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mentary Students' Life Satisfaction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5초

교원 은퇴자의 삶의 여정에 관한 생애사 연구 (The Life History Study on the Life Journey of Retired Teachers)

  • 박종환;윤선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626-638
    • /
    • 2021
  • 본 연구는 생애사 연구로서 교직에서 은퇴한 유·초·중등의 남·여 교원의 삶을 통하여 은퇴의 의미와 적응과정을 탐색하여 교원 은퇴자들에게 개인적·사회적 필요가 무엇일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어린 시절의 성장 경험과 학창 시절의 경험은 학생에게 선한 영향을 주거나 하지 말아야 할 행위의 한계를 설정하는데 기여하는 등, 오롯이 본인의 직업 수행에 영향을 준 것을 알 수 있었다. 상호의존의 시기에 단순 직업인을 넘어서 사회와 국가에 봉사하는 데에 기여하였고, 교직 후반기에는 아픈 경험이 자원이었고 '생각을 바꾸니 세상이 바뀌었다'는 표현으로 깨달음을 얻었다고 하였다. 교원이 미치는 행위의 영향이 다른 직업과 달리 다수의 대상에게 미친다는 점에서 교원 은퇴자들에게는 은퇴 전의 직업에 대한 보람이나 만족감이 다른 직종과 대비될 정도로 컸다. 그러나 은퇴 후에 교원 은퇴자들은 무한 자유에 행복을 느끼면서도 소속감과 성취감 없는 삶에 심리적인 공허함을 느꼈다. 그리고 새로운 공부에 도전하며 삶의 이모작을 위한 끊임없는 전진을 하고 있었다.

학교적응유연성 유형에 따른 이용 아동의 세분화(동질적) 집단 특성연구 - 지역아동센터 이용 만족도가 학교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Segmenting the Effect of School Resilience of the Poor Children by Children's Satisfaction in Using Community Child Center)

  • 유수복;김현주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3권4호
    • /
    • pp.109-130
    • /
    • 2011
  •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이용 만족도가 학교적응유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학교 적응유연성 유형에 따른 이용 아동의 세분화(동질적) 집단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청주시 지역의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초등학교 3-6학년 27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지역아동센터 이용 만족도가 학교적응유연성 중학교생활에 대한 흥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고 친구관계와 인지활동 프로그램에 만족하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은 학업 및 성적에 대한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었다. 둘째, 학교적응유연성 유형에 따른 이용 아동의 세분화(동질적) 집단 특성을 4집단으로 분류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향후 지역아동센터의 집단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수립에 함의를 제시하였다.

  • PDF

초등학교 내 학교숲 기능에 관한 교사 - 학생간 인식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eacher-Student Perception of Forest Function in Elementary School)

  • 김정호;이상훈;윤용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519-529
    • /
    • 2018
  • With rapid economic growth, the urban environment has created a problem of human physical and mental illnes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urban forests have emerged as a way to mitigate the environmental risks through improving the polluted environment of the city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s the urban forests have expanded, the school forests movement has also been taking an important place recently. The study focused on the performance of school forests by comparing the perceptions among teachers and students about their function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4 questions concerning human matters, 10 questions for space recognition, 4 questions for thermal environment, 2 questions for health promotion, and 20 total questions for composition of survey items. The reliability of the school forest function, number of tree planting areas and quantities, the harmony of the planting, and the satisfaction of the school forest were analyzed in the questionnaire conducted by the school members. Although it does not recognize school forests, it has a positive response to the green space that is built outdoors. It is considered that outdoor education and environmental education are sufficient in school forests and green spac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utdoor green space was more satisfactory when compared with the general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preferences were similar to 'seasonal changes' and' trees of various colors and shapes'. The reliability analysis between each item shows that the coefficient for cronbach's ${\alpha}$ was .700 to .83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forest function among school forest members and to utilize them as a basic data in the future.

