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검색결과 1,655건 처리시간 0.028초

초등정보영재 교육과정의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Plans of Gifted Elementary Information Education Curriculum)

  • 전우천
    • 영재교육연구
    • /
    • 제20권1호
    • /
    • pp.347-368
    • /
    • 2010
  • 현대는 지식 정보화 사회이며 한 나라를 이끌어 갈수 있는 원동력은 지식기반의 산업의 육성에 달려 있다. 또한, 개인의 경쟁력 측면에서도 정보화 능력 및 정보통신기술의 사용은 매우 중요하다. 이런 측면에서 지식 정보화 사회를 이끌어 갈 정보영재의 발굴과 교육은 더욱 중요하다. 현재 정보영재교육은 사교육과 공교육 현장에서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원고에서는 초등학교 정보영재교육과정의 현황을 대학부설 영재교육원 중심으로 분석하고, 정보영재 교육과정의 개선방안을 다양한 관점에서 제안한다.

국가 수준 과학과 교육과정의 입자 관련 내용 국제 비교 (International Comparison of Contents about Particle Concept in National Science Curricula)

  • 김동현;김효남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1권2호
    • /
    • pp.164-176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some suggestions for reorganization of contents about particle concept of matter in Korean science curriculum.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uthors analyzed features of Korean science curriculum and compared science curricula of Korea, USA, UK, Japan and Finland.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authors find some features and important suggestions about reorganization of contents about particle in science curriculum. First, the sequence of contents about particle concepts in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as similar to that in the 6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And the feature of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howed the articulation of contents about particle concept. If contents about particle concept is increased in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the total articulation would be increased. Second, the presenting sequence of atomic structure-first and laws about atom-later should be changed to laws about atomic-first and atomic structure-later. This presenting sequence is grounded by science curricula of other countries, history of science and developmental psychology. And science curriculum of Korea was required specific extended concept statement like science curricula of USA or UK. Also, Korean science curriculum could benchmark Finnish science curriculum if we want to develop some integrated learning activities such as those in STS or STEAM program.

초등학교에서 자율과목 편성을 통한 정보교육 독립 운영 방안 (A Study on the Independent Oper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through Autonomous Subjects in Elementary Schools)

  • 안성훈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7권1호
    • /
    • pp.43-52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정보 교육과정의 변천과정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정보 교과가 독립적으로 운영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초등학교에서 정보교육을 독립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자율활동의 자율과목을 편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자율활동이란 창의적 체험활동의 개념을 확장한 것으로 학생과 학부모의 요구나 학교 특성을 반영해 자율과목이나 다양한 교육활동을 자유롭게 운영할 수 있는 교육활동 시간을 의미하며, 자율과목은 의무 선택의 부담 없이 자유롭게 선택해 운영하거나 선택하지 않아도 되는 과목을 의미한다. 자율활동과 같이 학교장 재량 시간을 이용하여 독립된 교육과정을 운영한 사례로는 2015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1~2학년군의 '안전한 생활'편성과 7차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교과 재량활동에서 선택과목을 운영한 것을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초등학교에서 정보교육을 자율과목으로 편성해 운영할 수 있다면 최소한 인공지능, 코딩, 빅데이터 등을 배우고 싶어 하는 학생들만이라도 공교육 속에서 배움의 기회를 얻게될 것이다.

초등학교 실과 교육과정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개선방안 (Teachers' Perceptions of Softwar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Curriculum and Improvement Plan)

  • 이재호;조윤선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7권2호
    • /
    • pp.99-109
    • /
    • 2021
  • 4차 산업혁명 시대가 시작되고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교육도 이를 반영하게 되었다. 이미 여러 나라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는 2019년부터 정규 교육과정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을 시작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실과 교육과정에서 처음으로 소프트웨어 교육을 실시한 교사들의 느낀 점과 어려움을 바탕으로 소프트웨어 교육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2019년 초등학교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을 담당한 교사 96명을 대상으로 개인 역량, 수업 운영 방식, 교과서 및 교육자료, 수업 운영 내용, 교육환경과 관련하여 36개의 문항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중 3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육 시설과 환경 개선, 양질의 수업자료 개발 및 보급 활성화, 교사 대상의 참여형 연수와 교사 동아리 지원 확대 등의 개선사항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국민학교 육차 교육과정의 실과 지도내용 및 지도모형 연구 (A Study of Teaching Contents and Models in Practical Arts Based on the Sixth Curriculum of the Elementary School.)

  • 김혜자;최도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3-30
    • /
    • 1994
  • Currently, textbooks of practical arts in the elementary school are being revised for the sixth time. All the students in the third, fourth, fifth and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will learn these new textbooks beginning in March, 199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eaching models suitable for the new textbooks of practical arts under the sixth curriculum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1. Teaching guidances with subject matters in new textbooks are presented in Table 2, 3, 4, 5. The subject matters for each grade are divided into four main areas under the sixth curriculum. 2. The subject matters under the sixth curriculum are clothing, food, houseing, gradening, computer, industry and commerce. These are included in the four main areas of handling, making, cultivating or breeding and keeping. Activities or contents in these main areas are not necessarily related to each other in sequence. 3. The subject matters in the main areas are not perfectly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child development. 4. Teaching models and their example for each teaching unit are presented in Table 6, 7, 8, 9, 10.

