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ctroantennogram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19초

Quantitative Measurement of General Odorant Using Electroantennogram of Male Silkworm Moth, Bombyx mori

  • Yun, Enug-Sik;Park, Tai-Hyun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5권2호
    • /
    • pp.150-152
    • /
    • 2000
  • The investigation of electroantennogram (EAG) using insect antennad has been primarily focused on the measurement of insect pheromone. Insect has highly specialized olfactroy receptors inside their antennae. In this paper, EAG was applied to detect general oborants and the feasibility of this system for the olfactroy biosensor was investigated. Electroantennogram measurement was carried out using the antennae of male silkworm moth, bombyx mori, and ammonia gas as the model odorant. EAG parametres including peak ampiltude increased linearly with the ammonia concentration and the reproducible electrical signals were generated at least for 2 hrs after the antenna was cut off from the sulkworm moth.

  • PDF

Characteristics of Electroantennogram Parameters for the Detection of Odorants

  • Yun, Eung-Sik;Ko, Hwi-Jin;Sun, Jong-Hwan;Park, Tai-H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0권6호
    • /
    • pp.885-888
    • /
    • 2000
  • Electroantennogram(EAG) can be applied to detect odorants since insects have highly specialized olfactory receptors inside their antennae. The characteristics of EAG parameters were investigated for the quantitative measurement of a general odorant using ammonia as a model odorant. The antennae of male silkworm moth, Bombyx mori, were used for the EAG. The electical signal curves generated from a pair of antennae originating from the same silkworm moth were never identical; however, they exhibited a typical type I or type II characteristic curve pattern for every pair of antenna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AG parameters and the ammonia concentration was analyzed for the type I and type II antennae. The stability of each parameter was also investigated for each type of antenna. The results show the possibility of the quantitative measurement of general odorants using the EAG technique.

  • PDF

배추좀나방 성 페로몬의 합성과 EAG 감응반응 연구 (Synthesis and Electroantennogram (EAG) Responses of the Sex Phermones of the Diamond Back Moth)

  • 강석구;설광열;전종갑;고현관;김중진
    • 대한화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79-183
    • /
    • 1990
  • 배추좀나방의 성 페로몬을 새로운 방법으로 합성하여 EAG감응반응을 수행하였다. 프로파길알코올의 이중음이온을 알킬화하여 2-도데신-1-올을 얻고 이를 아세틸렌-지퍼반응에 의해 11-도데신-1-올로 전환시킨 다음, 다시 이중음이온 알킬화반응에 의해 11-헤사데신-1올을 얻었다. 이를 수소환원시켜 (Z)-11-헥사데센-1-올 (3)을 얻었고 이 알코올을 산화시켜 (Z)-11-헥사데센-1-알(1)을, 아세틸화시켜 (Z)-11-헥사데센-1-일 아세테이트(2)를 각각 얻었다. 이렇게 합성하여 얻어진 화합물 각각 또는 혼합물에 대해 배추좀나방의 ESG감응반응을 측정하였다.

  • PDF

열대거세미나방 성페로몬 성분에 대한 수컷의 촉각 반응 (Electroantennogram Responses of Spodoptera frugiperda Males (Lepidoptera: Noctuidae) to Sex Pheromone Compounds)

  • 조점래;김정환;서보윤;서미자;이관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363-367
    • /
    • 2021
  • 본 연구는 성페로몬에 대한 열대거세미나방 수컷 성충의 촉각 반응 및 중복 교미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성페로몬 성분인 Z9-14:Ac에 대한 열대거세미나방 수컷 성충의 촉각 반응은 농도 의존적으로 농도가 증가할수록 크게 나타났다. 조사한 7성분 중 Z9-14:Ac 성분에 대한 촉각 반응이 가장 컸다. 성페로몬의 혼합 성분에 대한 촉각 반응이 단일 성분에 비해 컸다. 열대거세미나방 수컷 성충은 실험실 조건에서 중복교미가 가능하고, 첫 교미율이 58.3%인데 비해서 두 번째 교미율이 72.2%로 증가하였다. 교미한 수컷 성충의 촉각 반응과 교미하지 않은 수컷 성충의 촉각 반응의 차이가 없었다. 성페로몬 트랩에 교미하지 않은 수컷이 시험기간 중에 포획되지 않았다. 대조구인 교미하지 않은 암컷 성충을 장착한 트랩에서도 교미하지 않은 수컷 성충은 포획되지 않았다. 비록 실내에서 교미한 수컷 성충은 성페로몬 성분에 대해 교미하지 않은 수컷 성충처럼 촉각 반응을 보였다고 할지라도 실제 야외 망실 하우스에서 교미를 한번 한 수컷 성충은 비행 능력 등 활력의 문제로 트랩에 포획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야외 노지에서 열대거세미나방 성페로몬에 대한 수컷 성충의 유인 정도는 추후 좀 더 많은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Effects of olfactory self- and cross-adaptation on perceiving odor in a moth

