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derly Korean women

검색결과 1,617건 처리시간 0.03초

건강취약계층의 개념과 법적 문제점, 그리고 건강보장을 위한 방안 (Concepts and Legal Problems Related to the Health-vulnerable Class, and Measures to Ensure Health)

  • 김제선
    • 의료법학
    • /
    • 제22권3호
    • /
    • pp.125-144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상황에서 우리 사회의 건강취약계층의 건강보장을 위한 법적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 기존의 (사회)취약계층 의미를 살펴본 뒤, 건강이라는 사회적 위험을 연계하여 확장된 개념으로서 건강취약계층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취약계층이라는 용어는 전통적인 관점에서 노인, 장애인, 여성 등의 계층과 낮은 소득 등으로 인한 생활능력이 없는 조건, 이를테면 저소득층의 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개념으로서 사용되었던 경향이 있다. 건강취약계층의 개념은 이러한 취약계층의 개념이 건강 위협 등 사회적 위험 등과 연계되어 확장된 개념으로 나타나고 있는 최근의 동향을 반향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법률상 건강취약계층과 함께 보건의료 취약계층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면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두 용어를 각각 사용하는 법률과 정책들로 인해서 건강 및 보건의료에 관한 사회보장제도 안에서 사각지대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건강취약계층에 대한 건강보장을 위한 법률적 개선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건강취약계층에 대한 개념 확대와 법률적 용어의 포괄성, 통합적인 보건의료서비스를 위한 법률 간 체계성, 건강취약계층을 보호하기 위한 맞춤형 정책 및 인적 역량 강화 등을 제언하였다.

땅두릅뿌리를 이용한 혼합음료가 당뇨 및 고혈압 환자의 혈압과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ixing Beverage with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Root on Blood Pressure and Blood Constituents of the Diabetic and Hypertensive Elderly)

  • 최미숙;도대홍;최도점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65-172
    • /
    • 2002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에 거주하고 있는 24명의 독거 노인(남자 10명, 여자 14명)으로 당뇨병 환자이고 경계성 고혈압 이상에 해당하며, 60세 이상인 노인을 대상으로 혈압과 혈청학적인 검사를 실시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축기 혈압은 3주에 1주보다 A군에서는 4.9%상승하였고 B군은 0.3%가 증가되었으며 C군에서는 5.9%가 감소되었다. 각 군의 3주 평균은 A군 158.3$\pm$24.3, B군 149.1$\pm$19.2, C군 143.9$\pm$5.1로 C군, B, A군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완기 혈압은 1주에 비해 3주에 A군에서는 3.7% 증가하였고 B군은 0.3% 감소하였으며 C군에서는 1.5% 증가하였다. 각 군의 3주 평균은 A군 93.8$\pm$11.3, B군 93.2$\pm$11.2, C군 86.9$\pm$6.2로 C군, B군, A군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에 의하면 두릅음료가 수축기와 이완기 혈압 조절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2. 혈당은 3주에 1주보다 A군에서는 0.5%가 증가하였고 B와 C군에서는 각각 13.9%와 17.5%가 감소 되어 두릅음료가 혈당저하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3. 중성지방은 1주에 비해 3주에 A군에서 11.6%증가되었고 B군에서는 5.0% 감소하였으며 C군에서는 3.8%가 증가되었다. 총콜레스테롤은 1주보다 3주에 A군에서는 2.3% 증가되었고 B와 C군에서는 각각 8.7%와 14.5%가 감소하였다. HDL-콜레스테롤은 A와 B군에서는 각각 4.8%와 13.2%가 낮아졌고 C군에서는 19.6%가 증가되었으며 LDL-콜레스테롤은 1주보다 3주에 A군에서 1.9% 상승하였으나 B와 C군에서는 각각 8.3%와 21.1%가 저하되었다. 이 실험 결과에 의하면 두릅음료가 총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저하와 HDI-콜레스테롤 증가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중성지방의 조절에는 효과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4. GOT는 3주에 1주에 비해서 A군은 16.4%감소하였고 B군은 14.9%증가하였으며 C군은 14.7%가 저하되었다. GPT는 3주에 1주보다 A군 1.0%, B군 43.0%, C군 43.0%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총 빌리루빈은 3주에 1주에 비해 A군에서는 변화가 거의 없었고 B군에서는 25% 감소를 보였으며 C군은 50%가 증가되어 GOT, GPT및 총 빌리루빈의 농도는 두릅음료에 의해 저하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1개 종합병원 환자의 낙상에 관한 조사 (A Study on Fall Accident)

