design of beams and columns and resulted in the profile IPE500 for the beams of all floors and box sections for columns. The column cross-section dimensions vary concerning the number of the story; one to three: 0.50×0.50×0.05m, four to seven: 0.45×0.45×0.05 m, and eight to twelve: 0.40×0.40×0.05 m. Real recorded ground accelerations obtained from the Vrancea earthquake in Romania together with dead and live loads corresponding to each story were considered for the applied load. The model was validated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current method and literature considering a three-bay steel moment-resisting frame of eight-story height subject to seismic load. To investigate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buildings, the time-history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BAQUS. Deformed shapes corresponding to negative and positive peaks were provided followed by the story drifts and fragility curves which were used to examine the probability of collapse of the building. From th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regular buildings provided a seismic performance much better than irregular buildings. Furthermore, it was observed that building with torsional irregularity was more vulnerable to seismic failure.

수치지형도 데이터를 활용한 유전자 알고리즘 기반 건축외피의 최적향 산정 프로세스 (A Process of Optimization for the Best Orientation of Building Façades Based on the Genetic Algorithm by Utilizing Digital Topographic Map Data)

  • 최승주;한승훈
    • 토지주택연구
    • /
    • 제13권1호
    • /
    • pp.113-129
    • /
    • 2022
  • 건축물의 친환경성에 대한 심도 있는 검토는 건축물의 LCC를 비롯하여 다양한 가치판단에 직결된다. 그러나 전통적 설계방식은 친환경성이 최적화된 건축물 대안을 제시하는 데 한계를 지닌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축계획 단계에서 기후, 도시와 같은 미시적 측면의 지역조건을 계획에 반영하여 친환경성이 최적화된 건축물 대안을 도출할 수 있는 의사결정 보조도구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정부기관인 국토정보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수치지형도의 등고선, 건물, 도로 정보를 기반으로 건축대지 인근 지역의 3차원 모델링 작성 및 태양환경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작했고, 알고리즘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기축 건축물 입면 방향과의 일사량 및 일조시간을 비교하여 최적향 산출 가능 여부를 검토했다. 그 결과, 도출된 최적향이 기축 건축물의 정면향 대비 더 높은 일사량 및 일조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비교분석 결과가 도출되었으며, 이를 통해 개발 알고리즘이 태양입사 환경관점에서 유효한 입면 방향을 산출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