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ctron donating

검색결과 1,010건 처리시간 0.023초

석이버섯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 및 아질산염 소거작용 (Antioxidative and Nitrite-scavenging Effects of Solvent Extracts from Gyrophora esculenta)

  • 정은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26-430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lectron donating ability, antioxdative activity and nitrite-scavenging effect of solvent extracts from Gyrophora esculenta. The phenolic compounds of diethylether, butanol, petroleum ether and hexane extracts were 194.20$\mu\textrm{g}$/ml, 98.80$\mu\textrm{g}$/ml, 1.60$\mu\textrm{g}$/ml and 0.20$\mu\textrm{g}$/ml, respectively. Electron donating abilities of diethyleter and butanol extracts from Gyrophora esculaenta were 80.79% and 72.81%, respectively. Absorption of DPPH by diethyleter and butanol extracts sharply increaed at initial stag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fiethylether and butanol extracts by peroxide values are rather high as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but low s compared to those of BHA. Nitrite-scavenging abilities of diethylether, butanol and petroleum ether from Gyrophora esculenta were 96.07%, 77.39% and 15.07%, respectively.

  • PDF

퍼프로로폴리에테르 유도체의 루이스 산 분해특성 (Lewis Acid 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Perfluoropolyethers Derivatives)

  • 천상욱;강호종
    • 폴리머
    • /
    • 제38권5호
    • /
    • pp.650-655
    • /
    • 2014
  • 컴퓨터 하드디스크 윤활제로 사용되고 있는 perfluoropolyether(PFPE) 유도체의 분해특성을 살펴보았다. 특히, 이들의 각기 다른 말단기가 분해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분해 촉매로 사용된 알루미나 존재하에서 PFPE 유도체의 분해는 열분해와 함께 알루미나와의 화학반응에 의하여 발현된 알루미늄 플로라이드가 루이스 산으로 작용하여 진행되는 루이스 산 분해가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화학적으로 다른 PFPE 유도체의 말단기는 루이스 산 분해에 각기 다른 영향을 미치며 이는 말단기들의 전자 donating 능력이 다르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즉, PFPE 주사슬 내 동일한 반복 단위체를 가지더라도 유도체 말단기의 전자 donating 능력이 강할수록 반복 단위체 내의 아세탈기에 전자밀도가 높아지게 되어 루이스 산에 의한 분자 사슬 절단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1,4-Diaza-1,3-butadiene류의 Diels-Alder반응에 미치는 치환기 효과에 대한 DFT연구 (DFT Studies for the Substituent Effect on the Diels-Alder Reaction of 1,4-Diaza-1,3-butadiene)

  • 이갑용
    • 대한화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07-212
    • /
    • 2001
  • 1.4-Diaza-1,3-butadiene(1,4-DAB)과 acrolein 과의 Diels-Alder 반응의 반응성을 조사하기 위해 1,4-DAB의 말단 두 질소에 전자를 끌거나 주는 기들을 치환시킨 여러 치환 1,4-DAB들에 대해 DFT계산을 수행하였다. 최적화된 구조들에 대해 계산된 FMO(Frontier Mole cular Orbital) 에너지로서 상대적인 반응성을 설명할 수 있었다. 즉, 전자를 주는 기가 치환될 경우에는 normal electron demand 반응이 유리하며, 전자를 끄는 기가 치환될 경우에는 inverse electron demand 반응 메카니즘으로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커피 폐기물 추출물의 효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ffects of Coffee Waste Extracts obtained from Solvents)

  • 이광수;박경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866-870
    • /
    • 2015
  • In this study, coffee waste was extracted with different solvents such as ethyl acetate, methylene chloride and methanol to investigate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the inhibitory effect on glutathione S-transferase.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were $3,060.61{\pm}357.12{\mu}g\;GAE/mL$ in ethyl acetate, $909.09{\pm}35.71{\mu}g\;GAE/mL$ in methylene chloride, and $1,602.27{\pm}30.36{\mu}g\;GAE/mL$ in methanol.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5) between the solvents.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was $80.20{\pm}1.45%$ for ethyl acetate, $81.94{\pm}0.45%$ for methylene chloride, and $85.14{\pm}1.53%$ for methanol. The electron donating abilit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between the solvents.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various extracts on glutathione S-transferase (% inhibition) was $92.12{\pm}0.56%$, $88.48{\pm}0245%$ with methylene chloride extract, and $90.85{\pm}0.14%$ with methanol extract. These too were significant different (p<0.05) between the solvents. The two portions of coffee waste extracts obtained from ethyl acetate and methanol showed meaningful results on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the inhibition effects on glutathione S-transferase. Therefore, they can be utilized to develop health care foods and can be applied as antioxidants for cosmeceuticals.