환경교육프로그램의 학부모 참여 효과 (The Effects of Parents' Participation i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 김순식;최성봉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7호
    • /
    • pp.879-888
    • /
    • 2010
  • The consciousness of environmental education has increased for the last decades, and schools make efforts for education in the systematic environment. To keep pace with trends such as the open school and the open class,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are actively participating i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Parents' active participate i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will provide excellent basis to operate environmental education efficiently and advise fruitful oper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In addition, as parents play an important role of deciding the students' life habits or attitudes about environment, their participation is greatly meaningful. This study was conducted to 203 fourth and fifth graders in M elementary school in Ulsan city that operated the model school for protecting the forest from March to December, 2009 and their parent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s' participation i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 group with parents who participat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showed higher interest in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school. Second, the student group with parents who participat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showed higher environment sensitiveness and environmental practice intention. Third, the parent group who participat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showed higher environmental sensitiveness and environmental practice intention. Fourth, the parent group who participat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showed higher satisfaction about the program. As the result of the study,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with parents' participation attracted their active interest and participation about school environment problems, and a lot of conversation and attention between students and parents who participat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improved the students and their parents' environmental sensitiveness and environmental practice intention.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와 초·중·고등학생의 인성, 학교생활만족도, 생활·학습태도의 관계: 체계적 문헌고찰 (Association of School Sport Club participation with Character, School Life Satisfaction, Life Attitude, and Educational Attitude among School Students in Korea: A Systematic Review)

  • 유미성;송윤경;김지영;이정아;양혁인;전용관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5권5호
    • /
    • pp.249-262
    • /
    • 2016
  • 2007년부터 도입·시행되고 있는 학교스포츠클럽 정책은 학생들의 신체활동 부족에 따른 체력 저하 및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사회 문제를 완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학생들의 자율적인 신체활동을 통해 인성함양과 관련된 신체적·정서적·사회적 건강을 향상시킴으로써 학생뿐만 아니라 교사와 학부모의 높은 만족도를 얻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와 인성함양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의 연구논문을 바탕으로 종합·분류하여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향후 학교스포츠클럽 정책 추진에 있어 명확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국내 학술논문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학교스포츠클럽"으로 검색된 13편의 논문들을 선정하였다. 문헌고찰의 결과, 국내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는 인성함양과 관련된 그들의 인성교육, 학교생활만족도, 생활 및 학습태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결과는 교육부(2015)의 추진정책,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의 만족도 조사와 일관성 있는 결과로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는 학생들의 인성함양과 긍정적인 관련이 있으며, 향후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신체활동 증진을 위한 학교스포츠클럽 운영이 실제로 중요하고, 다양한 기회의 창출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기혼취업여성의 배우자 역할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Quality of Marital Role of Married, Working Women in Korea)

  • 박은옥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80-92
    • /
    • 2001
  • The labor participation rate of women are increasing, especially for married and 30 and over aged women in Korea. Marital role quality might be regarded as an influencing factor on quality of life or health stat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fluencing factors on quality of marital role for Korean employed women with husband. Data were collected from 323 mothers of students at 3 kindergartens, 2 elementary schools, 3 middle schools, 4 high schools in metropolitan area, during 1998.8~1998.12. they were dual-earner couples, and were employed over one year. Response rate is 62.3%. Quality of marital role was measured using Role Quality Scale developed by Park, June & Kim(1999). This instrument is based on Role Rewards and Concerns Scale of Barnett et al.(1993) for quality of marital role. Quality of marital role is made of 19 items and the subfactors are doing households, satisfaction with husband, and relationship with husband The scale has good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 $\alpha$= 0.90).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age, 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husband's occupation, husband's attitude for wife's employment, and the perceived equity for labor division between couples are significant variables for quality of marital role. But education, career years, working hours per week, occupation, monthly average wage, and marital years are not significant. 33.81% of the variance in quality of martal role were accounted for by these variables.

  • PDF

아동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자아존중감이 친구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Family Strengths Perceived by Children and Self-Esteem on Friendship Quality)

  • 조아라;현온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6권4호
    • /
    • pp.135-148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family strengths perceived by children and self-esteem on friendship qual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47 students in the 5th and 6th grade who are from 10 elementary schools in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factor of the friendship quality had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upon gender of child. That is, female have higher friendship quality than male. Also, general self-esteem, social-peer self-esteem and positive factor of friendship quality had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upon father's educational level. Second, gender of child, self-esteem, family strengths what kind of effect should have gone mad to friendship quality, it examined. The variable of social-peer self-esteem is the most influence positive factor in friendship. The variable of school academic self-esteem is the most influence conflict in friendship. Most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ed competition in friendship were family values. And most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ed satisfaction in friendship were general self-esteem. In conclusion, variables effecting friendship quality include gender of child, self-esteem and family strengths. Therefore, family strengths and self-esteem are very important in order to improve the positive friendship quality of children.

