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derly welfare institution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31초

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정보보안 인지가 역량강화와 정보보안 행동에 미치는 실증 연구 (An Empirical Study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of elderly welfare workers on Security Empowerment and information security behavior)

  • 윤일현;이재규
    • 중소기업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9-15
    • /
    • 2016
  • 노인 고령화에 따른 노인복지시설 증가와 함께 노인에 대한 정보보안 사례관리가 중요시 되었다. 노인복지시설 종사자들은 노인 보호를 위해 노인의 개인정보, 사회복지서비스 정도 등 중요한 정보를 관리함에도 직무수행체계나 정보보안에 관한 연구는 미흡하다. 노인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정보보안 인지가 정보보안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정보보안 역량강화를 매개로 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는 종사자들의 성별에 따른 잠재평균분석을 통한 실증분석을 진행 하였다. 연구결과 정보보안 인지(개인경험, 정보 기술이해, 정보보안 인식, 정보보안 정책), 정보보안역량강화, 정보보안 행동의 구조 관계에서 성별에 따라 각기 다른 수준으로 집단 간 차이 있었다. 또한 정보보안 행동에 있어서 성별 차이가 있었으며, 정보보안 역량강화가 정보보안 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노인보건의료의 현황과 법 제도적 개선방안 (Improvement Devices on the Law and Institution and Current Situation of Health and Medical Treatment for the Aged)

  • 노재철;고준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70-186
    • /
    • 2013
  • 인구가 고령화되면서 전체 인구의료비 가운데 고령인구에 지출되는 의료비의 비중은 증가하여, 건강보험 의료급여 등의 재정을 압박하는 경향은 갈수록 심화될 전망이다. 노인성 질환으로 인해 의료비용 부담이 증가함으로서 사회적 문제로 발전됨에 따라 노인보건의료의 현황을 분석하고, 현행 관련법제도를 살펴보고 문제점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외국의 노인보건실태와 동향을 토대로 시사점을 도출하여 우리나라에의 법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현행 노인보건의료보장의 관련법 체계의 문제점, 현행 노인장기요양보험법상의 문제점을 도출하였고, 법적 개선방안으로서는 건강보험의 보장성 강화, 장기 요양보험료 재정의 건전성 확보문제, 노인복지와 장기요양보험제도의 연계와 상호보완 기능을 강화, 치료요양에 대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와 노인복지법의 중복성 문제, 등급판정체계의 개선, 재가서비스 지원강화 등 노인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의료서비스의 질적 수준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보고 노인장기요양법제의 개선과제를 제기하는 등 노인의료서비스의 지원확대 방안을 제시하였다.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중증응급 의료서비스의 질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적정 응급의료자원의 확보뿐만 아니라, 그 효율적 운영체계의 마련도 필요하다. 아울러 급증하고 있는 노인의료비에 대응하기 위해서 "노인의 의료확보에 관한 법률"을 제정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율동적 감각-운동훈련이 여성노인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hythmic Sensorimotor Training in Unstable Surface on Balance Ability of Elderly Women)

  • 이한기;이준철;송근호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81-191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nsorimotor training in unstable surface on balance ability of elderly women. METHODS: Total of 40 subject were recruited from two separated institution for elderly women in Changwon and conveniently allocat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wenty women were included into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twenty women were into control group.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sensorimotor training in unstable surface and control group were only activities of daily living during eight weeks. To assess static balance ability used One leg stance test (OLST) and to assess dynamic balance ability used timed up and go test (TUGT) and Functional reach test (FRT). RESULTS: Control group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balance ability. However static balance ability in experimental group improved on hard or soft surface only eye open condition. Also dynamic balance ability in experimental group improved TUGT or FRT. CONCLUSION: Sensorimotor training in unstable surface improved balance ability of elderly women.

