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5267/keses.2022.41.2.173

Improving the 2022 Revised Science Curriculum: Elementary School "Earth and Universe" Units  

Yu, Eun-Jeong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Park, Jae Yo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Lee, Hyundong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v.41, no.2, 2022 , pp. 173-18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reflective review of the earth and universe units from the revised elementary curriculum of 2007-2015 and suggest changes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n FGI with earth science educato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garding the content elements and system,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inquiry activity composition, and the vertical and horizontal curriculum connectivity. Free response and weighted hierarchical analysis items were incorporated into the FGI to ensure logical consistency of the inductively derived improvement. This analysis revealed that the composition of units by grade group had been unevenly distributed among each of the "earth systems" until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as finalized. Furthermore, the basic concept was still insufficient. We suggest that achievement standards centered on the learning content and skills must state specific scientific core competencies, and inquiry activities should include rigorous critical thinking, student written responses, and student inquiry and analysis. In the hierarchical analysis items, FGI emphasized the inclusion of essential content elements rather than reduction of content elements, understanding-oriented concept learning rather than interest-centered phenomenon learning, basic concept division learning before integration between subjects, and expanding vertical-horizontal connectivity rather than repeating and advancing learning. There is a limit to the generalizing the suggestions proposed in this study to the common opinion of elementary earth science experts. However, since the main vision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s to gather opinions through educational entities' participation in a variety of educational subjects, it is suggested that our results should be incorporated as one of the opinions proposed for the 2022 curriculum revision.
Keywords
2022 revised curriculum;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earth and universe; curriculum revis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Saaty, T. L. (2008). Relative measurement and its generalization in decision making why pairwise comparisons are central in mathematics for the measurement of intangible factors the analytic hierarchy/network process. RACSAM-Revista de la Real Academia de Ciencias Exactas, Fisicas y Naturales. Serie A. Matematicas, 102(2), 251-318.
2 Wind, Y., & Saaty, T. L. (1980). Marketing applications of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Management science, 26(7), 641-658.   DOI
3 주형미, 김종윤, 배화순, 변희연, 유금복, 서지영, 장근주, 박소영, 배주경(2020).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학교 교과 교육내용의 적정성 분석: 수학, 과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20-6-2.
4 교육부(2007). 2007 개정 교육과정(초등학교). 교육부 고시 제2007-79호.
5 교육부(2009). 2009 개정 교육과정(초등학교). 교육부 고시 제2009-41호.
6 교육부(2015). 2015 개정 교육과정(초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7 서영진(2015).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주요 쟁점과 향후 과제: 공통 교육과정 '국어'를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 56, 67-106.
8 교육부(2018b). 과학 4학년 교과서. 비상교육.
9 교육부(2020). 학습의 패러다임을 바꾸어 가는 융합교육 종합계획(안) [2020년~2024년]. 교육부: 교육과정정책관.
10 김지혜, 민병미, 이유미, 손연아, 김동렬, 김태훈(2013). 한국, 일본, 미국의 초등 과학 교과서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내용 비교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7(2), 619-644.   DOI
11 안유민, 김현정, 박주현, 장의선(2018).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통합과목 운영 현황 조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O 2018-2.
12 이광우, 정영근, 서영진, 정창우, 최정순, 박문환, 이봉우, 진의남, 유정애, 이경언, 박소영, 주형미, 백남진, 온정덕, 이근호, 김사훈(2014). 교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설정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14-7.
13 이현동(2020).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개념과 탐구활동의 개선 방안 조사. 과학교육연구지, 44(3), 300-317.   DOI
14 정영근, 민용성, 이병천, 권점례, 김사훈, 최종선, 김태호(2020). 국가 교육과정 개발.적용.평가의 순환체제개선 방안 연구. 국가교육회의.
15 Saaty, T. L. (1970). How to make a decision: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48, 9-26.   DOI
16 Strauss, A., & Corbin, J.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 (2nd ed.), Sage, Newbury Park, London.
17 차조일, 안유민, 변태진(2019). 통합사회, 통합과학 교수학습 및 평가 개선 방안 모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19-2.
18 박수련(2021). 핵심 개념(Big Idea) 중심의 교과서 구성방안 탐색: 미국 과학교과서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2). 567-581.
19 Creswell, J. W., & Poth, C. N. (2016).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Sage publications.
20 교육부(2013). 2017학년도 대입제도 확정. 교육부 보도자료(2013. 10. 25.)
21 송신철, 심규철(2019). 초등 5~6학년군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 활동 유형 분석. 초등과학교육연구, 38(4), 453-464.
22 신영준, 곽영순, 김연화, 성정원, 이정우, 임은진(2018).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신설과목 운영 질 관리 방안 연구. 교육부 정책연구(교육부-위탁-2018-22).
23 윤현진, 이광우, 김영준, 전제철(2007).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I): 핵심역량 준거와 영역 설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7-1.
24 김경자, 곽상훈, 백남진, 송호현, 온정덕, 이승미, 한혜정, 허병훈, 홍은숙, 황규호(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시안(최종안) 개발 연구. 교육부.국가교육과정개정연구위원회.
25 교육부(2018a). 과학 3학년 교과서. 비상교육.
26 교육부(2019a). 과학 5학년 교과서. 비상교육.
27 교육부(2019b). 과학 6학년 교과서. 비상교육.
28 교육부(2016). 2016년 교육부 업무계획. 교육부 보도자료 (2016. 1. 25.).
29 교육부(2014).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총론 주요 사항 발표: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융합형 인재 육성을 위한 방향 제시. 교육부 보도자료(2014. 9. 24.).
30 이광우, 정연근(2017).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구성의 반성적 고찰: 핵심개념, 일반화된 지식, 기능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6), 597-622.
31 교육부(2021).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시안). 교육부 보도자료(2021. 11. 24.).
32 임유나, 홍후조(2016).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별 교육내용 제시 방식 검토: 내용 체계를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17(3), 277-302.
33 김창원, 가은아, 서영진, 구본관, 김기훈, 김유미, 김잔디, 김정우, 김혜정, 류수열, 민병곤, 박기범, 박영민, 박재 현, 박정미, 송승훈, 안부영, 양경희, 오리사, 이선희, 이재승, 장은주, 전은주, 한연희(2015).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II: 국어과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15-25-3.
34 이주연, 오택근, 이인화, 김성경, 이상아, 정송(2018). 2015 개정 교육과정 실태 분석 연구: 초등학교 1~2학년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18-23.
35 이진숙, 김은주, 김대현(2017). 2015 개정 과학과 공통 교육과정에서의 핵심역량-교과역량, 교과역량-성취기준의 관계 분석. 통합교육과정연구, 11(2), 1-25.
36 정수임, 최하늘, 최영진, 강현지, 전주영, 신동희(2021). 국내외 교과서에 수록된 극지 관련 내용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42(2), 201-220.
37 정영근, 박순경(2006).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의 교육내용 적정화 담론 고찰. 교육사상연구, 19, 1-25.
38 Corbin, J., & Strauss, A. (2014).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Sage publications.
39 Saaty, T. L. (198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Planning, Priority Setting, Resource Allocation, McGraw-H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