  • Qian, Kai;Chen, Haibin;Wan, Xinl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2권2호
    • /
    • pp.60-68
    • /
    • 2016
  • Pheromone orientation in moths is an exemplar of olfactory sensitivity. To avoid cross mating, the responses of males to pheromone blends must be high specificity and temporal resolution. We tested the effects of olfactory self- and cross-adaptation of pheromone compounds and mixtures in Spodoptera litura moths by electroantennogram (EAG) recordings. The challenge of S. litura antennae to a pulse train of its own pheromone blends of Z9,E11-14:OAc and Z9,E12-14:OAc with 200 ms on/off and 1 s on/off indicated that the repetitive stimulation by 200 ms on/off with high dosages resulted in greater adaptation than that by 1 s on/off with low dosages and the adaptation index of Z9,E11-14:OAc in all treatments i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Z9,E12-14:OAc, suggesting that high dosages with more frequent stimulation prefer to induce sensory adaptations and a different odor coding exist between the two components in the antennal periphery in this moth. The cross-adaptation EAG test among the two pheromone compounds and Z7-12:OAc and Z9-14:OH from congeneric species of S. litura showed that each of these compounds adapted the antenna more to that specific compound. The significantly higher adaptation to Z7-12:OAc and Z9-14:OH than to the pheromone components of S. litura induced by themselves suggested that both of them are coded by specific odor receptor neurons which are different from those tuned to the pheromone components of S. litura . Thus, we proposed that Z7-12:OAc and Z9-14:OH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avoidance of heterospecific mating between S. litura and its sympatric moth species.

Correctum : Effects of olfactory self- and cross-adaptation on perceiving odor in a moth

  • Qian, Kai;Chen, Haibin;Wan, Xinl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3권2호
    • /
    • pp.149-149
    • /
    • 2016
  • Pheromone orientation in moths is an exemplar of olfactory sensitivity. To avoid cross mating, the responses of males to pheromone blends must be high specificity and temporal resolution. We tested the effects of olfactory self-and cross-adaptation of pheromone compounds and mixtures in Spodoptera litura moths by electroantennogram (EAG) recordings. The challenge of S. litura antennae to a pulse train of its own pheromone blends of Z9,E11-14:OAc and Z9,E12-14:OAc with 200 ms on/off and 1 s on/off indicated that the repetitive stimulation by 200 ms on/off with high dosages resulted in greater adaptation than that by 1 s on/off with low dosages and the adaptation index of Z9,E11-14:OAc in all treatments i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Z9,E12-14:OAc, suggesting that high dosages with more frequent stimulation prefer to induce sensory adaptations and a different odor coding exist between the two components in the antennal periphery in this moth. The cross-adaptation EAG test among the two pheromone compounds and Z7-12:OAc and Z9-14:OH from congeneric species of S. litura showed that each of these compounds adapted the antenna more to that specific compound. The significantly higher adaptation to Z7-12:OAc and Z9-14:OH than to the pheromone components of S. litura induced by themselves suggested that both of them are coded by specific odor receptor neurons which are different from those tuned to the pheromone components of S. litura. Thus, we proposed that Z7-12:OAc and Z9-14:OH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avoidance of heterospecific mating between S. litura and its sympatric moth species.

나방의 성페로몬 감지 (Perception of Sex Pheromone in Moth)