  • 이현숙;김매자
    • 대한간호
    • /
    • 제36권5호
    • /
    • pp.45-62
    • /
    • 1998
  •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1995 to May 1996 at the one general hospital in Seoul. The total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12 patients who have the experience of fall accident, among them 31 was who have fallen during hospitalization and 381 was who visited emergency room and out patient clinic.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risk factors and results of fall accident and to suggest the nursing strategies for prevention of fall. Data were collected by reviewing the medical records and interviewing with the fallers and their family members. For data analysis, spss/pc+ program was utili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djusted standardized $X^2$-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otal subjects were 412 fallers, of which 245(59.5%) were men and 167(40.5%) were women. Age were 0-14 years 79(19.2%), 15-44 years 125(30.4%), 45-64 years 104(25.2%), over 65 years 104(25.2%). 2) There was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age and the sexes ($X^2$=39.17, P=0.00). 3) There was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age and history of falls ($X^2$=44.41. P= .00). And history of falls in the elderl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alls. 4) There was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age and medical diagnosis ($X^2$=140.66, P= .00), chief medical diagnosis were hypertension(34), diabetis mellitus(22), arthritis(11), stroke(8), fracture(7), pulmonary tuberculosis(6), dementia(5) and cataract(5), 5) There was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age and intrinsic factors: cognitive impairment, mobility impairment, insomnia, emotional problems, urinary difficulty, visual impairments, hearing impairments, use of drugs (sedatives , antihypertensive drugs, diuretics, antidepressants) (P < 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age and dizziness ($X^2$=2.87, P=.41). 6) 15.3% of total fallers were drunken state when they were fallen. 7) Environmental factors of fall accident were unusual posture (50.9%), slips(35.2%), trips (9.5%) and collision(4.4%). 8) Most of falls occurred during the day time, peak frequencies of falls occurred from 1pm to 6pm and 7am to 12am. 9) The places of fall accident were roads(22.6%), house-stairs 06.7%), rooms, floors, kitchen (11.2%), the roof-top, veranda, windows(10.9%), hospital(7.5%), ice or snowy ways(5.8%), bathroom(4.9%), playground, park(4.9%), subway-stairs(4.4%) and public-bathrooms (2.2%). 10) Activities at the time of fall accident were walking(37.6%), turning around or reaching for something(20.9%), going up or down stairs09.2%), exereise, working07.4%), up or down from a bed(2.7%), using wheelchair or walking aids, standing up or down from a chair(2.2%) and standing still(2.2%). 11) Anatomical locations of injuries by falls were head, face, neck(31.3%), lower extremities (29.9%). upper extremities(20.6%), spine, thorax, abdomen or pelvic contents(l1.4%) and unspecified(2.9%). 12) Types of injures were fracture(47.6%), bruises03.8%), laceration (13.3%), sprains(9.0%), headache(6.6%), abrasions(2.9%), intracranial hemorrage(2.4%) and burns(0.5%). 13) 41.5% of the fallers were hospitalized and average of hospitalization was 22.3 days. 14) The six fallers(1.46%) died from fall injuries. The two fallers died from intracranial hemorrage and the four fallers died of secondary infection; pneumonia(2), sepsis(1) and cell lulitis(1). It is suggested that 1) Further study is needed with larger sample size to identify the fall risk factors. 2) After the fall accident, comprehensive nursing care and regular physical exercise should be emphasized for the elderly person. 3) Safety education and safety facilities of the public place and home is necessary for fall prevention.

