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Saaty, T. L. (2008). Relative measurement and its generalization in decision making why pairwise comparisons are central in mathematics for the measurement of intangible factors the analytic hierarchy/network process. RACSAM-Revista de la Real Academia de Ciencias Exactas, Fisicas y Naturales. Serie A. Matematicas, 102(2), 251-318.
|
2 |
Wind, Y., & Saaty, T. L. (1980). Marketing applications of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Management science, 26(7), 641-658.
DOI
|
3 |
주형미, 김종윤, 배화순, 변희연, 유금복, 서지영, 장근주, 박소영, 배주경(2020).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학교 교과 교육내용의 적정성 분석: 수학, 과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20-6-2.
|
4 |
교육부(2007). 2007 개정 교육과정(초등학교). 교육부 고시 제2007-79호.
|
5 |
교육부(2009). 2009 개정 교육과정(초등학교). 교육부 고시 제2009-41호.
|
6 |
교육부(2015). 2015 개정 교육과정(초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
7 |
교육부(2018b). 과학 4학년 교과서. 비상교육.
|
8 |
교육부(2020). 학습의 패러다임을 바꾸어 가는 융합교육 종합계획(안) [2020년~2024년]. 교육부: 교육과정정책관.
|
9 |
김지혜, 민병미, 이유미, 손연아, 김동렬, 김태훈(2013). 한국, 일본, 미국의 초등 과학 교과서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내용 비교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7(2), 619-644.
DOI
|
10 |
서영진(2015).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주요 쟁점과 향후 과제: 공통 교육과정 '국어'를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 56, 67-106.
|
11 |
안유민, 김현정, 박주현, 장의선(2018).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통합과목 운영 현황 조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O 2018-2.
|
12 |
이광우, 정영근, 서영진, 정창우, 최정순, 박문환, 이봉우, 진의남, 유정애, 이경언, 박소영, 주형미, 백남진, 온정덕, 이근호, 김사훈(2014). 교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설정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14-7.
|
13 |
이현동(2020).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개념과 탐구활동의 개선 방안 조사. 과학교육연구지, 44(3), 300-317.
DOI
|
14 |
정영근, 민용성, 이병천, 권점례, 김사훈, 최종선, 김태호(2020). 국가 교육과정 개발.적용.평가의 순환체제개선 방안 연구. 국가교육회의.
|
15 |
Saaty, T. L. (1970). How to make a decision: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48, 9-26.
DOI
|
16 |
Strauss, A., & Corbin, J.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 (2nd ed.), Sage, Newbury Park, London.
|
17 |
차조일, 안유민, 변태진(2019). 통합사회, 통합과학 교수학습 및 평가 개선 방안 모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2019-2.
|
18 |
박수련(2021). 핵심 개념(Big Idea) 중심의 교과서 구성방안 탐색: 미국 과학교과서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2). 567-581.
|
19 |
Creswell, J. W., & Poth, C. N. (2016).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Sage publications.
|
20 |
교육부(2013). 2017학년도 대입제도 확정. 교육부 보도자료(2013. 10. 25.)
|
21 |
송신철, 심규철(2019). 초등 5~6학년군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 활동 유형 분석. 초등과학교육연구, 38(4), 453-464.
|
22 |
신영준, 곽영순, 김연화, 성정원, 이정우, 임은진(2018).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신설과목 운영 질 관리 방안 연구. 교육부 정책연구(교육부-위탁-2018-22).
|
23 |
윤현진, 이광우, 김영준, 전제철(2007).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비전 연구(I): 핵심역량 준거와 영역 설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7-1.
|
24 |
김경자, 곽상훈, 백남진, 송호현, 온정덕, 이승미, 한혜정, 허병훈, 홍은숙, 황규호(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시안(최종안) 개발 연구. 교육부.국가교육과정개정연구위원회.
|
25 |
교육부(2018a). 과학 3학년 교과서. 비상교육.
|
26 |
교육부(2019a). 과학 5학년 교과서. 비상교육.
|
27 |
교육부(2019b). 과학 6학년 교과서. 비상교육.
|
28 |
교육부(2016). 2016년 교육부 업무계획. 교육부 보도자료 (2016. 1. 25.).
|
29 |
교육부(2014).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총론 주요 사항 발표: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융합형 인재 육성을 위한 방향 제시. 교육부 보도자료(2014. 9. 24.).
|
30 |
이광우, 정연근(2017).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구성의 반성적 고찰: 핵심개념, 일반화된 지식, 기능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6), 597-622.
|
31 |
교육부(2021).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시안). 교육부 보도자료(2021. 11. 24.).
|
32 |
임유나, 홍후조(2016).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별 교육내용 제시 방식 검토: 내용 체계를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17(3), 277-302.
|
33 |
김창원, 가은아, 서영진, 구본관, 김기훈, 김유미, 김잔디, 김정우, 김혜정, 류수열, 민병곤, 박기범, 박영민, 박재 현, 박정미, 송승훈, 안부영, 양경희, 오리사, 이선희, 이재승, 장은주, 전은주, 한연희(2015).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II: 국어과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15-25-3.
|
34 |
이주연, 오택근, 이인화, 김성경, 이상아, 정송(2018). 2015 개정 교육과정 실태 분석 연구: 초등학교 1~2학년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18-23.
|
35 |
이진숙, 김은주, 김대현(2017). 2015 개정 과학과 공통 교육과정에서의 핵심역량-교과역량, 교과역량-성취기준의 관계 분석. 통합교육과정연구, 11(2), 1-25.
|
36 |
정수임, 최하늘, 최영진, 강현지, 전주영, 신동희(2021). 국내외 교과서에 수록된 극지 관련 내용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42(2), 201-220.
|
37 |
정영근, 박순경(2006).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의 교육내용 적정화 담론 고찰. 교육사상연구, 19, 1-25.
|
38 |
Corbin, J., & Strauss, A. (2014).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Sage publications.
|
39 |
Saaty, T. L. (198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Planning, Priority Setting, Resource Allocation, McGraw-Hil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