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mentary school's gifted class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8초

발명영재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이공계 선호 및 진로의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n Invention Program for Gifted Pupils on the Interest of Science-engineering Department and Career Maturity)

  • 강규승;남현욱
    • 공학교육연구
    • /
    • 제12권4호
    • /
    • pp.56-62
    • /
    • 2009
  • 이 연구는 발명영재 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이공계 선호 및 진로의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원시 D초등학교, J초등학교 6학년 영재학급을 대상으로 12차시에 걸쳐 실험집단에게 발명영재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발명영재 교육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진로의식 성숙도의 차이는 실험집단이나 통제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이공계 선호 및 이공계 기피 현상에 대한 인식 변화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발명영재 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의식을 높이는 것에는 적합하지 않지만 이공계 선호에 대한 인식 변화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토대로 발명영재 교육프로그램의 내용체계 속에 진로의식을 성숙시켜 줄 수 있는 부분이 포함되어 교육이 이루어져야지만 진정한 발명교육의 목표에 도달할 수 있음을 제언한다.

초등과학영재학생의 자기 평가, 동료 평가의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Student Self-and Peer-Assessments of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Scientific Creativity)

  • 김민주;임채성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8권4호
    • /
    • pp.439-452
    • /
    • 2019
  • This study aims to compare self- and peer-assessments of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scientific creativity. A science-gifted program on the Pascal's principle was implemented to 40 fifth-graders in the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for two weeks. After that, students presented their results from a scientific creativity task using the principle in class. The task was to devise a new and useful tool using the principle, and it included the students' self-assessment about their idea. During presentation, students were asked to assess the works of peers and write down the reasons that they gave the scores they gave. Shortly, student self- and peer-assessments about students' scientific creativity outcomes were compared. Based on two essential components of creativity, ideas that satisfy both originality and usefulness can be counted as scientifically creativ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scores of student self- and peer-assessments were 71.5 and 61.9. Second, the standard deviations of student self- and peer-assessments were 14.47 and 5.79. Third, among scientific creativity, originality, usefulness scores, only originality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tudent self- and peer-assessment (r=.42). Fourth, the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s of their scores by student self- and peer-assessment. And the frequencies of peer-assessment group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5 level, according to self-assessment group (Chi Square=4.0000, df=1, p=0.0455). Fifth, through a case study by group, the results suggesting that self-assessment could be affected by the students' self-efficacy and perfectionism and such effect could also influence peer-assessment have been found. The result showed that how the student self- and peer-assessment of scientific creativity are different and what the students' thoughts on the evaluation of scientific creativity are. The findings suggested that there are several things to consider for the educators to make efforts to construct consistent assessment methods for scientific creativity.

변형된 상금 분배 문제의 해결과정에 나타나는 초등학교 수학영재들의 사고 특성 분석 (Analysis on the Thinking Characteristics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in Modified Prize-Sharing Problem Solving Process)

  • 김우현;송상헌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1권2호
    • /
    • pp.317-333
    • /
    • 2009
  • 본 연구는 전통적인 '파스칼과 페르마의 상금 분배 문제'를 변형하여 초등학교 수학영재들에게 제시하고 그것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집단의 수준별 사고특성과 또래 학생들과의 토론과정에서 변화해가는 개인의 사고 과정을 분석하고 있다. 변형한 문제는 원문제보다 상황에 따라 여러 가지 답을 도출할 수 있도록 재구성하였는데, 선행 연구 및 실제 수업 적용을 통하여 얻은 10가지의 답을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문제를 해결하는 동안 나타나는 수학영재들의 사고 특성 및 변화 과정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이 소속한 집단의 수준별로 해법의 유형에는 차이점이 나타났으며 개별 학생이 문제 해결 과정이나 사고 수준에 있어도 그 특성이 뚜렷하였다. 일반적으로는 일어날 상황만을 고려하여 상금을 분배하려는 생각보다는 일어난 결과와 일어날 상황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더 우수한 방법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가장 수준이 높은 영재집단에서도 토론 수업이 진행되는 동안 다양한 논의가 도출되어 어느 한 가지 방법이 더 우수하다고 확정지을 수 없을 정도로 좋은 토론과제였다.