오미자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Omija(Schizandra chinensis Bailon))

  • 김좌숙;최선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5-42
    • /
    • 2008
  • To develop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Omija extracted with water was evaluated on antioxidative activity. Omija, high acid material with pH 3.6, contain $57.5{\pm}1.03%$ of moisture, and $18.8{\pm}0.12%$ of crude fat. This material have $12.6{\pm}0.04%$ of carbohydrate and $11.1{\pm}0.07%$ of crude protein as well, but ash and crude protein contents were found less than 10%. 10 mineral contents were also found, too; K and Ca showed the highest level, then Al, Mg, Na and Mn were followed. In composition amino acid contents, glutamic acid took the largest portion, $131.7{\pm}1.3$ mg/100 g, aspartic acid $51.5{\pm}0.6%$, and other composition amino acid under 50%. In case of free sugar contents, 7 types were found. Most of them were glucose and fructose. Total phenolic compounds showed the highest level, $2,862.6{\pm}31.7$ mg/100 g. $197.8{\pm}14.6$ mg/100 g of flavonoid and $225.6{\pm}18.2$ mg/100 g were included. In terms of electron donating ability, radical scavenging ability activated as the amount of Omija extract increased. In particular, Omija extract in 1,000 ${\mu}g/m{\ell}$ demonstrated almost similar electron donating ability, $72.4{\pm}0.21%$, to BHT. It was also found that antioxidant activities of electron donating ability, SOD-like ability,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were highly promoted as Omija extract concentration increased.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y was significant when the extract belonged to strong acid region and doping concentrations increased.

청미래 덩굴잎(Smilax china)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 및 항균효과 (Electron Donating Abilities, Nitrite Scavenging Effects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milax china Leaf)

  • 김철암;박정륭;김정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21-625
    • /
    • 2004
  • 청미래덩굴잎의 ethanol 추출물로부터 얻은 용매별 각 분획물의 전자공여능, 아질산염소거능 그리고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다. 각 용매별 분획의 수율은 극성이 높은 수용성 분획과 methanol분획이 각각 63.73%와 26.40%로 높게 나타났다. 전자공여능은 ethyl acetate 분획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0분간 반응시켰을 때 약 81%정도 달했다. 반면 chloroform분획에서는 약 26%로 가장 낮았다. 아질산 염소거능은 ethyl acetate와 butanol분획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항균활성은 모든 분획의 2.5%와 5.0%의 농도에서 Gram(+)균인 Listeria monocytogenes와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 항균작용이 나타났으나 2.5%농도에서는 Gram (-)균인 Escherichia coli O157:H7과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해서는 전혀 활성이 없었으며 5.0%농도에서는 ethanol 추출물, ethyl acetate와 물분획에서 아주 낮은 활성이 측정되었다.

β-Glucuronidase 저해 활성이 우수한 결명자를 첨가한 상황 균사체 배양액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Phellinus linteus Mycelium Culture with Cassiae Semen Extract on β-Glucuronidase Inhibitory Activity)

  • 오은희;박정미;김상희;송인규;한남수;윤향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620-628
    • /
    • 2012
  • We examined the effects of biological activity Phellinus linteus mycelium culture with cassiae semen extract. Firstly, the optimal temperature, initial pH and culture period for mycelial growth in a liquid culture of P. linteus were determined, and they were $30^{\circ}C$, pH 5.0 and 8 days respectively. The five herbal materials were examined against several health functional efficacies, and, as a result, Cassiae semen was chosen, with its superior inhibitory effects in ${\beta}$-glucuronidase inhibitory activity, electron donating activity, ACE inhibitory, and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95.3%, 80.9%, 96.1 and 24.2%, respectively). P. linteus fruit body was investigated on ${\beta}$-glucuronidase inhibitory activity, electron donating activity, ACE inhibitory, and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and they were 54.7%, 81.9%, 30.0% and 20.1%, respectively. Accordingly, C. semen was used in the following experiment, to give an additive functional effect on the P. linteus. As the amount of C. semen in the cultural media increased, mycelial weight and ${\beta}$-glucan contents also increased, but final pH was not influenced. In addition, the ${\beta}$-glucuronidase inhibitory activity, electron donating activity, and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increased. P. linteus mycelium culture showed higher activities in the other three tests above, except for electron donating activity, when C. semen was added to the medium before cultivation.

