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o-resiliency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7초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진로의식성숙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go-resiliency and Career consciousness maturity of Nursing students on Job-seeking stress)

  • 이주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483-490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진로의식성숙 및 취업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1년 10월 22일부터 11월 21일까지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187명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자아탄력성, 진로의식성숙 및 취업스트레스를 파악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자아탄력성은 진로의식성숙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진로의식성숙은 취업스트레스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취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진로의식성숙이었고, 취업스트레스를 43%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간호대학생이 취업스트레스를 줄이고 직업에 대한 긍정적인 진로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간호대학생의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일부 치위생과 대학생에서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mily Health on Ego Resiliency in the Students of Dental Hygiene College)

  • 장성연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74-80
    • /
    • 2014
  • 이 연구는 치위생학 전공 대학생에서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건강성의 구성요소들을 파악하여 중요성을 인지시키고 이에 관한 관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6개 대학 3년제 치위생과에 재학 중인 여학생 553명으로 구성되었다. 자료수집은 2012년 9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3개월 동안 조사원을 통한 직접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연구결과 연령이 많고, 주관적인 가정경제 수준이 높다고 인지할수록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 만족도와 전공학과 만족도가 높다고 인지할수록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가 있는 학생이 없는 학생보다 가족건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수경험이 있는 학생은 자아탄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 건강성의 구성요소는 가족간 의사소통과 가족원의 가치체계 공유로 나타났다. 결과에 따라 가족건강성이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건강성의 구성요소를 강화시키기 위하여 가족간 언어적, 비언어적 소통의 전달과정이 개방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대화증진 프로그램, 건강한 가정으로 유지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이 서로균형을 이루어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며, 학교에서는 학생들에게 인문학적 소양을 키울 수 있는 교육과정 등이 이루어져야 하며, 교수자는 수업시간 외에도 학생과의 만남을 통해 고민을 상담해주고, 긍적적인 격려를 해 줄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학교폭력이 청소년 우울 및 자살에 미치는 영향에서 탄력성의 매개효과 :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The mediational effects of resiliency on school violence causing adolescent depression and suicide :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 박재연
    • 사회복지연구
    • /
    • 제41권1호
    • /
    • pp.345-375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학교폭력이 청소년의 우울 및 자살에 미치는 영향과 탄력성이 매개요인으로서의 역할을 하는지 전체 모형 내에서 구조적 관계를 규명한 후, 모형의 전체 경로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를 검증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소재의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664명의 청소년들에게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학교폭력 척도, 청소년 우울 및 자살척도, 자아·가족·학업탄력성 척도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AMOS 17.0과 SPSS 17.0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교폭력은 청소년 우울과 자살에 정적영향이, 가족·학업탄력성에 미치는 부적 영향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개요인인 자아·가족탄력성은 청소년 우울에 미치는 부적 영향이, 가족탄력성은 청소년 자살에 미치는 부적 영향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차이에 관한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교폭력이 청소년 자살과 가족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학교폭력으로 인한 청소년 우울 및 자살에 대한 개입 시 본 연구 결과에서 밝혀진 구조적 모형과 성별차이를 고려한 차별화된 개입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며, 후속연구와 반복검증을 통해 이를 보다 확고히 할 필요가 있다.

태극권 수련이 간호대학생의 체력, 스트레스반응,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Tai Chi Training Program on Physical Fitness, Stress Response and Ego-resilience in Nursing Students)

  • 손정태;이진주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17-226
    • /
    • 2017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ai Chi training program on physical fitness, stress response and ego-resiliency in nursing students. Methods: 28 nursing students of D metropolitan city participated in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 and post-test group test in quasi experimental design with written consent. Fourteen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 who did usual activities and 14 experimental participants who promised to participate 24 Tai Chi training sessions for 12 weeks. Both groups completed pre- and post-test measurement for physical fitness, a questionnaire regarding their stress response and ego-resiliency. Each 60-minute Tai Chi session was consisted of 5-minute warm up, 10-minute meditation, 40-minute Tai Chi, and 5-minute finishing exercise. Results: After 12 weeks, participants in the Tai Chi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muscle endurance (t=3.77, p=.001), leg muscular strength (t=2.14, p=.042), and balance (t=2.12, p=.044)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Tai Chi group recorded significantly lower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on stress response (t=2.75, p=.011). Conclusion: Th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Tai Chi for a reduction in stress response and promotion in physical fitness in nursing students. Applying Tai Chi training to nursing program will help nursing students to have better academic performance.