  • PDF

영재 아동의 정서적 특성에 관한 임상연구: 정신 건장을 위한 지도 (The emotional characeristics of gifted children: Suggestions for guidance of the gifted children's mental health)

  • 윤여홍
    • 영재교육연구
    • /
    • 제6권1호
    • /
    • pp.53-72
    • /
    • 1996
  • The present study dealt with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emotional development of gifted children and emphasized the emotional intelligence as the meta-ability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intellectual abilities. The emotional vulnerability of gifted children was also hscussed with endogenous and exogeneous problems, internal dyssynchrony, and social context. To find out the real chief problems the gifted children have, the contents of individual counselling with mothers of the gifted in KAGE were categorized based on the Lazarus' BASIC ID and DSM-IV dagnosis. Total 128 cases were analyzed. Among them, 61 cases were from elementary schoolers, however, percentile data showed the most, 34% of infant class aged 30 months - 48 months. Usually, the number of counselling in each person was 1, but 17 cases were done more than 3 times. And, 8 cases had experiences to visit the other counseling center or neuropsychiatric clinic. The categories of chief problems were 10: information about gifted program, behavior, affect, sensation, school and cognitive functions, imagery and self concept, interpersonal relationship, personality, mental illness, and others. Many problems in each category were listed. Finally,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e several guidance plan possibly useful in the gifted education center for the purpose of prevention of emotional difficulties and support for the mental health, including professional personnel, child counselling, emotional education, and parent counseling & education.

  • PDF

교사의 도구적 오케스트레이션에 관한 활동이론적 분석: 계산기 기반 초등 수학 영재 수업을 중심으로 (An Activity Theoretical Analysis on the Instrumenatal Orchestration of the Teacher: Focusing on the Calculator-Based Classroom Activities of Gifted Elementary Math Students)

  • 강영란;조정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7권2호
    • /
    • pp.273-287
    • /
    • 2015
  • 본 연구는 계산기를 활용하는 초등 수학 영재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도구적 오케스트레이션 유형을 분석하고 활동체계로 도식화해 봄으로써 공학이 통합된 수업에 관한 교사의 교수학적 실행에 대한 이해를 얻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Y초등학교 5학년 영재 학급을 대상으로 미시적 문화기술지를 활용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영재 수업에 참여관찰하면서 영재 학급 내 구성원들과 인터뷰를 실시하고, 다양한 문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질적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분석적 귀납법을 적용하였으며, Drijvers, Boon, Doorman, Reed, & Gravemeijer의 도구적 오케스트레이션 유형과 Engestrom의 2세대 활동이론을 개념적 준거틀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기술-설명하기', '스크린-화면-연결하기', '발견-소집단 탐구하기', 그리고 '기술-화면-설명하기'의 4개의 유형이 나타났다.

선분의 등분할 작도에 나타나는 6학년 영재.일반 학급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 (Mathematical Thinking of Sixth-Grade Gifted.Normal Class Students in the Equal Division Process of Line Segments)

  • 임영빈;류희수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47-282
    • /
    • 2011
  • 7차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수학교과서를 살펴보면 자와 컴퍼스를 사용하여 삼각형과 원을 그리며, 삼각자를 활용해 수직선과 평행선을 그리는 작도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2010년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작도 과정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사고를 분석하여 초등학교 작도지도의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영재학급 6학년 학생들은 교사의 적절한 조언이 뒷받침되면 선분의 등분할 작도를 통해 유추, 연역, 발전, 일반화, 기호화의 사고와 같은 수학적 사고가 가능하며, 일반학급 학생들에게도 현행 교육과정보다 심화된, 자와 컴퍼스를 이용한 수직이등분선, 사각형, 마름모, 선분의 연장 등의 작도는 교육이 가능하다.

