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g diameter

검색결과 249건 처리시간 0.018초

도루묵, Arctoscopus japonicus의 산란용 조림초 개발 (Development of artificial spawning seaweeds of the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 양재형;이성일;배봉성;차형기;윤상철;전영열;김종빈;장대수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5권4호
    • /
    • pp.234-242
    • /
    • 2009
  • To develop the artificial spawning seaweeds of the sandfish, Arctoscopus japonicus, the effects by the material type of artificial spawning seaweeds were investigated at Dongsan port in Gangwon-do from December 2006 to March 2007. Sargassum fulvellum, S. horneri, rope and net were used as materials for artificial spawning seaweeds, and the most effective thing among them was S. fulvellum. A. japonicus began to attach the egg mass to artificial spawning seaweeds when sea temperature dropped below 10${^{\circ}C}$ in December, spawned heavily when it was around 8${^{\circ}C}$ in January, and completed the behavior when it started to increase over 10${^{\circ}C}$ in February. The hatching period of eggs was estimated to be about 60 days. The middle position in artificial spawning seaweed had the highest number of egg masses and the diameter of the egg mass ranged from 25mm to 62mm. Based on the result for the effects, the artificial spawning seaweeds of A. japonicus were developed and it is possible to use them to form seaweed forests or spawning grounds of other species.

Mannitol-Egg York-Polymyxin B 선택 배지에서 Bacillus cereus 계수 방법의 재평가 (Reevaluation of Enumeration of Bacillus cereus Grown on Mannitol-Egg York-Polymyxin B Agar)

  • 윤숙현;김용상;정도연;한금수;엄태붕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08-214
    • /
    • 2009
  • 장류에서 식중독 미생물인 Bacillus cereus의 계수 방법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B. cereus 선택 배지인 mannitol-egg york-polymyxin B (MYP)에서 자란 약 1,500개의 집락들을 형태적 차이에 따라 12종으로 분류하였다. 생화학 특성 및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 결과 집락 주위로 환을 형성하는 직경 11~16 mm 크기의 집락들은 B. cereus 와 B. cereus subsp. cytotoxis로 동정되었고, 환을 형성하지 않아 B. cereus 계수에 포함시키지 않았던 직경 5 mm 크기의 분홍색 집락은 B. cereus로, 6.5 mm 크기의 이중환을 형성하여 B. cereus로 계수하기가 모호하였던 붉은색 집락은 B. cereus로 동정되었다. 나머지 세 종들은 Enterococcus sp., Brevibacillus sp., B. subtilis로 밝혀졌다. B. cereus로 동정된 9종 모두에서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B. cereus 독소 유전자들을 함유하고 있었지만 다른 형태들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Early Life History of the Sevenband Grouper, Epinephelus septemfasciatus from Korea

  • Park, Jae-Min;Cho, Jae-Kwon;Han, Kyeong-Ho;Kim, Na-Ri;Hwang, Hyung-Kyu;Kim, Kyong-Min;Myeong, Jeong-In;Son, Maeng-Hyu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8권1호
    • /
    • pp.13-23
    • /
    • 2014
  • This study is conducted to monitor the morphological developmental features of the egg development, larvae and juvenile of Epinephelus septemfasciatus, the fertilized eggs were gotton using artificial insemination. Matured parents are collected from marine caged fish farms in Geomun-ri, Samsan-myeon, Yeosu-si, Jeollanamdo Korea in June 2012. The fertilized eggs were pelagic eggs containing one oil globule, and measured 0.81~0.89 mm ($0.85{\pm}0.04mm$, n=50) in diameter. In regard to rearing environment, the water temperature is $21.0{\sim}23.0^{\circ}C$ and the salinity is 32.0~33.2‰. Hatching was observed from 48 hours after fertilization, the mouth and anus of prelarvae was not opened but had egg yolk at newly hatched. 4 days after hatching, the mouth and anus of postlarvae was opened and began to eat Rotifer and was measured 2.40~2.49 mm ($2.45{\pm}0.03mm$ n=10) in total length. 12 days after hatching, postlarvae was measured 3.77~4.67 mm ($4.27{\pm}0.33mm$) in total length, its the second pole tide of dorsal fin and the first pole tide of pelvic fin was extended longitudinally. 71 days after hatching, juvenile was measured 40.5~45.4 mm ($42.6{\pm}2.04mm$) in total length. Seven bands were observed in body, and pole tides of dorsal and pelvic fins were shortened.