  • PDF

노인요양시설의 산림복지서비스 인프라 및 제공 실태 (An Analysis of Infrastructure and Provision of Forest Welfare Service in Nursing Homes for the Elderly)

  • 이인숙;김성재;방경숙;이윤정;김미주;문효정;연평식;하이얀;진영란
    • 한국산림휴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9-69
    • /
    • 2018
  • 우리나라 노인요양시설의 산림복지서비스 인프라 및 서비스 실태, 관련 인식을 조사하여 산림복지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전국 노인요양시설을 대상으로 2016년 8월 한 달간 우편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한 123개 기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고, 응답자는 대부분 원장 혹은 사무국장이었다(75.0%). 복합건물의 일부 층을 사용 중인 노인요양시설(16.3%)은 시설 내에 산림복지서비스 인프라를 갖추기 힘들 것으로 사료되고, 인근에 숲이 없는 경우(약 30%)와 숲이 있더라도 휠체어나 경사로가 없는 경우가 많아 이용에 제약이 많았다. 노인요양시설 운영자들도 산림복지서비스가 노인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지만, 장기요양보험 급여의 필수항목은 아니고, 비용과 노력이 많이 소요되면서도 낙상, 이식증 등 사고위험이 있어 수행하지는 못하고 있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노인요양시설을 평가할 때, 숲 등 산림치유적 요소를 갖추었는지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 시설 내 정원에 화장실 접근성을 높이고, 시설 인근 숲에 휠체어 진입이 가능한 통로와 리프트 이동로, 안전손잡이를 설치하는 등 산림복지서비스가 가능한 환경으로 조성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부는 노인요양시설 산림복지서비스 가이드라인을 개발 보급하여 시설 내외부에서 간편하게 따라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생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노인요양시설 입소노인에게 신체적 정신적 편안함과 적절한 인지자극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액티브 시니어의 경력지향성과 창업교육 만족이 창업의지와 창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ctive Senior's Career Orientation and Educational Entrepreneurship Satisfaction on Entrepreneurship Intention and Entrepreneurship Preparation Behavior)

  • 박종범;양영석;김명숙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1호
    • /
    • pp.285-301
    • /
    • 2020
  • 국내의 고령화 문제를 인구학적 관점에서 바라보면 전체 인구수의 문제가 아니라 인구구조가 문제이다. 국내에서 규모가 가장 큰 인구집단은 베이비부머, 포스트 베이비부머 세대이다. 베이비부머 세대는 1955~1963년생으로 현재 인구는 700만 1,333명이며, 전체인구의 약 13.6%(2015년 기준)를 차지한다. 포스트 베이비부머 세대는 1964~1974년생으로 총인구는 956만 7,171명으로 총인구의 18.8%에 해당한다. 베이비부머 세대와 포스트 베이비부머 세대(총 인구대비 32.4%)가 은퇴를 시작하였고, 조만간 은퇴할 예정이다. 의학기술의 발달로 평균 수명이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신생아의 출산율 저하, 생산인구의 감소는 국내의 경제를 어둡게 하고 있다. 이런 사회적 문제 인식과 문제 해결안으로 본 연구는 액티브 시니어들의 다양한 경력기반에 기초한 경력지향성과 창업 교육 만족도가 창업 의지, 창업 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 또한 이들 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액티브 시니어의 다양성에 대한 맞춤형 창업 교육중요성을 제안하고 시니어 창업정책 설계 및 자금지원, 창업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액티브 시니어, 경력 지향성, 창업 교육 만족도, 창업 의지, 창업 준비 행동의 5개 요소의 개념을 정의하고, 특히 핵심이 되는 액티브 시니어의 개념적 정의를 베이비부머 세대인 50대, 60대로 비즈니스의 핵심소비 주체나 복지혜택의 수급대상자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창업 시장에서의 40대, 50대, 60대 순으로 연령별 창업기업 수가 높은 것을 반영하여 액티브 시니어 창업가를 예비시니어(Pre Senior)를 포함한 경력, 경제력, 소비력을 갖추고 활발한 활동과 건강한 삶을 지향하는 40대에서 60대까지 세대를 액티브 시니어로 정의하였다. 가설검증 결과로 가설 1과 가설 5에서 경력 지향성은 창업 의지와 창업 준비 행동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가설 3에서 창업 의지는 창업 준비 행동 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가설 4에서 창업 교육 만족도는 창업 준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러나 가설 2에서 창업 교육 만족도는 창업 의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창업교육 만족도가 창업 의지에 직접적인 효과는 미치지 못하고 개인적인 경력 지향성의 영향을 통해 창업 의지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액티브시니어 창업정책 수립 방향 수립에 의미를 제공한다.

