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derly Travel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34초

도시기반시설과 고령자 통행의 상관관계 분석: 행정동 단위 대중교통 통행유입 모형을 중심으로 (Relationships Between Urban Infrastructure and Travel by the Elderly: Based on the Public Transit Trip Attraction Model for Dong)

  • 이숭봉;정동재;장수은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68-275
    • /
    • 2015
  • 우리사회가 초고령 사회로 빠르게 진입하면서 고령자를 고려한 교통정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동안 고령자 통행에 관한 상당한 연구가 수행되었으나, 고령자 통행의 시공간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대중교통 통행유입 모형을 바탕으로, 고령자 통행의 시간적 특성은 시간대별 모형으로, 공간적 특성은 도시기반시설 자료를 독립변수에 포함하여 설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고령자 통행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 도시기반시설은 대중교통시설과 상업면적, 병원수로 나타났으며, 특히 09시-17시 사이에 영향이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

가상현실과 포톤 네트워크를 이용한 고령 환자용 여행체험 콘텐츠의 구현 (Implementation of Traveling Contents for Elderly Patients using Virtual Reality and Photon Network)

  • 임수빈;조면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123-128
    • /
    • 2018
  • 최근 고령인구 증가와 장기요양 보험의 도입으로 요양기관에 입주하는 고령 환자의 수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장기요양 환자들은 만성질환과 치매 등의 질환을 앓고 있어 거동이 불편하거나 인지력이 떨어지는 어려움을 겪을 뿐 아니라, 가족과 떨어져서 우울증에 시달리므로 심리 및 정서적인 지원이 절실하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거동이 불편한 고령 환자를 위하여 VR과 포톤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가족들과 함께 평소에 가보지 못했던 해외여행 체험을 가상으로 제공하고자 한다. 기존 VR을 이용한 여행체험 서비스는 혼자 체험하는 반면, 제안하는 콘텐츠는 포톤 네트워크를 통해 가족 및 친구들이 네트워크로 참여함으로써 여행 체험 시 대화는 물론 지인들의 옆모습을 보며 함께 경치를 즐길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고령의 장기 요양환자로 하여금 심리적 안정감을 회복하고 치유의 의지를 높여서 투병생활에서 삶의 질을 높이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한다.

노인의 관광경험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ourism Experience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 김혜린;현인숙;우은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232-24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의 관광경험이 삶에 질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연구의 조사대상은 제주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으로 총 209부의 설문 내용이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 관광경험은 '가족', '사회', '건강', '심리적', '물질적', '여가' 삶의 영역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가족', '건강', '심리적', '여가' 삶의 영역에 만족은 전반적인 삶의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 '물질적' 삶의 영역 만족은 전반적 삶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스마트폰 보행이동 데이터를 활용한 노인의 역세권 이용실태 분석 - "WalkOn" APP의 서울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 (Analysis of Elderly's Walking Patterns near Metro-stations in Seoul by Using Smartphone Pedestrian Movement Data - An Empirical Study Based on "WalkOn" App Big Data -)

  • 이선재;박소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3호
    • /
    • pp.129-138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aily living area of the elderly using the vast amount of travel route data collected through smart phones. In order to analyze the utilization status of the elderly into the visiting area and the living area, the subway station influence area was typed based on the number and ratio of the elderly visiting and the elderly living the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visiting area and the living area of the subway station area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walking route data for the three types of subway station influence areas where the elderly visit and live. First, we derive the range of visiting area and living area of the elderly near the subway station. Second, we derive the characteristic of moving distance which causes the linked walking of the elderly. Third, destination distribution and facility utilization are influenced by the subject of use, movement pattern, and facility awareness.

요양원 노인 대상 경주 VR 콘텐츠 활용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Gyeongju VR Content for the Elderly in Nursing Homes)

  • 강지영;이효원;박철우;이영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90-492
    • /
    • 2022
  • 본 콘텐츠는 COVID-19로 인해 요양원 이외의 공간을 자유롭게 다닐 수 없는 노인들과 야외활동을 오래 하지 못 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제작하게 되었다. 요양원에 계신 노인들은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이지 않고도 다양한 공간을 체험할 수 있는 경주 VR 콘텐츠를 통해 경주를 보다 입체적이고,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경주 VR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들에 대해서 알리고자 한다.

