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

검색결과 303건 처리시간 0.023초

수학교과서 연구 동향 분석 - 2006년부터 2011년에 게재된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Research Trends of Mathematics Textbooks - Focused on the Papers Published between 2006 and 2011 in Domestic Journals -)

  • 방정숙;황현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1권3호
    • /
    • pp.247-263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cent research trends of mathematics textbook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extbook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90 out of 1121 research papers published between 2006 and 2011 in seven prestigious domestic journals were selected. The papers dealing with only Korean mathematics textbooks were analyzed by school levels (i.e., elementary or secondary), mathematics content areas, analytic methods, and implications. The papers comparing our mathematics textbooks with foreign counterparts were analyzed by reasons for the comparison, school levels, subjects for analysis, and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urge us to pay more attention to secondary mathematics textbooks, least studied content areas, and various but inconsistent analytic methods. This paper also suggests close connections between textbook analysis and textbook development.

스토리텔링 기반 수학 교과서에 대한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인지부하 분석 - '수와 연산' 영역의 한 주제를 중심으로 - (The 4th Grade Elementary Students' Cognitive Load of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Storytelling - Focused on one Theme in 'Number and Operations' -)

  • 이세형;유윤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6권1호
    • /
    • pp.1-17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ognitive load of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storytelling and traditional mathematics textbooks that are presented to students. In order to verify this, we have selected two 4th grade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that were identified as a homogeneous group through prior testing, and thus were separat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Then, without the teacher's lessons, the experimental group learned from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storytelling and the comparative group learned from traditional mathematics textbooks. Afterwards, the two groups' cognitive load was measured through a questionnaire,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mental effort' and 'self evaluation' categories, the students that learned from the mathematics textbook based on storytelling showed higher scores than the students that learned from the traditional mathematics textbook. also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ome items.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remaining categories 'task difficulty', 'self evaluation', and 'material design'.

한국의 초등수학 교과서에 나타나는 분수의 개념과 모델의 양상 분석 (An Analysis on Aspects of Concepts and Models of Fraction Appeared in Korea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

  • 강흥규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431-455
    • /
    • 2013
  • 이 논문에서는 분수가 가지는 다양한 의미를 개념(비율, 작용소, 나눗셈)과 모델(전체-부분, 측정, 분배)의 두 범주로 분류하고, 그것이 한국의 초등수학 교과서에서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수학에서 분수 지도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분수의 다양한 개념과 모델을 상호 보완적으로 활용함으로서 통합된 하나의 분수 개념을 형성해야 한다. 둘째, 분수의 다양한 개념과 모델을 명확히 변별하고 그 도입시점을 명확히 함으로써, 암묵적인 사용 혹은 애매한 사용을 피해야 한다. 셋째, 현재 한국의 교과서는 측정모델의 사용 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다. 그것을 보다 명시적으로 정의할 필요가 있으며, 분수 곱셈과 나눗셈의 알고리즘 설명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 PDF

제7차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활동 유형 분석 (An Analysis of Activity Styles i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by the 7th Curriculum)

  • 신희경;백석윤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5-61
    • /
    • 2004
  •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은 학습자의 능동적이고 구체적인 조작 활동을 통한 학습을 강조하고 이를 교과서에 ‘활동’이라는 형식을 도입함으로써 가시화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이 ‘활동’ 형식에 대하여 어떤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는지, 영역 또는 학년에 따라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활동 형식의 전반적인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 PDF

비와 비율 지도에 대한 연구 -교과서 재구성을 중심으로- (Teaching the Concept of Rate and Ratio - Focused on Using the Reconstructed Textbook -)

  • 김수현;나귀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8권3호
    • /
    • pp.309-33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비와 비율의 교수 학습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고찰하고, 현행 초등학교 교과서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선행 연구 고찰과 현행 교과서의 문제점 분석을 토대로 교과서를 새롭게 재구성하였으며, 재구성된 교과서를 활용하여 실제 교수 학습을 실시하고 그 과정에서 나타난 재구성 교과서의 적절성과 한계, 학생들의 비와 비율 개념화 과정 등을 확인하였다. 현행 교과서와 다르게, 본 연구의 재구성 교과서에서는 비율, 백분율과 비의 값, 비로 지도 순서를 바꾸었으며, 이는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재구성 교과서에서는 상대 비교와 절대 비교, 가법적 사고와 승법적 사고 등을 다루었으며, 이는 학생들의 비와 비율 개념 이해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재구성 교과서에 제시된 다양한 맥락들 중에서 일부 맥락은 학생들의 인지적 혼란을 야기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구성 체제 비교 및 교사 선호도 조사 (A Comparative Study on Unit and Lesson Frameworks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nd Research on Teachers' Preference)