대학생의 우울, 자아탄력성,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가 인터넷중독경향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Depression, Ego-resilience, and Active Stress Coping on Internet Addiction Tendency among College Students)

  • 오원옥;신현정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6-69
    • /
    • 2016
  • Purpose: The prevalence of problematic internet usage among college students is a cause for concern. There is a lack of study examining influences of cognitive protecting or buffering factors on internet addiction among college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fluences of depression, ego-resilience, and active stress coping on internet addiction tendency (IAT) among college students. Method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design was used. Data were collected between October and December 2013. A convenience sample of 244 students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Ego-resiliency Scale, Ways of Coping Checklist,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and Self-report Scale for Internet Us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data analysis. Results: We found that higher levels of depression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IAT. However, an inverse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active stress coping and IAT. Students who mainly used the internet for chatting showed lower levels of IAT than those who used the internet for games or blogs. These factors explained 15.1% of the variance in IAT of college students.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depression are important factors for evaluation when developing intervention programs targeting college students with problematic internet use.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및 자아탄력성이 현실충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Ego-Resiliency on Reality Shock of Nursing Students)

  • 박동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648-657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현실충격 정도와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자아탄력성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현실충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결과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자아탄력성은 현실충격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회귀분석 결과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자아탄력성은 현실충격을 27.1%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자아탄력성이 현실충격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어 간호대학생의 현실충격을 완화하기 위해서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자아탄력성을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추후 간호대학생의 현실충격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 조사대상을 확대하여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주관적 안녕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cial Support, Ego-resili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on Suicidal Ideation in Nursing Students)

  • 박순주;박은영;이송이;장아현;조서원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10-319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whether risk of suicidal ideation in nursing students as related to social support and ego-resilience, and whether subjective wellbeing mediated the relationships. Method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applied to test the model in which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from family, friends, and others were considered as exogenous variables and subjective wellbeing as a mediating variable. The participants were 285 nursing students who completed self-report measures including the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the Ego-Resiliency Scale, and the Index of Wellbeing. Results: Results show that higher scores on family support and ego-resilience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subjective wellbeing and negatively with suicidal ideation. Subjective wellbeing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support and suicidal ideation, and also ego-resilience and suicidal ideation. Among the three social supports, only family social support had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suicidal ideation. Conclusion: Findings suggest that family support is a useful resource in the prevention of suicidal ideation in nursing students and building supportive relationship with family should be considered as the first step in suicide prevention strategies. Also enhancing ego-resilience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to reduce suicide risk through promoting well-being.

간호대학생의 학과만족도 영향 요인 (Factors Affecting Nursing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Department)

  • 조정애;김정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587-59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들의 학과만족도 향상을 위한 재학생들의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학교 적응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B U 시 소재 4개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235명으로, 자아탄력성, 간호전문직관, 학과만족 정도를 설문지로 측정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5년 10월 16일부터 11월 25까지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t-test,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사후검정은 $Scheff{\acute{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학생의 학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결과 전체적 영향요인은 25.3%였으며, 가장 높은 관련요인은 간호전문직관으로 19.9%로 가장 설명력이 높았다. 그 다음으로 자아탄력성을 추가하였을 때 24.4%, 교우관계를 추가 하였을 때 25.3%의 설명력을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학과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간호전문직관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교육전략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언한다.

응급실 간호사를 위한 공감피로 극복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Overcoming Compassion Fatigue Program for Emergency Nurses)

  • 김영아;박정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60-270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program to help emergency nurses overcome compassion fatigue,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gram.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here were 14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8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The program was comprised of five, weekly 80-minute sessions including understanding and assessment of compassion fatigue, enhancing positive affect, balancing work-life, planning self care, training in relaxation techniques and cognitive restructuring, and getting social support. Research variables were ego-resiliency, compassion satisfaction and compassion fatigue of the ProQOL 5, and salivary cortisol. Data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Results: The first hypothesis,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scores for ego resilienc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not supported. The second hypothesis,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scores for compassion satisfac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t=2.15, p=.046). The third hypothesis,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scores for compassion fatigu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not supported. Conclusion: The first program for emergency nurses to overcome compassion fatigue in Korea was effective in increasing emergency nurses' compassion satisfaction and decreasing salivary cortisol level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fore, this program for overcoming compassion fatigue is useful to increase emergency nurses' compassion satisfaction. However replication studies of short-term intensive program reflecting emergency nurses' opinion are needed.

청소년의 외재화 및 내재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Influencing Factors on Externalized and Internalized Problem Behaviors among Adolescents: Focused on First Grade High School Students)

  • 윤미경;박은영;손정아;현명선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52-162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ing factors on externalized and internalized problem behaviors among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707 students in two high schools in K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October to November, 2014 by use of questionnaires. The instruments used were the Korean Youth Self-report, Daily Hassles Questionnair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and Ego Resiliency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Results: Significant predictors to explain externalized problem behaviors comprised anger-out, anger-in, anger-control, relation with parents, daily stress, and religion. It was found that these factors explained 46% of externalized problem behavior. Ego resiliency, anger-in, daily stress, gender, relation with parent, and anger-out were significant predictors to explain internalized problem behaviors. It was found that these factors explained 45% of internalized problem behavior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nfluencing factors on problem behaviors differ from externalized and internalized problem behaviors. So these findings will provide the basic data to develop a program that is differentiated by problem behavior ty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