해삼, Stichopus japonicus 유생의 성장과 생존에 미치는 먹이 및 수용밀도의 영향 (Influence of Food and Density on the Growth and Survival of Sea Cucumber, Stichopus japonicus)

  • 이채성;박영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9-45
    • /
    • 1999
  • 해삼의 인공종묘생산 기술개발을 위한 생물학적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산란유발, 유생발달 과정, 유생 사육시 먹이와수용밀도에 관한 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산란유발은 수온자극에서 6.0~17.5%의 반응이 있었으며, 간출자극에서는 1.4~4.0%로 낮은 반응률을 보였다. 산란량은 50~500만개였고, 수정률은 84.0~96.0%였으며, 부화율은 71.4~84.6%로 나타났다. 해삼의 수정난은 $154{\mu}m$이며, 난발생은 수온 $23^{circ)C$에서 수정후 2시간 10분만에 4세포기, 3시간 40분이 지나면 16세포기로 되며, 14시간 30분 후에는 포배기로 되면서 부화하였다. 그 이후 3일째에는 auricularia 유생으로 되었고, 11일째에는 doliolaria 유생, 15일째에 pentactula 유생으로 변태하였다. 유생의 먹이로는 Chaetoceros calcitrans와 Pav-lova lutheri가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 중 Chaetoceros calcitrans는 변태가 빠르고 생존율도 높아 해삼 유생의 먹이로 가장 좋았으며, 유생 사육을 위한 최적 밀도는 2개체/ml 이하를 유지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미호종개 Iksookimia choii (Cobitidae)의 난 발생 및 자어 형태 발달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Egg and Larvae of Iksookimia choii (Cobitidae))

  • 송하윤;김우중;이완옥;방인철
    • 생태와환경
    • /
    • 제41권1호
    • /
    • pp.104-110
    • /
    • 2008
  • 멸종위기 야생동식물이면서 천연기념물인 담수어류 미호종개의 난발생 과정 및 초기 생활사를 연구하였다. 성숙란은 인간 성선 자극호르몬(HCG) 10 IU $g^{-1}$을 주사하여 얻었으며, 습식번으로 수정하였다 수정란은 원형으로 투명한 황색을 띈 침성 점착란이었으며, 수정란의 직경은 $1.1\sim1.3mm$로 유구는 존재하지 않았다. 부화는 수온 평균 $25^{\circ}$에서 수정 후 24시간을 전후하여 시작하였다. 부화 직후 자어는 전각이 $2.5\sim2.7mm$ (평균 2.8 mm)로 입과 항문은 닫혀있었다. 부화 후 6일째 자어는 전장이 $4.7\sim5.4mm$(평균 5.1mm)로 꼬리 끝부분 척색이 $45^{\circ}$로 완전하게 굽어 후기 자어로 이행하였다. 부화 후 35일째 개체의 전장은 $20\sim22mm$ (평균 21.8 mm)로 모든 지느러미 가시와 줄기가 정수에 달하여 치어 단계로 이행하였다.

Reproductive characteristics, egg and larval development of short ninespine stickleback, Pungitius kaibarae