  • 김판수;임미인;장혜원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63-289
    • /
    • 2017
  • 교과서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초등학교 수업 장면을 고려할 때 교과서의 구성 체제가 수학 수업에 미치는 영향은 크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교사의 수업 계획은 교과서의 단원 및 차시를 토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단원 및 차시 구성 체제는 수학수업과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단원 및 차시 구성 체제에 대한 종적, 횡적 비교 분석을 실시하고 그로부터 추출한 주요 특징에 대해 초등학교 교사들의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교육과정기별 수학 교과서 및 한국, 일본, 미국, 핀란드 수학 교과서의 구성 체제에는 몇 가지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며, 그에 기초하여 구성한 설문 조사 결과, 초등학교 교사들이 선호하는 단원 및 차시 구성 체제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로부터 교과서 개발 시 구성 체제 측면에 있어서의 몇 가지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PDF

스토리텔링을 통한 초등학교 수학학습에 대한 고찰 (A Review on Teaching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hough Storytelling)

  • 정인수;박성선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541-554
    • /
    • 2013
  • 스토리텔링은 학생들이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수학에 참여하게 하는 유의미한 수학적 상황을 제공할 수 있으며, 여러 연구에서도 스토리텔링의 긍정적 효과를 보여 주고 있다. 최근 수학에 대한 흥미와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수학수업에서 스토리텔링이 강조되고 있고, 그에 따라 교과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미 2013년에 초등학교 1~2학년군을 시작으로 스토리텔링이 구현된 교과서를 사용하여 수학수업이 이루어졌으며, 3~4학년군은 2014년부터 5~6학년군은 2015년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그러나 스토리텔링이 수학교과서에 도입되고 이를 학교현장에서 어떻게 활용해야 할 지에 대해서 많은 논란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글에서는 스토리텔링을 도입하게 된 전반적인 배경을 논의하고, 스토리텔링의 개념과 수학교육적 측면에서의 교육적 의미 등을 고찰하고, 수학 수업에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하기 위한 실제 방안을 탐색하였다.

  • PDF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개선과 편찬 상의 이슈 분석: 2015 개정 초등학교 수학 국정 교과용 도서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Improvement and Compilation Issues of Mathematics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s: Focusing o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 Government Published)

  • 이화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5권4호
    • /
    • pp.411-431
    • /
    • 2022
  • 본 논문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수학국정 교과용 도서 편찬의 과정과 결과를 분석하여 향후 교과용 도서 편찬을 위한 시사점을 모색하였다. 2015 개정 초등 수학 국정 교과서 편찬은 전국의 학계와 학교 현장 전문가들이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편찬 시스템을 갖추고 운영되었다. 내용상의 개선 사항으로는 기초 계산 능력 강화를 위한 단원과 차시를 증대하고, 수학 개념과 원리 도입 방식이나 알고리즘 제시 방식 개선 및 내용 간의 내적 연결성을 강화하였다. 학생들에게 이해가 어려운 내용은 상위 학기나 상위 학년으로 이동 배치하여 학습 시기를 조정하였다. 1~2학년군에서는 학생들의 한글수준에 맞게 읽을 분량을 대폭 축소하고, 문장과 어휘 개선 및 지시문을 간결하게 수정하였다. 편집·디자인 개선 사항으로는 단원별 도입 차시의 삽화와 차시별 맥락 그림을 세밀화로 연계하여 제시하였고, 교과서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전 학년군에 걸쳐 일관성있게 제시하였다. 편찬 과정에서 교과서의 문장과 어휘 수준, 교과서 분량, 수학 익힘 문제 난이도 등 이슈가 제기되었으며, 이에 따른 교과서 편찬 개선 노력과 그 결과를 조망하였다. 위와 같이 전반적인 분석을 통하여, 향후 국정 교과서 및 검정 교과서 등 편찬을 위해 학생과 교사를 위한 교과서 편찬 개선 방안과 편찬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 교과서와 미국 MIC 교과서의 비와 비율 관련 단원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n Units about Ratio and Rate between Korean Mathematics Textbook and MIC Textbook)

  • 박희자;정은실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769-788
    • /
    • 2010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와 미국 MIC 교과서의 비와 비율 관련 단원을 전반적인 비교와 구체적인 비교로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과 비와 비율 관련단원 내용의 문제점과 시사점을 찾아 수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 수학 학습지도 방법 개선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 PDF

초등 수학 교과서의 동분모 분수 덧셈과 뺄셈 단원의 차시 흐름 및 시각적 표현 다양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iversity of Lesson Flow and Visual Representations of Common Denominator Fraction Addition and Subtraction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강윤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6권3호
    • /
    • pp.125-140
    • /
    • 2023
  • 초등학교 수학에서 분수의 연산은 매우 중요하지만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개념이다. 분수 연산의 기초가 되는 동분모 분수의 덧셈과 뺄셈에 대하여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정 교과서 1종, 검정 교과서 10종을 분석하여 단원의 차시 흐름과 시각적 표현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각각의 교과서마다 나름의 순서와 차시 주제를 고민하여 단원을 구성하고 있었으며 비교적 충실하게 교육과정을 반영하였다. 또한, 각각의 교과서마다 사용하는 시각적 표현의 종류와 개수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는 분수의 연산 학습을 돕기 위하여 시각적 표현의 일관성 또는 다양성을 의도한 것으로 보인다. 각 교과서의 차시 구성 및 시각적 표현의 특성을 파악한다면 더욱 효과적으로 분수의 연산을 지도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