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y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초

중ㆍ고령 장애 여성의 우울과 영향 요인 (Depression and affecting factors in middle-aged women with disabilities)

  • 김예순;전민재;민진주;호승희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9-61
    • /
    • 2022
  • Objectives: It is reported that the depression of women with disabilities is higher than that of men with disabilities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epression level and influencing factors of middle-aged women with disabilities. Method: For this study, the 2020 survey on the disabled was used. The subjects were 2,546 middle-aged and disabled women over the age of 40 who responded to the survey. For data analysis, SPSS Window 26.0 program was used. Descriptive analysis, chi-square test, and multiple logistic analysis were perform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with disabilities. Results: In this study, marital status, subjective economic status, disability type, subjective health status, subjective obesity, chronic disease, exercise,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and self-going ability variables of middle-aged and elderly women with disabilities were found to be related to depression. Factors affecting the depression of middle-aged women with disabilities were analyzed to be marital status, smoking,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variables. Conclusion: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should be reduced to effectively reduce depression and improve depression in middle-aged and elderly women with disabilities. And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health education and programs that can promote mental health are required.

체외순환과 초저체온 순환정지술을 이용한 내경동맥의 거대 뇌동맥류 수술 - 증 례 보 고 - (Surgical Treatment of Intracranial Artery Giant Aneurysm Using Cardiopulmonary Bypass and Deep Hypothermic Circulatory Arrest - Case Report -)

  • 정유남;민경수;이무섭;김동호;홍종면;김상태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12호
    • /
    • pp.1657-1663
    • /
    • 2000
  • The authors report a case of a 72-year-old woman who presented with intraventricular and subarachnoid hemorrhage of Hunt and Hess grade IV after the rupture of a giant aneurysm arising from the right internal carotid artery. The aneurysm was clipped successfully with the aid of cardiopulmonary bypass(closed chest method), deep hypothermic circulatory arrest, and cerebral protection with barbiturate resulting in moderate disability. We discuss the usefulness and problems related to technique of circulatory arrest and cardiopulmonary bypass using closed chest method, and suggest the possible benefits of open chest method in elderly people and the importance of preoperative plan to coordinate anesthesia and operation.

  • PDF

일부 농촌지역 노인들의 요실금 유병률과 관련요인 (Prevalence of Urinary Incontinence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the Rural Residing Elderlies)

  • 윤현숙;권인선;배남규;조영채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4권1호
    • /
    • pp.76-86
    • /
    • 2009
  • 본 연구는 농촌지역 노인을 대상으로 요실금의 출현빈도를 조사하고 요실금과 관련된 요인을 검토하고자, 2007년 10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기간에 충청남도의 농촌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 464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조사대상자의 요실금 경험률을 보면 「매일 실금」이 9.5%, 「가끔 실금」이 35.5% 로 요실금을 경험하고 있는 노인이 45.0%이었다. 성별로는 남자(29.8%)보다 여자(58.5%)에서, 연령이 낮은 군보다 높은 군에서, 교육수준이 높은 군보다 낮은 군에서, 월수입이 높은 군보다 낮은 군에서 요실금 경험률이 높았다. 일상생활습관별 요실금 경험률은 비흡연군보다 흡연군에서, 음주군보다 비음주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른 요실금 경험률은 건강하다는 군보다 건강하지 않다는 군에서, 건강에 대한 걱정을 하지 않는다는 군보다 한다는 군에서, 신체부자유가 없다는 군보다 있다는 군에서, 건망증이 없다는 군보다 있다는 군에서, ADL과 IADL별로는 도움이 필요 없다는 군보다 도움이 필요하다는 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비율이었다. 다변량 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요실금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으로 성별, 연령, 흡연습관, 건강에 대한 걱정유무, 신체부자유 유무, 건망증 유무, IADL이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농촌지역 노인들의 요실금 출현빈도는 남자보다 여자에서, 고연령일수록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일상생활습관이나 주관적 및 신체적인 건강상태가 양호하지 않을수록 요실금 출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이에 따른 노인들의 적절한 건강관리 대책이 요구된다.

Co-occurrence Network Analysis of Keywords in Geriatric Frailty

  • Kim, Youngji;Jang, Soong-nang;Lee, Jung Lim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29-439
    • /
    • 2018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ore keyword of frailty research in the past 35 years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knowledge of frailty. Methods: 10,367 frailty articles published between 1981 and April 2016 were retrieved from Web of Science. Keywords from these articles were extracted using Bibexcel and social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occurrence network using NetMiner program. Results: The top five keywords with a high frequency of occurrence include 'disability', 'nursing home', 'sarcopenia', 'exercise', and 'dementia'. Keywords were classified by subheadings of MeSH and the majority of them were included under the healthcare and physical dimensions. The degree centralities of the keywords were arranged in the order of 'long term care' (0.55), 'gait' (0.42), 'physical activity' (0.42), 'quality of life' (0.42), and 'physical performance' (0.38). The betweenness centralities of the keywords were listed in the order of depression' (0.32), 'quality of life' (0.28), 'home care' (0.28), 'geriatric assessment' (0.28), and 'fall' (0.27). The cluster analysis shows that the frailty research field is divided into seven clusters: aging, sarcopenia, inflammation, mortality, frailty index, older people, and physical activity. Conclusion: After reviewing previous research in the 35 years, it has been found that only physical frailty and frailty related to medicine have been emphasized. Further research in psychological, cognitive, social, and environmental frailty is needed to understand frailty in a multifaceted and integrative manner.

