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ctron donating ability

검색결과 685건 처리시간 0.031초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조건에 따른 섬쑥부쟁이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및 전자공여 작용 변화 (Changes of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Aster glehni Extracts with Different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Conditions)

  • 김현구;권영주;김공환;정윤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022-1028
    • /
    • 2000
  • 마이크로웨이브 추출방법과 환류냉각 추출방법을 비교한 결과, 물과 메탄올 및 에탄올 혼합용매로 추출한 경우 마이크로웨이브 추출 방법에 의하여 추출시간을 단축시키면서 환류냉각 추출방법에서와 같은 수준의 추출율과 총 폴리페놀 함량을 갖는 섬쑥부쟁이 추출물을 얻을 수 있었다.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시 최적 마이크로웨이브 에너지는 $120{\sim}150$ W였고 추출시간의 경우 $4{\sim}8$분이 적당하였다. 추출에 사용한 용매들 가운데 에탄올, 메탄올보다 물 그리고 물과 에탄올 또는 메탄올 혼합용매를 사용한 추출물의 추출율, 총 폴리페놀 함량 및 전자공여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노루궁뎅이 버섯의 열수 추출조건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Hot Water Extraction Conditions from Hericium erinaceus)

  • 최미애;박난영;정용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1068-1073
    • /
    • 2004
  • 노루궁뎅이 버섯의 열수 추출 실험을 실시하면서 반응표면분석에 의해 추출물의 특성을 최적화하였다. 추출물의 가용성 고형분은 설정된 추출온도와 추출시간에 대해서는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용매에 대한 시료비가 증가할수록 가용성 고형분이 증가하였으며, 페놀성 화합물과 조단백 함량도 추출온도보다는 용매에 대한 시료비가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물의 전자공여작용은 용매에 대한 시료비와 추출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다가 최적 추출조건에서 최대점을 보이다가 이후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들 추출물의 특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최적 추출조건은 추출온도 91.5$^{\circ}C$∼96.5$^{\circ}C$, 용매에 대한 시료비 3.5∼4.2 g/100 mL로 나타났으며 예측된 최적 추출조건의 임의의 점에서 실험한 결과, 각 반응변수들의 예측값과 실제값이 유사하였다.

반응표면분석에 의한 능이버섯 추출물의 추출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of Sarcodon aspratus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이혜진;정성근;도정룡;김현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464-469
    • /
    • 2015
  • 능이버섯의 수율과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여 효율적 추출조건을 예측하기 위해 마이크로웨이브 에너지, 에탄올 농도, 추출시간의 요인 변수를 중심합성법에 따라 설정하여 반응 표면분석을 통해 최적화 조건을 설정하였다. 능이버섯 추출물의 수율, 전자공여작용, 총 폴리페놀 함량, SOD 유사 활성에 대한 반응표면의 회귀식 $R^2$값이 각각 0.97, 0.90, 0.80 및 0.87로, 수율, 전자공여작용 및 SOD 유사 활성이 각각 P<0.001, P<0.05 및 P<0.05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능이버섯은 요인 변수에 따라 수율은 마이크로웨이브 에너지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고, 에탄올 농도에 따른 영향도 있었다. 그 외 종속변수인 전자공여능과 SOD 유사 활성은 에탄올 농도에 따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물의 각 특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최적의 추출조건의 범위는 superimposing 하여 마이크로웨이브 에너지 78~88 W, 에탄올 농도 39~57%, 추출시간 3.5~9분으로 예측되었다.

들기름에 존재하는 갈색물질의 특성과 혼합 들기름의 산화 안정성 변화 (Characteristics of browning Materials in Perilla Oil and Change of Oxidative Stability of Blended Perilla Oil)

  • 김영언;김인환;이영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504-508
    • /
    • 1996
  • 들깨를 15$0^{\circ}C$에서부터 21$0^{\circ}C$까지 10~30분간 볶아서 착유한 들기름에 존재하는 갈색물질의 갈색도와 전자제공력과, 또한 기호성 및 산화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들기름으로 추출한 갈색물질은 들깨의 볶는 온도와 시간이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들깨를 210~에서 30분간 볶아 착유한 들기름으로부터 추출한 갈색물질은 15$0^{\circ}C$에서 10분간 볶은 것에 비해 13배 정도 증가하였다. 한편 볶음조건에 따라 착유한 들기름 중의 갈색물질 추출물의 DPPH에 대한 전자제공력은 볶음온도와 시간 증가에 따라 향상되었다. 21$0^{\circ}C$에서 30분 볶아 착유한 들기름중의 갈색물질은 15$0^{\circ}C$에서 10분 볶은 것에 비해 전자제공력이 약 3배 증가하였다. 기호성이 가장 우수한 들기름에 산화 안정성이 가장 좋은 들기름을 5~20% 혼합한 15% 혼합량 것 중 기호도와 산화 안정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21$0^{\circ}C$에서 30분 볶아 착유한 들기름 중의 갈색물질은 19$0^{\circ}C$에서 20분 볶아 착유한 들기름의 산화 안정성을 증가시켰다.