  • PDF

과학영재교육원 기초반을 위한 초등 정보과학영재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 a Curriculum of the Elementary Gifted Children of Information Science for the Basic Course of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 오성훈;이애정;이재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89-96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초등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현재 각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초등 정보과학영재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내용을 분석하였다. 둘째, 재량 및 특활 시간에 이루어지고 있는 ICT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초등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교육 요소를 추출하였다. 셋째, 초등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교육과정을 실제 교육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 교육내용을 여러 가지 영역으로 분류하였으며 각각의 영역에 따른 학습주제를 원격교육, 참여교육, 집중교육으로 분류하였다. 넷째, 연간 교육일정에 따른 초등 정보과학영재를 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 PDF

구성주의 지식관이란 관점에서 초등학교 수학교과서 분석 -1학년과 2학년 수와 연산 영역을 중심으로- (Analysis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Constructivism Knowledge -with Focus on the Number and Operation Contents in 1st and 2nd Grades)

  • 이부다;김진호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415-442
    • /
    • 2010
  • 교육과정 개정시 교육과정의 기본철학아 바뀌면 그 바뀐 철학에서 보는 지식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 및 2007 개정 교육과정의 기본 철학인 구성주의 이론의 지식관이란 관점을 준거로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제7차 교육과정과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편찬된 초등학교 1학년과 2학년 수학교과서를 수와 연산 영역을 중심으로 구성주의 지식관을 준거로 분석하였다. 연구자의 교과서 분석의 객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교과서 한 단원을 정해 초등수학교육전문가들과 연구자의 분석을 Kappa 계수를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자의 분석의 객관성을 확보한 후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교과서를 분석하기 위한 준거로 기능, 개념, 계산 원리, 개념 원리, 일의성, 다양성, 계열성, 통합성의 교육과정 내용변인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 및 개정 교육과정의 기본 철학인 구성주의 지식관이란 관점에서 교과서를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교육과정과 교과서 사이의 괴리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초등학교 AI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구성 연구 (A Study on the Composition of Curriculum for AI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 배영권;유인환;유원진;김우열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279-288
    • /
    • 2021
  • 최근 인공지능(AI)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에 따라 교육현장에서도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다. 우리나라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정규 교육과정화된 소프트웨어(SW)교육에서 보다 확장하여 인공지능 교육 계획을 발표하는 등 향후 인공지능 교육 활성화를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 있으며 관련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인공지능 교육에서 무엇을 어떻게 교육해야 하는가와 관련한 교육과정 구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이며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는 영역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를 기반으로 국내외 AI교육과정과 관련한 연구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해 보았다. 전반적으로 선행된 연구에서 중점을 두는 영역과 내용 요소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정보 교과의 독립 및 AI교육의 정규 교육과 정화에 대비하여 국내외 AI교육과정에 대한 문헌 연구를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초등학교 AI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구성의 방향을 탐색하였다.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개선 방향 고찰 - 초등학교 '지구와 우주' 영역을 중심으로 - (Improving the 2022 Revised Science Curriculum: Elementary School "Earth and Universe" Units)

  • 유은정;박재용;이현동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2호
    • /
    • pp.173-185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고시를 앞두고 2007 개정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 중 지구와 우주 영역에 대해 반성적으로 검토하고 향후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과제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구과학교육 전문가와 학교 현장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지구와 우주 영역 내용 요소와 내용 체계, 성취 기준과 탐구 활동 구성, 교육과정의 종적·횡적 연계성에 대해 FGI를 실시하였다. FGI를 통해 귀납적으로 도출한 개선 방향에 논리적 일관성을 확보하고자 자유 응답 문항과 가중치를 부여한 계층 분석 문항을 포함하였다. 분석 결과,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초등 과학 지구와 우주 영역의 학년(군)별 단원 구성이 '지구계'의 각 권역별로 고르게 배분되어 있지 않고, 기초 개념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 내용과 기능을 중심으로 서술한 성취 기준은 과학과 핵심역량이 구체적으로 드러나도록 진술할 필요성이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탐구활동 유형과 학생 스스로 답을 찾는 과정이 포함되도록 탐구 활동을 구성할 필요성이 있다고 제안하였다. 계층 분석을 위한 문항에서는 내용 요소의 감축보다는 필수 내용 요소 포함, 흥미 중심의 현상 학습보다는 이해 중심의 개념 학습, 과목 간 통합 이전에 분과 기초 개념 학습, 학습 내용의 반복과 심화보다는 종적, 횡적 연계성의 확대를 제안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내용이 초등 과학 '지구와 우주' 영역과 관련된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로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점이 있다. 그러나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비전이 다양한 교육 주체의 참여를 통한 의견 수렴이므로 추후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에 고려해야 할 여러 가지 의견 중 하나로 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초등학교 국정 교과서의 한의학 관련 내용에 관한 분석 연구 (The Analysis of Contents Relevant to Korean Medicine in Elementary School National Textbooks)

  • 김희준;김민유;김기봉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2-39
    • /
    • 2014
  • Objectives: Elementary school national textbooks of 2013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contents related to Korean medicine in the Korea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Methods: The contents related to Korean medicine were identified in the 118 elementary school national textbooks of 2013, and their proportion in the total textbooks was calculated. The Korean medicine-related contents were also analyzed. Results: There were twelve parts related to Korean medicine in seven chapters in six courses, and four directly related words and eight indirectly related words were found in twelve parts. The total number of lines for the contents related to Korean medicine were 205, which occupied 0.063% in the total elementary school national textbooks. The contents occupied 0.013% in the second grade, 0.265% in the third grade, 0.036% in the fourth grade, and 0.042% in the fifth grade.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coverage of Korean medicine in the elementary school national textbooks in 2013 does not provide enough information on Korean medicine. To help people get to know about Korean medicine and use it in the right way, it would be necessary to include more information about Korean medicine in textbooks, and continuous interest as well as research will b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