요양시설 노인의 신체적 및 정신적 기능과 삶의 질과의 관련성 (The Association of Physical and Mental Function with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at Care Facilities)

  • 임영아;신택수;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301-310
    • /
    • 2018
  • 본 연구는 요양시설 노인의 신체적 기능(ADL, IADL) 및 정신적 기능(우울, 인지기능장애) 수준과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D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15개 요양시설에 입소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 524명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15년 11월부터 2016년 1월까지의 기간 동안에 조사원이 조사대상 요양시설을 직접 방문하여 면접 조사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각 독립변수에 대한 삶의 질을 종속변수로 하여 평균점수를 비교하기 위해 t-test 및 ANOVA로 검정하였다. 또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독립변수들의 설명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삶의 질은 연령이 높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가족과 함께 산다는 군보다 혼자 산다는 군, 자녀와의 관계가 좋다는 군보다 좋지 않다는 군,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건강하다는 군보다 건강하지 않다는 군, 신체의 부자유가 없다는 군보다 있다는 군, 치아상태가 좋다는 군보다 좋지 않다는 군, 아침식사를 한다는 군보다 하지 않는다는 군, 규칙적인 운동을 한다는 군보다 하지 않는다는 군,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한다는 군보다 하지 않는다는 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일상생활수행능력(ADL)과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IADL)이 낮을수록, 우울수준이 높을수록, 인지기능장애점수가 낮을수록 삶의 질 수준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요양시설 노인의 삶의 질은 인구사회학적특성, 건강상태 및 건강관련행위특성뿐만 아니라 신체적 기능 및 정신적 기능과도 유의한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마을회관의 유니버설디자인 현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urrent Situation of Rural Community Facilities Applied Universal Design)

  • 이을규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113-120
    • /
    • 2015
  • In recent years, the population composition of rural area is changing due to the decreasing population growth of the aged with disability and people returning to farming. Since 1970's the rural community facilities have been spreaded out across most rural villages. Although the rural community facilities are the most widely used facilities, the existing facilities are need to be new built or remodeled according to demographic changes, usage of facilities, and environmental condition. Given this reality, the rural community facilities such as village assembly hall and nursing home for senior citizen are not only used for daily life place but also used like co-residence having meals and sleeping together. Therefore the rural community facilities have the potential to become welfare service space for rural elderly people.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current situation of universal design applied community facilities. According to the research, most of the village community facilities were built in the 1990s and 82% of the buildings were more than 15 years old. Furthermore, 45% of the village community facilities more than 15 years old most have a ground floor in masonry structure. The area of the building is 65% less than $100m^2$. The width of the access entrance, the height of the sink, gas safety valve and so forth were relatively well designed. However, the handrail of the entrance, space in front of the toilet bowl,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entrance and floor, the installation of the width of the ramp and stair handrail was relatively incomplete. Village community facilities to be built in the future should be universal design fundamentally.

노인의 성별 만성동통 호소의 차이에 대한 조사연구 (Difference of Pain Description According to Gender in the Elderly)

  • 김명애;박경민;김효정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69-379
    • /
    • 1998
  • Despite acknowledgment that pain is likely to be a major problem for many older adults, it is difficult to estimate the frequency of pain problems for this population.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chronic pain in the elderly by gender. It examines by gender, pain frequency, pain intensity, number of chronic pain sites, localization of pain, impact on activities, methods of pain management, and effects of chronic pain management. The subjects were 189 elderly people(65 years and older) living in an urban area. They were surveyed at their homes. They were surveyed by interview using a closed-ended questionnaire. The survey was done from Nov. 6th. to Dec. 6th. 1997.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determine all of the reported pain variables. Chi-square tests were used to determine crude differences between pain intensity and gender. T-test was used to determine differences in number of pain sites between men and wome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 Of the 189 subjects, 83.6% reported experiencing pain, and men reported a lower prevalence (69.5%) than women(89.2%). Women had significantly more severe pain than did men(p=.001). Lower back pain(20.2%) and leg pain(20.2%) were the most prevalent, followed by knee pain(17.4%), arm pain(13.3%), neck and shoulder pain(11.6%), and headache(9.9%). Women experienced more multiple localizations of pain(p=.0001), the greatest impact was on movement (83.5%) , followed by usual activities(60.8%), sleep(49.4%), visiting(29.1%), and hobbies and recreations(50.0%).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proportion of subjects reporting a negative impact on each of these activities. The methods of pain management were hospital visit(70.9%), drug store medication(46.7%), oriental medicine clinic(32.9%), endurance(13.3%), self-management(6.3%). Drug therapy was the most effective pain management strategy(94%), followed by physical therapy(63%) and accupuncture.byssocausis(55%). The conclusion : Pain is a symptom of great clinical importance that is often associated with disability, loss of independence, and reduced quality of life. In this study chronic pain symptoms were common but unevenly distributed in men and women. The results further advance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 and impact of pain by gender. Future studies should incorporate questions that gather systemic and mor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pain, especially by gender and by age.