  • PDF

천연식물류를 첨가한 약주의 영양학적 특성 (Nutritional Properties of Yakju Brewed with Natural Plants)

  • 신정혜;최덕주;성낙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8-24
    • /
    • 2004
  • 천연 식물류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약주의 영양성분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수용성 페놀화합물은 천연식물 첨가 약주에서 대조군(5.5 mg/kg)에 비하여 약 1.7배 더 높게 정량 되었으며, 잔존율도 47.4%로 더 높았다. 유리당은 대조군에서는 arabinose와 maltose가 각각 16.2, 15.6 mg/100 g 검출된 반면, 천연식물을 첨가한 약주에서는 lactose가 6.9 m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이었고 maltose는 검출되지 않았다. 무기물의 함량은 인> 칼륨 > 마그네슘 >칼슘 >철분의 순으로 높게 검출되었고, 철분과 나트륨은 숙성 기간의 경과에 따른 함량 차이가 거의 없었다. 아미노산 함량은 숙성 기간의 경과와 더불어 감소하였는데 대조군의 경우 숙성 30일에 총 아미노산 함량이 약 72% 감소한 반면 천연식물을 첨가한 약주의 경우 약 6.8%로 감소 비율이 훨씬 낮았다. 약주를 각기 다른 농도로 희석하여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의 경우 희석배수가 증가할수록, 숙성기간이 경과할수록 전자공여능이 저하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반면 천연식물류를 첨가한 약주는 숙성 30일까지 희석 배수에 관계없이 95.7∼96.7%의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은 희석배수 및 숙성기간의 경과와 서로 반비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가장 높은 SOB 유사활성을 나타낸 숙성 3일째의 천연식물류 첨가 약주의 경우 원액과 2배 희석한 시료에서 각각 51.5, 53.9%의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었다.

제주도 자생식물 추출물의 유산균에 대한 생육과 항산화 활성 및 어류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 (Lactic Acid Bacterias Growth,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n Fish Pathogenic Bacteria by Native Plant Extracts, Jeju Island)

  • 문영건;최광식;이경준;김기영;허문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10-219
    • /
    • 2007
  • 본 연구는 제주도 자생식물 4종(Microlepia marginata panzer Christ., Prunella vulgaris. aleutica Fernald, Perilla-frutescens var. japonica Hara., Gleichenia japonica Spreng)을 부위별로 나누어 각 부위를 열수 추출하여 각 추출액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E. faecitum KCCM 12118, L. rhamnosus KCCM 32826, L. plantarum KCCM 11542, P. pentosaceus KCCM 40464 균종에 대한 생육조건 및 배양액을 가지고 어류 질병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 및 DPPH 라디칼 소거활성 및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을 조사하였다. 자생식물 추출액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4종의 lactic acid bacteria를 72시간 배양하면서 생육활성을 보았을 때 10%를 첨가하여 48시간 배양하였을 때가 가장 좋은 생육 조건임을 알 수가 있었으며, 또한 lactic acid bacteria 생육시 자생식물 추출물 첨가가 lactic acid bacteria 증식에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에서는 꿀풀 잎 추출물을 10% 첨가하여 배양하였을 때 합성 항산화제인 BHA(90%)와 BHT(81%) EDA를 비교하였을 때 BHA와 유사하거나 조금 높은 활성을 BHT보다는 높은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은 5% 자생식물 추출물을 첨가한 배양액에서부터 BHT보다 높은 소거활성을 나타내기 시작하여 10%를 첨가한 배양액에서는 BHA보다 높은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꿀풀 추출물의 유산균에 대한 생육과 항산화 활성 및 어류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 (Growth and Antioxidant Activity on Lactic Acid Bacteria and Antimicrobial Activity on Fish Pathogenic Bacteria By Prunella vulgaris var. aleutica Fernald Extracts)