  • PDF

초등학교 수학 영재 및 일반 아동의 정의적 특성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ly Gifted Children and Average Students)

  • 강신포;김판수;유화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5권4호
    • /
    • pp.441-457
    • /
    • 2003
  • 영재 교육에서 우선되는 영재의 선발에서 교육에 이르기까지 영재의 지적 특성과 함께 비지적 특성도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들이 많다. 최근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 가운에 관심을 모으고 있는 것이 교과에 대한 태도와 자기 효능감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들 정의적 영역에서 보이는 수학영재 아동의 특성을 일반아동의 것과 비교해 본다. 그리고 일반 아동을 급지별로 분류하여 급지간 특성 및 영재 집단과의 차이도 알아보면서 성차에 대한 통계적 분석도 병행했다. 일원변량 분석 결과에 의하면 교과에 대한 태도와 자기효능 감에서 남학생들은 급지간 및 집단 간의 차가 뚜렷하였으나 여학생들은 그렇지 못하였다. 특히 여학생의 경우 자기효능 감에서 영재집단과 경합급지 사이에는 유의한 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정보영재 학생의 정보접근성 인식 향상을 위한 PBL 기반 수업 설계 및 적용 (Design and Application of Problem Based Learning to Improve Awareness of Information Accessibility for Gifted Students in Computer Science)

  • 김한성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109-120
    • /
    • 2016
  • 본 논문의 목적은 정보영재 학생들의 정보접근성 인식의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법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그 효과를 알아보는 것에 있다. 실험수업에 적용된 모형은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PBL)을 기반으로 설계하였으며 정보영재 42명(초등학생 22명, 중학생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업모형의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해 정보접근성에 대한 필요성, 행동의지에 대한 인식을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알아보고, 수업 후 실험수업에 대한 재미, 만족도, 몰입감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사후 차이 분석 결과 수업 후 정보접근성에 대한 필요성 및 행동의지가 전반적으로 향상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이 중, 성별의 차이를 살펴보면 여학생들의 정보접근성에 대한 인식과 남학생의 행동의지가 향상된 것을 볼 수 있었다. 학교급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초등학생의 정보접근성에 대한 필요성과 중학생의 행동의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을 볼 수 있었다. 둘째, 실험수업 후 학습자들의 재미와 만족도가 높게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몰입감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 향후 이를 보완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Girih 타일링을 이용한 초등수학영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연구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Girih tiling Program for the Math-Gifted Student in Elementary School)

  • 박혜정;조영미
    • 영재교육연구
    • /
    • 제22권3호
    • /
    • pp.619-637
    • /
    • 2012
  • girih 타일링은 비주기적이면서도 규칙적인 구조를 가진 타일링으로, 최근 '이슬람 사원 장식에 숨어있는 수학의 비밀'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소재로 하여 비주기적인 규칙성 안에 숨어 있는 수학이 만들어내는 유용성과 아름다움을 체험할 수 있는 초등 수학영재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개발한 초등수학영재 프로그램은 '이슬람 문양 속 girih의 비밀을 찾아서'이며, Renzulli의 3부 심화학습 형식에 따라 적용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대전광역시 유성구에 소재하고 있는 D 초등학교 5, 6학년 통합영재반 6명에게 적용한 결과를 토대로 수정, 보완 하였으며 개발된 프로그램 및 학습 자료는 초등수학영재 교육을 위한 소재 개발과 방법에 있어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모둠별 게임 변형을 통한 초등수학영재들의 수학적 정교화 과정 분석 (Mathematical Elaboration Process of the Elementary Gifted Children's Board Game Re-creation in Group Project)

  • 성예원;송상헌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3호
    • /
    • pp.619-632
    • /
    • 2013
  • 본 연구는 초등수학영재들이 수학적 소재의 기존 게임을 변형하여 새로운 게임을 만들어가는 동안 모둠내 토론 과정에서 드러나는 수학적 정교화 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모델화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한 개의 지역공동영재학급에서 5주간의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특히 게임의 변형의 아이디어를 모둠별로 모아가는 수학적 정교화 과정을 모델로 구안하고자 하였다. 정교화 과정에서 수학적 경로와 수학외 경로가 상호작용을 하는 이중 경로의 모습을 띄었으며, 수학적(논리적) 근거에 따라 3가지의 수학적 경로(호의, 비호의, 중립)와 4 가지의 수학외 경로(비일관성, 사회적 증거, 호감, 권위)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수시로 통찰이 일어났으며, 이 과정을 거쳐 수학적 규칙이 모둠에서 수렴되는 정교화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수학영재들이 모둠별로 게임을 변형하는 과정에서 보이는 수학적 정교화 과정을 분석하고 수학적 정교화 모델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