  • Hwang, In Joon;Lee, Si Woo;Han, Young Sim;Kim, Kyeong Hwa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4권11호
    • /
    • pp.375-382
    • /
    • 2021
  • In this study, the reproductive behavior and embryonic and larval development of the short ninespine stickleback Pungitius kaibarae was described and illustrated based on observations during spawning, hatching, and larval rearing trials. Adult P. kaibarae were collected downstream in Jinhae during the reproductive season (April-May). Males had nuptial coloration on their entire black bodies, with blue dorsal spines and yellow eyes, whereas females had a brown spotted pattern on their bodies. Males built nests on the stems of water weeds and attracted females. Fertilization occurred in the nest immediately after spawning, and males guarded the eggs until hatching. The fertilized eggs of P. kaibarae were spherical, demersal, adhesive, and transparent, and each egg measured 1.43 ± 0.07 mm in diameter. The morula, blastula, and gastrula stages, as well as hatching began at 5, 18.5, 21.5, and 96 post fertilization (HPF), respectively, at 20.0 ± 0.5℃. The newly hatched larvae had a total length (TL) of 5.67 ± 0.50 mm, with a yolk volume of 0.583 ± 0.059 mm3. Their mouths and anuses had not yet opened. At 2 days posthatching (days post hatching, DPH), the yolk was completely absorbed and the larvae began to feed exogenously. Pigmentation was observed in freshly hatched larvae 4 h after hatching, with the presence of eight areas with a dotted pattern on the dorsal surface of the larvae and dispersed spots on the head and yolk sac. At 30 DPH, the TL of the juveniles was 21.34 ± 1.70 mm. The nest area and number of eggs were 259.56 ± 101.39 mm2 (75.18-506.04) and 155.33 ± 114.12 (0-437), respectively.

Experimental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of self-compacting concrete contains nano clay and nano egg shell

  • Hilal, Nahla N.;Hadzima-Nyarko, Marijana
    • Advances in concrete construction
    • /
    • 제13권5호
    • /
    • pp.349-360
    • /
    • 2022
  • The rising prices of landfills and the lack of cement production are motivating researchers to be more interested in using wastes to produce concrete mixtures materials. The use of waste materials such as eggshell and matakoline waste not only reduces landfill costs and space, but also reduces the cost of cement production for the concrete mixture. However, recycling waste materials has become critical in order to effectively manage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appropriate properties of self-compacting concrete (SCC) by incorporating waste materials such as crushed ceramics as coarse aggregate and nano egg shell (NES) and nanoclay (NC) as cement replacements. Fresh properties of SCC, such as segregation, flow time and diameter, V-funnel, H2/H1 ratio, and fresh unit weight of concrete mixtures, as well as hardened properties, such as 7, 14, and 28 days compressive strength and 28 and 90 days flexural strength, were measured for this purpose. The presence of NC in the SCC mixture enhance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oncrete when 5% of NES was added or in the case without the addition of NES compared to the control mixture. The flexural strength enhanced with the incorporation of NC in the SCC increased the flexural strength of the concrete compared to the control mixture, but the incorporation of 5% of NES decreased the flexural strength compared to the mixtures with NC. These results prove the possibility of using crushed ceramics as the coarse aggregate, and NES and NC as substitutes for 5, 7, and 10% of the cement in SCC, because the properties of such SCC in hardened and fresh states are satisfactory.

점농어, Lateolabrax maculatus의 성 성숙에 관한 연구 (Studies on Sexual Maturation of Spotted Sea Bass, Lateolabrax maculatus)

  • 김성연;방인철;노용길;김종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526-535
    • /
    • 2001
  • 1996년 12월부터 1997년 11월까지 전남 고홍군 일원 해역에서 채집한 점농어를 대상으로 생식소중량지수 (GSI), 간중량지수 (HSI)의 월별 변화, 생식세포 발달과정의 조직학적 조사, 생식주기, 난경 조성, 포란수 그리고 군성숙도를 조사하였다. 생식소숙도지수 (GSI)는 암컷과 수컷 모두 12월부터 7월까지 1.0 이하의-낮은 값을 유지하다가 8월부터 소폭의 증가를 시작하여 10월에 암컷 7.50, 수컷 2.98로 연중 최고 값을 나타내었다. 간중 량지수 (HSI)는 3월에 암컷 1.97, 수컷 1.64로 최고 값을 보인 후 다시 감소하였으나, 9, 10월 생식소 발달시기에 다시 소폭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월별 생식세포의 조직학적 관찰 결과, 점농어의 생식주기는 $7\~8$월 성장기, $9\~10$월 성숙기, $10\~11$월 완숙 및 산란기 그리고 $11\~7$월 퇴화 및 휴지기의 연속적인 생식주기를 나타내었다. 생식기인 8월부터 11월까지의 암컷 개체들을 대상으로 난경조성 변화를 조사한 결과, 점농어 난모세포군의 발달 및 이행은 분리되지 않은 하나의 mode를 형성하며, 동시에 성숙, 방란하는 한 산란기 동안 1개의 mode만을 형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개체별 절대 포란수는 $1,726,242\~17,822,576$개 였으며, 개체별 상대 포란 수는 전장의 경우 $29,458\~214,730$개, 체중의 경우 $938\~3,363$개로 나타났다. 군 성숙도 조사에서 암컷은 전장 50.1 cm, 수컷은 전장 45.1cm 이상의 조사 개체들 모두가 성 성숙에 참여하였다.