  • 박계청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1-14
    • /
    • 2022
  • 나방은 성페로몬에 대한 통신시스템이 잘 발달되어 있다. 동종의 암컷이 방출하는 성페로몬을 원거리에서 감지하여 암컷을 정확히 찾아가 교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수컷 나방은 고도로 발달된 성페로몬 감지 시스템을 갖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해서 수컷 나방은 페로몬 냄새기둥(plume)을 따라 바람을 거슬러 비행하면서 간헐적으로 감지되는 페로몬 냄새가닥(odor filaments)을 추적하는 고정행동양식(stereotypic behavior)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여러 성분으로 구성되는 나방의 암컷 성페로몬은 그 조성이 종특이적(species-specific)이며, 비슷한 성분을 공유하는 유사종들이 방출하는 성페로몬과 동종의 암컷이 방출하는 성페로몬을 정확히 구분하기 위해서 수컷 나방은 촉각에 여러 종류의 고도로 특화된 페로몬 감각세포들을 갖고 있어서, 이들이 페로몬을 감지할 때 나오는 신경 신호들을 종합해서 동종의 페로몬을 인식하여 행동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수컷 나방은 보통 동종의 페로몬 성분뿐만 아니라 유사종이 사용하는 페로몬 성분들을 특이적으로 감지하는 길항적(antagonistic) 냄새감각세포들도 갖고 있어서 페로몬 식별력을 강화한다. 본 종설에서는 지금까지 보고된 수컷 나방의 페로몬 감지 시스템과 이와 연관된 수컷의 감각기 및 행동반응에 대한 연구 결과들을 정리하고, 이를 종합하여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복숭아순나방붙이 성페로몬샘의 미량성분 첨가에 따른 종특이적 유인력 증가 효과 (Enhancement of Species-specific Attraction by Addition of a Minor Component of Sex Pheromone Gland of Grapholita dimorpha)

  • 정충렬;김성호;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39-246
    • /
    • 2014
  • 같은 속의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과 복숭아순나방붙이(G. dimorpha)는 기주범위와 야외에서의 성충 발생 양상이 유사하다. 또한 두 종은 성페로몬 성분으로 cis-8-dodecenyl acetate (Z8-12:Ac)와 trans-8-dodenceyl acetate (E8-12:Ac)을 공통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 두 성분으로 구성된 상용 성페로몬 유인제에 두 종이 혼합되어 유인된다. 본 연구는 복숭아순나방붙이 트랩에 복숭아순나방이 혼합유인되는 현상을 줄이기 위해 성페로몬 미량성분의 효과를 분석했다. 복숭아순나방붙이 성페로몬인 Z8-12:Ac/E8-12:Ac = 85/15에 cis-8-tetradecenyl acetate(Z8-14:Ac)를 첨가했을 때, 복숭아순나방붙이의 유인은 유지되면서 복숭아순나방의 유인은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Dodecyl acetate (12:Ac)와 tetradecyl acetate (14:Ac)의 첨가는 두 종의 유인력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한편 Z8-12:Ac/E8-12:Ac/Z8-14:Ac = 85/15/10의 세 성분 성페로몬에 trans-8-tetradecenyl acetate (E8-14:Ac)를 첨가했을 때, 복숭아순나방붙이의 유인이 오히려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Z8-12:Ac/E8-12:Ac/Z8-14:Ac = 85/15/10의 조성이 개선된 복숭아순나방붙이의 성페로몬으로 제시되었다.

사과원에서의 사과무늬잎말이나방(Archippus breviplicanus)의 성페로몬 조성과 활성 (Composition and Activity of the Asiatic Leafroller, Archippus breviplicanus(Lepidoptera: Tortricidae) Sex Pheromone at Apple Orchards in Korea)

  • 정충렬;한경식;정진교;최경희;이순원;부경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19-226
    • /
    • 2001
  • 사과잎을 가해하는 주요 해충 중의 하나인 사과무늬잎말이나방(Archippus breviplicanus)의 성페로몬 성분과 조성을 규명하고 성페로몬을 이용하여 발생예찰을 하기 위해서 구애시기동안 미교미 암컷의 복부말단을 추출하고 분석하였다. GC/GC-MS 분석 결과 E11-tetradecenyl acetate : Z11-tetradecenyl acetate : tetradecyl acetate = 56:22:22의 비율로 세가지 성분들이 확인되었다. 각 성분들의 생물적 활성을 검정하기 위해 EAG을 실시한 결과 세 가지 성분 모두 핵산이나 공기보다 높은 반응을 유도하였지만 성분들의 혼합물간에 유의성은 없었다. 1997년부터 2000년까지 4년에 걸쳐서 최적의 유인 조성비와 년 중 발생 횟수 그리고 예찰을 위한 적정량을 야외 포획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E11-14: Ac와 Z11-14: Ac의 8:2와 7:3의 비율에서 많은 수컷들이 유인되었지만 7:3의 조성이 페로몬샘 추출 결과와 더불어 최적의 조성으로 확인되었다. 국내에서 사과무늬잎말이나방은 1년에 3회 발생하는 것으로 보이며 예찰을 위한 적정량은 1mg이 효과적이었다. 세번째 성분인 14: Ac는 수컷 유인에 있어 상승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