스토리라인(Storyline)을 활용한 스마트 러닝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Smart Learning Contents Development using Storyline)

  • 배영권;도재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35-146
    • /
    • 2013
  • 최근 학교 현장에서는 스마트 러닝을 교육 현장에 도입하여, 교육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현장에서의 스마트 러닝 정착과 관련하여 스마트 러닝 콘텐츠 개발에 중점을 두고, 앱 저작 도구 중 스토리라인을 활용하여 스마트 러닝 콘텐츠를 개발하는 부분에 대하여 연구를 추진하였다. 이를 위해 스마트 러닝과 관련하여 선행 연구를 분석하고, 스토리라인의 특징과 콘텐츠의 개발 과정을 제시하였으며, 초등학교 정보생활 6학년의 숫자 정렬 부분의 콘텐츠를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하고 교육의 실효성을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전통적인 활동 수업과 스마트 러닝 콘텐츠 활용 수업의 두 집단 간의 유의미한 평균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즉각적인 피드백과 반복조작활동 등은 스마트 러닝 콘텐츠의 활용이 학습에 대한 이해, 만족, 흥미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생각 비교 (A Comparison Between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Gifted Child and Science Teacher about the Good Science Class)

  • 양일호;최현;임성만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0-20
    • /
    • 2014
  • 이 연구는 교육지원청 영재교육원 학생들과 수업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인식을 비교 하였다.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해 과학 영재 수업이라는 공통의 경험과 그 현상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면담을 통해 그 의미를 탐색해 보았다. 연구문제는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로 설정하였다. 연구문제를 탐구하기 위하여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작성하여 과학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과 교사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해 교사들은 첫째, 교육내용 및 방법의 범주면에서 학생 중심의 주제 선정과 교육과정의 비정형성, 개인차를 인정하는 학습 속도의 조절과 탐구 능력을 촉진하는 도전적인 과제를 제시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었다. 둘째, 과학 수업기술 및 태도 범주면에서는 허용적인 분위기에서 활발한 상호작용을 통해 상호 만족도를 높이며, 학생들의 의견을 수용하는 과정 중심의 평가가 이루어질 것을 권장하였다. 셋째, 영재학생 지도교사의 지속적인 전문성 신장을 위해 노력할 것을 포함하였다. 영재 학생들은 첫째, 수업 내용면에서 주제 선택의 자유와 심화된 탐구에 도전 의지를 갖고 해결하는 즐거운 수업을 좋은 과학 수업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수업 활동면에서 탐구 방식의 자율적 선택과 과학자처럼 활동하기, 소통과 협력이 가능한 모둠활동, 과정 중심 프로젝트나 산출물에 대한 총합적인 평가를 선호하였다. 셋째, 수업 환경면에서는 물리적 환경이 잘 갖춰진 실험실에서 허용적인 분위기와 학생에 대한 존중을 요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영재학생과 지도교사 사이의 좋은 과학 영재 수업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밝혀 영재학생을 위한 과학 영재 수업의 질 관리 및 효과적인 좋은 과학 영재 수업 전략을 수립하는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삼각퍼지수를 활용한 학교숲 만족도 분석 (An Analysis of Satisfaction with School Forest Using Triangular Fuzzy Number)

  • 이슬기;장정선;정성관;유주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10
    • /
    • 2009
  • 학교숲은 도시숲의 유형중 하나이다. 도시학교는 적당한 거리에 적당한 면적을 유지하고 있어 학교숲의 조성은 도시에 많은 숲이 조성되는 효과를 준다. 또한, 학교는 학생들이 오랜 시간 머무르는 장소로 학생들의 환경교육의 장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조성된 학교숲은 학생들의 요구나 참여가 배제된 채 결과 중심의 사업이 되고 있어 학생들의 환경교육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분석하는 기존연구의 경우, 리커트척도를 활용하여 주관적 판단인 정성적 자료를 정량화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나, 인간의 주관적 판단은 모호한 경우가 많아 일반적으로 정량화하는데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상북도에 위치한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교숲에 대한 객관적인 만족도 평가를 위해 퍼지이론을 활용하여, 학교숲 만족도에 미치는 항목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 특색'과 '정서 함양' 항목의 산술평균값의 순위와 퍼지이론을 도입한 무게중심값의 순위가 변화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퍼지이론이 인간의 사고와 같은 정성적 자료를 합리적으로 객관화 할 수 있다는 증거가 된다. 또한 학교숲 전체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학교 특색' 항목의 회귀계수값이 0.159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수량 많음(0.142)', '자연 소중(0.136)', '정서 함양(0.120)'순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설문의 객관적 분석방법과 학교숲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