기관이용노인의 관계적 공격성 경험에 관한 연구 -Colaizzi의 방법론을 중심으로 한 융합방법론 접근- (A Study on Relational Aggression Experience by Old Users of the Institution for Seniors - A Convergent Approach Based on Colaizzi's Methodology)

  • 박선희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53-58
    • /
    • 2020
  • 본 연구는 기관이용노인의 관계적 공격성 경험을 깊이 있게 탐색하고, 그 경험이 갖는 의미를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관이용노인의 관계적 공격성 경험과 관련하여 노인은 '무엇'을 경험하였으며, '어떻게' 경험하였는지를 구조적인 기술로 발전시켜 '경험의 본질'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부산시 기관이용노인 중 관계적 공격성 경험이 있는 노인 7명을 대상으로 비구조화된 질문지를 바탕으로 심층 면담을 수행하였다. Colaizzi의 현상학적 접근으로 분석한 결과 최종적으로 구성된 의미는 32개였고, 이를 다시 16개의 주제와 5개의 범주로 나타내었다. 5개의 범주로는 '힘없는 나'., '무인도에 있는 나', '내마음의 회오리', '세상속으로 보내는 나', '꺼져가는 나'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관계적 공격성 예방을 위한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수면의 질이 활동참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leep Quality on Activity Participation in the Elderly Living in Community)

  • 홍덕기;김소연;김다혜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9
    • /
    • 2019
  • 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의 수면의 질이 활동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9년 8월 21일부터 9월 29일까지 전라북도 소재 복지기관을 이용하는 노인 2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한국판 수면의 질 척도(Korea version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K)와 한국형 활동분류카드(Korean-Activity Card Sort: K-ACS)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피어슨 상관관계와 단순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수면의 질이 높은 그룹이 낮은 그룹보다 수단적 활동, 사회 활동과 여가 활동 모두 유의하게 높은 활동참여를 보였다(p<.001). 그리고 수면의 질은 수단적 활동, 사회 활동과 여가 활동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1). 또한 수면의 질이 수단적 활동(R2=.224), 사회 활동(R2=.142)과 여가 활동(R2=.227)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결론 :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활동참여 증진을 위해 수면의 질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며, 향후 수면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노인의 AGING IN PLACE 증진을 위한 종합지원센터 도입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일본 사례의 조사 및 국내 현황의 비교 - (A Study on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a General Support Center to Assist of the 'Aging in Place' of the Elderly - A Comparison of Japanese Cases and Domestic Situations -)

  • 김미란;이경훈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5호
    • /
    • pp.51-60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old age. 'Act on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Aged' has been enforced since 2008 in Korea. But This is not encompass all of the elderly policies. Aging policies service separately each part by residential, welfare, and so on. There are 'Local Community Support Service' and 'Community General Support Center' for seniors as a comprehensive institution in Japan. Local Community Support Service is preventive and regional. And Community General Support Centers are sufficiently provide for each region. Japan can be a leading model of Korea. Therefor it analyzes Japanese cases and compares to the domestic situations in this study.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measures the necessity of the General Support Center for the elderly.

노인 돌봄서비스 제공자의 의사소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도·농 복합 지역사회의 사례를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Communication Satisfaction of Geriatric Caregiver : Focusing on the case of an urban-rural complex community)

  • 오종묵;박주희;황종남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7-50
    • /
    • 2023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communication satisfaction between geriatric caregivers and older adults in urban-rural complex communities. The ultimate goal was to design local community educational programs and policies to enhance communication satisfaction among geriatric caregivers and improve the quality of care services for older adults. Method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communication satisfaction between elderly caregivers and older adults, a survey titled "CCEP: Assessment of Communication Status between Elderly Care Service Providers and Recipients" was conducted from February to July 2020, focusing on rural-urban complex areas. The survey was administered based on providers of elderly healthcare services. The survey targeted 131 respondents involved in providing care services for older adults. The 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was the communication satisfaction reported by elderly caregivers in their interactions with the elderly. Th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d perceptions of older adults, factors associated with communication difficulties, and communication efforts. Additionally, gender, working environment, working experience, and the proportion of face-to-face interactions with older adults during caregiving were controlled for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that communication efforts with older adults significantly influenced communication satisfaction (β=.09, p<0.01). However, perceptions of the elderly and communication hindrance factor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ommunication satisfaction among geriatric caregivers. Conclusion: Effective communication between geriatric caregivers and older adults is crucial for identifying and meeting the needs and demands of caregiving services, and it plays a vital role in overall caregiving service satisfaction. To enhance communication skills and satisfaction among geriatric caregivers and ensure the appropriate fulfillment of elderly care needs in the local community, the development of community-centered, specialized health communication programs and other initiatives will be necessary in the future.