  • PDF

섬진강 수계 요천에 서식하는 한국고유종 섬진자가사리 Liobagrus somjinensis (Siluriformes: Amblycipitidae)의 자연산란장 특징 (Characteristics of Spawning Sites in the Natural Environment of the Korean Endemic Species, Liobagrus somjinensis (Siluriformes: Amblycipitidae) in the Yocheon (stream), Seomjingang (river), Korea)

  • 김형수;김수환;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00-305
    • /
    • 2015
  • 2015년 5~6월에 전라북도 남원시 식정동 섬진강 수계 요천에서 한국고유종 섬진자가사리 Liobagrus somjinensis의 자연산란장 11개 지점에 대한 특징을 조사하였다. 자연산란장은 하상기질에 따라 256 mm 이상의 큰돌 (boulder)이 놓여진 상부와 자갈 (pebble)과 모래 (sand)로 이루어진 하부로 구분되었다. 큰돌 아래의 자연산란장은 작은 구멍 안에 난괴 (egg mass)를 형성한 알 덩어리와 섬진자가사리 1개체 (수컷)가 위치하였고 어떠한 저서성 무척추동물이나 유기물이 없는 깨끗한 상태였다. 알은 구형의 노란색으로 투명한 막으로 둘러싸여 있었고 알 크기는 $3.31{\pm}0.15mm$ (n=30)로 나타났다. 큰돌 아래 자연산란장에서 확인된 각 알 덩어리는 유사한 발생단계였고 각각은 상실기에서 안구 형성기까지 나타났다. 11개의 자연산란장에서 확인된 알수는 평균 $121{\pm}35.5$ (84~176)개였고 암컷의 난소에서 확인된 포란수는 $143{\pm}31.3$ (110~232)개였다.

낙동납자루(Tanakia latimarginata)의 초기생활사 (Early Life History of Tanakia latimarginata)

  • 박재민;전형배;조혜인;조성장;석호영;한경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75-83
    • /
    • 2018
  • 이 연구는 우리나라 고유종인 낙동납자루의 초기생활사를 연구하여 분류학적 연구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낙동납자루는 수컷의 뒷지느러미 가장자리 검은색 띠가 짙고, 암컷의 산란관이 오렌지색을 띠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난의 형태는 방추형이었고, 난경은(장경${\times}$단경) $4.41{\times}1.44mm$였다. 부화에 소요되는 시간은 수온 $21.0^{\circ}C$일 때 126시간이 소요되었다. 부화 직후의 자어는 난황을 가지고 있으며, 평균 전장은 $5.91{\pm}0.18mm$ (n=5)였다. 부화 후 18일째에는 꼬리지느러미가 발달하였고, 평균 전장은 $8.02{\pm}0.08mm$ (n=5)였다. 부화 후 41일째 자어는 난황을 대부분 흡수하였고, 평균 전장은 $8.70{\pm}0.23mm$ (n=5)였다. 부화 후 80일째 자어는 지느러미 기조 수가 정수에 달하였고, 평균 전장 $12.6{\pm}0.28mm$ (n=5)였다. 지느러미 기조 수는 등지느러미 ⅲ.8개, 뒷지느러미 ⅲ. 9~10개, 꼬리지느러미 19개, 측선비늘 수 32~35개로 어미와 유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