치유농업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고찰 (A Study on the Variable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Healing Agriculture)

  • 김옥자;하규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4호
    • /
    • pp.59-72
    • /
    • 2018
  • 최근 급격히 증가하는 노인들과 정신적 휴식이 필요한 도시인들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과 안녕감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치유농업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치유농업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고찰을 위하여 노후준비도, 농촌치유 공급조건, 농촌치유 제공서비스를 독립변수로 정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치유농업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실증적 분석을 통하여 파악하고자 한다. 둘째는 다양한 요인들 중에서 어느 변인이 이용의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쳤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셋째, 이들 검증결과를 바탕으로 치유농업 활성화 정책을 제언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서 30세 이상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356부를 분석대상으로 확정하였다. 연구가설의 검증은 선형회귀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후준비도의 신체적 준비와 정서적 준비 그리고 경제적 준비는 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농촌치유 공급조건의 자연경관, 접근성, 안전성은 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경제성과 전문성은 기각되었다. 셋째, 농촌치유 제공서비스의 농작물 재배, 동물매개, 치유시설은 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치유농업의 이용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노후준비가 잘되어 있어야 하며, 농촌치유 공급조건에서는 접근성과 안전성이, 농촌치유제공 서비스에서는 치유시설이 잘 갖춰져야 치유농업을 이용하려는 소비자의 이용의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ion, Oral Dryness,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in Korea

  • Mun, So-Jung;Park, Su-Kyung;Heo, Ji-Eun;Jeung, Da-Yee;Chung, Won-Gyoun;Choi, Ma-I;Jeon, Hyun-Sun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45-253
    • /
    • 2019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analyze correlations between depression, cognitive function, oral health state, ability to perform activities of daily living, oral dryness symptoms,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determine factors influencing the latter. Methods: This was a cross-sectional study based on questionnaires completed by 260 participants with suspected dementia, residing in South Korea. Psychiatrists, psychiatric nurses, and dental hygienists visited clinics in the participating regions for examination and questionnaire administration. General characteristics,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ability to perform activities of daily living, cognitive function, oral health state,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ere analyzed. Independent t-test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identifying factors affecting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ver. 20.0 (IBM Corp., USA), and the significance was set at p<0.05. Results: Approximately 65.0% of participants were female, 63.5% were in their 70s, and 90.0% had health insurance. About 21.5%, 42.0%, and 36.5% were normal, slightly impaired, and had dementia, respectively. High cognitive impairment was associated with poor oral health. Sex, education levels, marital status, and living arrangements influence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regression analysis, geriatric depression and oral dryness affected the Geriatric Oral Health Assessment Index scores. Conclusion: In conclusion, oral dryness and depression levels among elders influence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e results showed that to enhance elders'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t is essential to not only improve their oral health state, but also relieve oral health problems, especially oral dryness, and take into consideration their psychological aspects.

일부 농촌지역 주민의 코골이와 고혈압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Snoring and Hypertension in a Rural Population)

  • 최진수;이정애;신희영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4권3호
    • /
    • pp.284-290
    • /
    • 2001
  • 본 연구는 지역사회 주민을 대상으로 코골이와 고혈압과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일부 전남 농촌지역 역학조사에 참여한 1,763명을 연구대상으로 성별, 연령, 교육수준, 결혼상태, 직업, 흡연 및 음주여부, 고혈압의 유무, 코골이의 유무 등에 대해 직접면접법을 통해 설문조사 하였고 비만은 체질량지수(BMI)로 측정하였다. 고혈압은 측정된 수축기 혈압이 140 mmHg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mmHg이상인 경우와 과거에 고혈압으로 진단 받고 현재 고혈압 치료 중인 경우로 하였다. 코골이 전체 유병률은 41.0%이었고 남자에서 42.7%, 여자에서 39.8%이었다. 연령에 따른 코골이 유병률은 45세-64세 중년층에서 44.3%로 젊은층(33.9%)과 노년층(38.7%)에 비해 높았다. 비만도에 따른 코골이 유병률은 체질량지수가 증가할수록 증가했고 흡연과 음주 여부에 따른 코골이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코골이 군에서 코골이가 없는 군보다 고혈압이 많았다(교차비: 1.25, 95% CI=1.01-1.55). 그러나 성별, 연령, 비만, 흡연 및 음주 등의 인자들을 보정한 후 고혈압에 대한 코골이의 유의한 영향은 없었다(교차비: 1.13, 95% CI = 0.90-1.41). 본 연구의 결과는 코골이가 고혈압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기보다는 비만과 같은 교란변수에 의한 효과일 수 있음을 나타낸다.

