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ediational effects of resiliency on school violence causing adolescent depression and suicide :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학교폭력이 청소년 우울 및 자살에 미치는 영향에서 탄력성의 매개효과 :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 Park, Jae-Yeon (The Institute for Social Welfare Research, Ewha womans University)
  • 박재연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Received : 2010.01.19
  • Accepted : 2010.03.16
  • Published : 2010.03.30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at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school violence on adolescent depression and suicide, where both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ency and the gender diffences are considered. The data, collected from 664 high and middle school students, were examined by the statistics software SPSS 17.0 and AMOS 17.0, in which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multi-group simultaneous analysis are utilized. As a result, it is shown from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at school violence have positive effects on depression and suicide, but negative effects on family and academic resiliency. Both ego and family resiliency act as protective factors, negatively affecting the depression. In addition, the family resiliency had negative effects on suicide. The results of multi-group simultaneous analysis imply that school violence have different effects on suicide and family resiliency respectively, depending on gender differences. Female adolescents are affected more strongly than male adolescents.

이 연구에서는 학교폭력이 청소년의 우울 및 자살에 미치는 영향과 탄력성이 매개요인으로서의 역할을 하는지 전체 모형 내에서 구조적 관계를 규명한 후, 모형의 전체 경로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를 검증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소재의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664명의 청소년들에게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학교폭력 척도, 청소년 우울 및 자살척도, 자아·가족·학업탄력성 척도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AMOS 17.0과 SPSS 17.0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교폭력은 청소년 우울과 자살에 정적영향이, 가족·학업탄력성에 미치는 부적 영향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개요인인 자아·가족탄력성은 청소년 우울에 미치는 부적 영향이, 가족탄력성은 청소년 자살에 미치는 부적 영향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차이에 관한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교폭력이 청소년 자살과 가족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학교폭력으로 인한 청소년 우울 및 자살에 대한 개입 시 본 연구 결과에서 밝혀진 구조적 모형과 성별차이를 고려한 차별화된 개입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며, 후속연구와 반복검증을 통해 이를 보다 확고히 할 필요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