Herb추출물의 전자공여능, 항균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 검색 (Screening of electron donating ability, antibacterial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effect of some herbal extracts)

  • 정해정;노경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72-377
    • /
    • 2000
  • Applemint, geranium, lemonbalm, rosemary, sage, thyme등 6종 herb의 기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물 및 95% methanol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액의 전자공여능, 항균작용 및 아질산염 소거능을 조사하였다. 전자공여능은 60.7∼92.2%로 95% methanol추출물이 물추출물보다 높게 나타났고 geranium, sage, lemonbalm, thyme, rosemary, applemint 순으로 작용이 우수하였다. 각종 herb추출물의 항균력은 물보다 methanol추출물이 우수하였고 gram음성균보다는 양성균주에서 효과적이었으며 geranium과 rosemary 공시균주에 대하여 광범위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분획별 항균력 측정결과 geranium은 극성용매 분획에서, rosemary는 비극성 용매 분획에 항균력이 집중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질산염 소거능 역시 물추출물 보다는 methanol추출물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고 pH 1.2에서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pH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 PDF

마이크로웨이브 추출공정에 의한 팽이버섯 추출물의 기능적 특성 (Functional Activities of Microwave-Assisted Extracts from Flammulina velutipes)

  • 김현구;최윤정;김공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1013-1017
    • /
    • 2002
  •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을 이용하여 팽이버섯을 물, 50% 에탄올, 99% 에탄올로 추출하였으며 마이크로웨이브의 power와 시간에 따라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전자공여작용 (EDA), tyrosinase 저해작용, 아질산염 소거작용의 차이를 관찰하였다. 마이크로웨이브 power를 $60{\sim}120\;W$로 증가시킴에 따라 총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은 90 W에서 평형에 이르러 거의 변화하지 않았다. Tyrosinase 저해능은 마이크로웨이브 power 증가에 따라 뚜렷한 증가 경향을 나타내었다. 추출시간을 증가시킴에 따라 전자공여능과 tyrosinase 저해능은 추출시간을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다가 각각 추출시간 10분, 5분에서 평형에 이르렀다. 용매별 추출물에서 아질산염 소거능은 마이크로웨이브 power와 추출시간을 증가시킴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pH에 의존적인 소거율을 나타내었다.

포장방법에 따른 양념갈비의 저장 중 총균수, 전자공여능 및 지방산화의 감마선 조사효과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Microbial Growth,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Lipid Oxidation of Marinated Beef Rib (Galbi) with Different Packaging Methods)

  • 강호진;조철훈;이나영;김정옥;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888-893
    • /
    • 2004
  • 양념갈비의 품질 안정성 및 저장성 확보를 위한 일환으로 시판되는 양념갈비에 감마선 조사(0, 2.5, 5, 7.5 kGy)하여 포장 방법(함기 vs 진공) 및 저장 기간에 따른 양념갈비의 총균수, pH, 수분활성도, 전자공여능 및 지방산패도를 측정하였다. 감마선 조사한 양념갈비의 미생물 생육은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저하되었고 포장방법별로는 함기포장구보다 진공포장구가 미생물 생장억제에 더욱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pH는 함기포장구에서 저장 7일째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포장방법과 조사선량에 따른 유의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감마선 조사한 양념갈비의 전자공여능은 저장기간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그 감소폭은 함기포장구가 진공포장구보다 크게 나타났다. TBARS값은 진공포장구의 경우 감마선 조사선량과 저장기 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함기포장구는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그리고 저장기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저장 7일째 진공포장구보다 2배의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시판되는 양념갈비의 저장 중 유통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감마선 조사의 사용에서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진공포장으로 유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