  • PDF

골다공증 유도 백서 경골에 티타늄 임플랜트 매식 시 지방조직유래 줄기세포 주입과 저출력 초음파 적용이 골치유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w Intensity Pulsed Ultrasound with Adipose-Derived Stem Cells on Bone Healing around a Titanium Implant in Tibia of Osteoporosis-Induced Rats)

  • 이광호;최연식;신상훈;정인교;김규천;김철훈;김욱규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3권3호
    • /
    • pp.199-209
    • /
    • 2011
  • Purpose: Osteoporosis, is a major health problem for the elderly and post-menopausal women and shown to alter the properties of bone as well as impair bone healing around titanium implants in both human and animal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LIPUS with adipose-derived stem cells on the healing process around a titanium implant in rats with osteoporosis. Methods: Sixteen osteoporosis-induced ra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 adipose-derived stem cell injected with Low Intensity Pulsed Ultrasound (LIPUS) application group and a control group. Titanium screw implants (diameter, 2.0 mm: length, 3.5 mm, Cowell Medi, Korea) were placed into both tibia of 16 rats, on 8 rats as the control group and the other 8 rats as the experimental group. Rats were sacrificed at different intervals from 1, 2, 4 and 8 weeks after implantation for histopathologic and immunohistochemical analyses. Results: Histopathological analysis revealed newly formed bone in experimental group earlier than that in control group. Especially at 1 week after implantation, more amounts of new bone matrix and collagen around the implant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e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showed that the levels of osteoprotegerin (OPG) express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increased at early stages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group until 2 weeks after implantation. But after 2 weeks, the expression level of OPG similar in both groups. The expression levels of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 kB ligand (RANKL) were strong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until 2 weeks after implantation. After 4 weeks, expression of RANKL in experimental group was similar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LIPUS with Adipose-Derived Stem Cells in implantation could promote bone healing around titanium implants in rats with osteoporosis.

중장년층에서의 외상성 견관절 탈구 (Primary Traumatic Anterior Shoulder Dislocation in the Middle-aged And Elderly Patients)

  • 이광원;류창수;김하용;안재훈;염진섭;김환정;최원식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3권2호
    • /
    • pp.75-78
    • /
    • 200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primary traumatic anterior shoulder dislocation in the 40 years and older to determine the incidence of recurrence, rotator cuff injury and associated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y, 1991 to October, 1998, seventeen patients were available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average age was 55 years(range, 40 to 75 years). Follow-up averaged 27 months(range, 12 to 48 months). There were 12 men and 5 women. 10 right and 7 left shoulders were involved. Any participant with a history of shoulder pain and limitation of motion was excluded from the study. Each shoulder was evaluated with UCLA shoulder functional assessment. Results: The overall results were excellent in 9 patients(52.9%), good in 3 patients(17 .6%), fair in 3 patients(17.6%), and poor in 2 patients(11.7%). Surgical treatment of the associated rotator cuff and greater tuberosity fracture injuries resulted in 5 patients with excellent(55.6%), 3 patients with good(33.3%) and I patient with poor(11.1 %) and Nonsurgical treatment of the associated injuries resulted in 2 patients with excellent(33.3%), 3 patients with fair(50%), 1 patient with poor(16.7%)(P=0.025). Conclusion : Our findings on small number of patients suggest that the diagnosis of a rotator cuff and other pathologies should be approached aggressively by an MRI, CT arthrogram if significant pain and weakness are still present and early surgical repair of rotator cuff and greater tuberosity can lead to restoration of shoulder function and better outcomes in selected pati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