  • PDF

재난취약자의 현장조치 행동매뉴얼 비교연구 - 한국과 일본의 장애인 대상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on-site Action Manual for People with Disaster Vulnerability)

  • Kim, Soodong;Lee, Sahong;Choi, Kilhyun;Cheung, Chongsoo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155-162
    • /
    • 2017
  • 본 연구는 재난 또는 재난상황이 발생되면 일반인에게는 크게 문제되지 않는 상황이라 해도 노약자나 장애인, 경제적 능력이 떨어지는 취약계층에 관한 논점이 있다. 즉 재난취약계층의 특성을 이해하고 동일한 상황이라도 이들에게는 심각한 위험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재난대비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의 필요성을 강조하여 제기한다. 또한 취약계층 중에서 전 세계가 동일한 용어정의를 선택하고 있는 장애인에 국한해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한국과 일본의 사례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장애인을 위한 현장조치 행동매뉴얼 개발의 토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일본과 한국의 사례를 통하여 재난 시 일상생활 자립성 유지기능, 재난 시 의사소통 기능, 이동방법 및 이동정보 활용 기능, 응급상황 대응 인식 능력 기능, 재난 시 건강상태 관리 기능을 확보해 주는 방향으로 현장조치 행동 매뉴얼 개발의 시급성을 강조한다. 이러한 국내 상황으로부터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을 위한 재난안전 현장조치 행동매뉴얼과 관련된 논의에 한정해서 논점을 결론으로 정리하고자 한다.

장애인 신체활동 증가를 위한 운동중재에 관한 연구: 융합형 디바이스 활용 관점에서 (A Study on Exercise Intervention for Improving Physical Activity for the Disabled: From the Perspective of Convergence Device)

  • 강선영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85-9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의 신체활동량 증가를 위해 다양한 디바이스를 적용한 운동중재 동향을 분석하고, 특히 인구고령화로 인한 장애인 노년층 증가에 따른 시대적 니즈에 부합하는 융합형 디바이스 활용 운동중재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장애인에게 적용 가능한 융합형 디바이스 활용 운동중재는 첫째, 가상현실 기반 게이미피케이션을 이용한 운동중재방식, 둘째, 밴드, 시계 등과 같은 착용형 또는 신체부착형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운동중재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장애노인들에게 즐거움과 환경적 제한의 최소화, 개별화가 용이한 융합형 디바이스를 활용한 운동중재를 위해서는 편리한 조작과 간편한 운영규칙, 손쉬운 장치 설치 및 착용 방식, 미숙한 디바이스 활용능력을 보완해줄 수 있는 지도자와 같은 구성요건이 필요하며, 인지능력과 신체적 기능의 현저한 저하를 경험하게 되는 장애인 노년층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유지 및 향상을 위해서는 일상생활에서 친숙하게 경험할 수 있으면서도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경험이 가능한 신체활동 게임이나 신체활동량 증가를 위한 다양한 디바이스의 활용이 필요하며, 이는 장애를 가진 노인의 긍정적인 신체활동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도시지역 노인들의 사회심리적 요인과 그의 관련요인 (Psychosocial Factors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the Elderly People in a City)

  • 송영수;권인선;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3521-3531
    • /
    • 2012
  • 본 연구는 도시지역 거주 노인들의 자기존중감, 상태불안, 대인의존형행동특성 및 통제신념 상호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이들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들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대전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 396명(남자 182명, 여자 214명)으로 하였으며, 조사는 2011년 4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의 기간동안에 면접조사 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존중감은 상태불안, 대인의존형행동특성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통제신념과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상태불안은 대인의존형행동특성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통제신념과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인의존형행동특성은 통제신념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단계별 다중회귀분석 결과 자기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IADL, 배우자 유무, 저작능 상태, 건망증이 선정되었으며, 상태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치아의 부자유 유무, IADL, 배우자유무, 주관적인 건강상태, 신체의 부자유유무, 주관적인 수면의 질, 학력이 선정되었다. 대인의존형행동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배우자유무, IADL, 월수입,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선정되었으며, 통제신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배우자유무, 시력상태가 선정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조사대상 노인들의 자기존중감, 상태불안, 대인의존형행동특성 및 통제신념은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행위 특성 및 건강상태 등의 여러 변수들과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