노인건강문제와 간호의 방향 (Geriatric Health Problems and Directions for Nursing Improvements)

  • 김희자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89-103
    • /
    • 1998
  • The elderly population will increase from 5.8% in 1996 to 12.5% in 2020. The related problems of health will also become a very important issue in the futur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address the problems of geriatric nursing and geriatric health. 87.6% of the aged were ill with chronic degenerative diseases in 1994. In 1995, hospital admission rates (86.8) for those aged 60 or older were higher than that (56.3) of the total age group. Such high medical utilization will increase national health costs. For the development of geriatric nursing, active nursing intervention in various settings combined with education and research should be developed. Considering the health and welfare of the aged and the present status and views in Korea, I suggest the following: First, the health needs of the elderly in the institution, must be met by a plan that fosters geriatric nurses and programmed service development. Second, health service for the residential elderly must be provided in day care centers, short stays, nursing homes and geriatric hospitals. Geriatric nursing services should be provided in home residential areas, public health centers, public health subcenters as well as having,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in primary health care posts and home health nurses. Third, geriatric nursing curriculum must be developed adjust to situations and culture of Korea and be included in the nursing curriculum. And gerontological nurse practitioner or geriatric specialist must be fosteraged to provide the professional care for the aged. Geriatric nursing research should be also achived for geriatric nursing improvements.

  • PDF

노인의 자립과 사회참가 등 사회생활환경조성을 위한 법제적 문제점과 개선방안 (Legislative issues and Improvement Devices for on the Environment of Social Life in Social Participation and Self-reliance of the Aged)

  • 노재철;고준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647-660
    • /
    • 2012
  • 고령화시대에 있는 우리나라는 노인을 약자로 보는 복지정책으로는 한계성이 나타나게 된다. 건강하고 의욕이 높은 노인의 활력을 사회에서 살릴 수 있는 구조의 마련과 제도의 정비의 중요성은 고령화가 진행되는 사회일수록 더욱 높다. 우리사회는 노인의 능력을 사회에서 활성화시키는 구조, 노인입장에서 보면 사회참가의 구조를 정비하여 노인의 생활면에서 자립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여, 노인이 건강하고 경제적 기반이 약화된 때에 사회가 지원하는 전체시스템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노인에게 무조건 약자로서 생활지원이 강조되는 형태의 노인대책과는 다른 노인의 생활에 있어서 적극적인 지원의 필요성을 검토하고 지원을 위한 법제도적 정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노인자살 예방서비스 성과의 의미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Meaning of Performance of the Elderly Suicide Prevention Service)

  • 이현아;이준우
    • 한국노년학
    • /
    • 제36권3호
    • /
    • pp.649-671
    • /
    • 2016
  • 본 연구는 노인자살 예방서비스 실천과정에서 경험하는 성과의 의미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노인자살 예방서비스 제공기관의 기관장, 실무자, 서비스 이용자의 시각에서 나타난 성과를 서비스 제공기관의 측면과 서비스 이용자의 측면, 그리고 다차원적 시각에서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질적연구의 한 방법으로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노인자살 예방서비스 제공기관의 기관장과 실무자가 공통적으로 인식하는 성과는 '서비스 실천과정에서 구조적인 장애물을 인식하고, 서비스 이용자와 지역사회의 변화를 경험하는 성취'로 나타났으며, 서비스 이용자는 '서비스 경험에 따른 내면의 인식변화'로 나타났다. 분석 주체별로 살펴본 성과의 의미와 본질은 첫째, 기관장이 인식하는 성과는 '서비스를 통해 기관의 정체성이 재발견되는 과정'으로, 둘째, 실무자가 인식하는 성과는 '지역사회와 조직에서 살아남기 위해 몸부림치는 과정 속에서 서비스 이용자들의 변화를 경험하며 지역사회와 조직에서 인정받기'로, 셋째, 서비스 이용자가 인식하는 서비스 경험의 성과는 '벼랑 끝에서 생명의 끈 부여잡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노인자살 예방서비스 실천현장의 성과측정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