  • 문영건;여인규;허문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1호
    • /
    • pp.1547-1554
    • /
    • 2007
  • 본 연구는 제주도에서 채집된 꿀풀을 꽃과 잎 부위별로 나누어 각 부위를 열수 추출하여 각 추출액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E. faecium KCCM 12118, L. rhamnosus KCCM 32826, L. plantarum KCCM 11542, P. pentosaceus KCCM 40464 균종에 대하여 생육에 미치는 영향과 그 배양액을 가지고 DPPH 라디칼 소거활성 및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 그리고 어류질병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꿀풀의 꽃과 잎 추출액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4종의 lactic acid bacteria를 72시간 배양하면서 생육활성을 보았을 때 10%를 첨가하여 48시간 배양 하였을 때가 가장 좋은 생육조건임을 알 수가 있었으며, 또한 lactic acid bacteria 생육 시 꿀풀 꽃과 잎 추출액 첨가가 lactic acid bacteria 증식에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에서는 꿀풀 꽃 추출액을 10% 첨가하여 배양하였을 때 합성 항산화제인 BHA(90%)와 BHT(81%)의 EDA와 비교하였을 때 BHA와 유사하거나 조금 높은 활성을 BHT보다는 높은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은 5% 꿀풀 각 부위의 추출액을 첨가한 배양액에서부터 BHT보다 높은 소거활성을 나타내기 시작하여 10%를 첨가한 배양액에서는 BHA보다 높은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기능성 부재료를 첨가한 시판 국수류의 항산화 특성 (Antioxidant Properties of Commercial Noodles Supplemented with Functional Ingredients)

  • 손종연;강근옥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83-189
    • /
    • 2014
  • We investigated noodles supplemented with functional ingredients for their antioxidant properties, including total phenol, flavonoid contents, electron donating, nitrite scavenging abilities and ferrous ion chelating effect.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functional noodles arranged in order of decreasing concentration were kudzu (7.98%) > green tea (4.99%) > pumpkin (5.03%) > mulberry leaves (4.99%) > mugwort (4.23%) > cactus (3.57%) > kelp (3.33). The total flavonoid contents in green tea noodles were the highest as 4.35%.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in mugwort noodle was the highest as 12.27% at 1,000 ppm. This amount was 4.85 times than that of wheat flour noodle (2.53%).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functional noodles at pH 1.2 arranged in order of decreasing concentration were green tea (66.52%) > cactus (55.12%) > kudzu (52.67%) > pumpkin (50.50%) > mulberry leaves (43.58%) > kelp (41.41%) > mugwort (37.66). The nitrite-scavenging ability of green tea noodle was lower than ascorbic acid (natural antioxidant) 77.83%, while that of green tea noodle was similar with BHT (artificial antioxidant) 69.45%. The ferrous ion chelating effect of noodles containing kelp were the highest as 27.02%. All of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good antioxidant property. Thus, noodles supplemented with mulberry leaves, cactus, mugwort, green tea, pumpkin, kelp or kudzu, demonstrated to have good functional effects for human health.

용매별 옻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Solvent Extracts from Rhus verniciflua Stokes)

  • 박현실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77-682
    • /
    • 2011
  • This study explores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solvent extracts from Rhus verniciflua,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otal phenolic compound and flavonoid contents of Rhus verniciflua were $4.32{\pm}0.17$ mg/100 g and $0.16{\pm}0.02$ mg/100 g, respectively. Electron-donating abilities of solvent extracts from Rhus verniciflua proportionally increased with concentration, and ethyl acetate extract ($95.4{\pm}0.4%$) showed higher activity than that of BHT ($93.3{\pm}1.7%$) at a concentration of 1,000 ${\mu}L$/mL. Reducing power of the solvent extracts from Rhus verniciflua was the highest in ethyl acetate extract ($2.45{\pm}0.03$) at a concentration of 1,000 ${\mu}L$/mL.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the solvent extracts from Rhus verniciflua (pH 1.2, 1,000 ${\mu}L$/mL) was the highest in ethyl acetate extract ($95.5{\pm}0.7%$). Therefore, ethyl acetate extract from Rhus verniciflua has similar antioxidant activity as that of BHT.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Fermentation and Ethanol Extracts of Pine Needles (Pinus densiflora)

  • Yim, Moo-Hyun;Hong, Taek-Geun;Lee, Jun-H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4호
    • /
    • pp.582-588
    • /
    • 2006
  • The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fermentation extract (PFE) and the 50 and 80% ethanol extracts (PE 50, PE 80) of Pinus densiflora pine needles were evaluated. Electron donating ability, superoxide dismutase (SOD) abil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were observed in PFE; those abilities differed in PE 80 and PE 50, depending on the ethanol concentration used for the extraction. PFE had the highest electron donating ability with a value of 92.20%, while PE 80 and PE 50 had values of 74.66 and 53.47%, respectively. For SOD activity, PE 80 exhibited a slightly higher value of 31.11% compared to that of PFE and PE 50, which were 29.65 and 25.43%, respectively. PFE, PE 50, and PE 80 were all found to inhibit bacteria, and the effectiveness of this inhibition was strongly related to the type of extracts used. PFE showed good antimicrobial effects for all of the tested Gram-positive strains and for most of the tested Gram-negative strai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FE has superior functionality compared to the ethanol extracts (PE 80, PE 50), in terms of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pine needle fermentation extracts can be used for industrial applications as a functional mate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