  • PDF

공간 상관성을 고려한 서울시 택시통행의 영향요인 분석 (Identifying Key Factors to Affect Taxi Travel Considering Spatial Dependence: A Case Study for Seoul)

  • 이향숙;김지윤;추상호;장진영;최성택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64-78
    • /
    • 2019
  • 본 논문은 공간 상관성을 고려하여 서울의 택시통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것으로 택시의 GPS 자료를 이용하였다. 먼저 이들 자료를 이용하여 택시통행의 평균 통행시간, 평균 통행거리, 시공간적 분포 등의 통행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상당수의 택시통행이 평일 오전 첨두(8-9시)와 심야(0-1시) 시간대에 집중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통행거리와 통행시간은 각각 5.9km와 13분으로 나타났다. 이는 택시가 주로 단거리 통행수단이나 심야에 대중교통의 대체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다음으로 Moran's I 검정을 통해 교통존 기반의 택시통행들이 공간적으로 상관성이 있음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이를 고려한 택시통행에 대한 공간회귀모형(공간시차모형과 공간오차모형)을 추정하였으며, 인구사회 변수(가구수, 고령자수, 여성인구비, 자동차대수 등), 교통서비스 변수(지하철역수, 버스 정류장수 등), 토지이용 변수(인구밀도, 고용밀도, 주거면적 등) 등을 독립변수로 고려하였다. 모형분석 결과 이들 변수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택시통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송문제 선형계획기법을 응용한 모범택시의 배차시스템 개발 (Application of a Linear Programming in a Taxi Dispatching System)

  • 이종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83-94
    • /
    • 1995
  • Many taxis called "Mobum" in Seoul are empty and waiting along the curb during the day time. However, it is almost impossible for elderly and handicapped people, and women carrying babies to use them .It is because they can not serve passengers who request services by phone. If taxis, expecially "Mobum" taxis which offer high quality services, can be dispatched based on requests by phone, not only elderly and handicapped people but also auto commuters will easily call and use them. This paper shows a taxi dispatching system. The system minimizes the total empty vehicle hours under given number of empty vehicles and passengers and their locations. As a result, the system maximizes number of services and revenue under given number of taxis. The system adopts a well -known linear programming model and the model can fast and easily be solved by PC level linear programming packages. Also, practical solutions of the system's constraints such as size and travel time forecast are discussed.ecast are discussed.

  • PDF

고령자의 비업무통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수도권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tors Concerning Non-Work Trip of the Elderly People : A case of Seoul Metropolitan Area)

  • 한진석;오성호;박종일;김준기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1-7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2006년 수도권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비업무통행빈도에 대한 고령자의 통행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비업무통행빈도에 대한 고령자의 통행특성은 타 연령층과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석모형은 특정 변수에 이분산성을 가정한 이분산 서열로짓모형의 설명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추정 결과 고령자는 연령층이 낮을수록, 여성일수록, 운전면허를 가지고 있을수록, 직업 및 가구내 미취학 아동이 없을수록, 그리고 가구내 특정수준 이상의 월평균소득이 있을 경우 비업무통행빈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으로 모든 고령자에 대하여 획일적인 교통정책을 수립하는 것 보다 고령자의 개인적 특성차이(연령대별 건강상태 등)를 고려한 교통정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도심형 수요응답 교통서비스의 통행목적별 만족도 영향요인 비교연구: 세종특별자치시 셔클(Shucle)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by Travel Purpose for Urban Demand Response Transport Service: Focusing on Sejong Shucle)

  • 김원철;한우진;박준태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132-141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수요응답 교통서비스를 이용한 통행목적을 통근·통학과 쇼핑·여가로 구분하고 통행목적별 만족도와 영향변수의 차이를 비교한다. 세종특별자치시 '셔클(Shucle)' 이용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만족도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고, 다중선형모델의 과적합(overfitting)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해 LASSO 회귀분석을 적용한다. 분석 결과, 수요응답 교통서비스 도입으로 기존 대중교통 사각지역의 공백이 해소되고, 자가용 이용 감소로 저탄소 및 대중교통 활성화 정책을 유인할 수 있으며, 간헐적인 통행행태를 갖는 행위자(예컨대 고령자, 주부 등)에게 최적의 이동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차량 호출 후 대기시간, 탑승 후 이동시간, 앱이용 편리성, 예상 출/도착 시간의 정시성, 승·하차 지점의 위치 요인은 통근·통학과 쇼핑·여가 통행 시 수요응답 교통서비스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공통요인으로 나타났다. 한편, 타 교통수단과의 환승은 통근·통학의 경우에만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쇼핑·여가의 경우는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요응답 교통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분석된 5개의 영향요인에 대한 고려뿐만 아니라 통근·통학과 쇼핑·여가의 차별화 요인 즉, 통근·통학의 경우 행위자는 시간가치를 중요하게 여기므로 총 통행시간을 줄이기 위한 타교통수단과의 환승 편의를 도모하고, 쇼핑·여가 통행의 경우 이용자가 승·하차 지점의 위치를 쉽고 편하게 지정하여 이용할 수 있는 이용편의 조성방안의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