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g Productivity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22초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a phytogenic blend containing Schisandra chinensis, Pinus densiflora, and Allium tuberosum on productivity, egg quality, and health parameters in laying hens

  • Moon, Seung-Gyu;Lee, Sung-Kwang;Lee, Woo-Do;Niu, Kai-Min;Hwang, Won-Uk;Oh, Jong-Seok;Kothari, Damini;Kim, Soo-Ki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2호
    • /
    • pp.285-294
    • /
    • 2021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upplementary effect of a phytogenic blend (SPA: a mixture containing fermented Schisandra chinensis pomace, fermented Pinus densiflora needle extract, and Allium tuberosum powder in the ratio of 2:2:1) on egg production, egg quality, blood constituents, and visceral organs in laying hens. Methods: A total of 135 Hy-line brown laying hens (48-wk-old) were randomly allocated to three dietary treatments with 5 replicates of 9 hens. The control group (CON) was fed a basal diet (no exogenous SPA addition) and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fed the basal diet containing SPA at the level of 0.1% and 0.3% for 6 weeks. Results: The feed intake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SPA supplemented groups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p<0.05). However, egg production, daily egg mass, and feed conversion ratio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dietary treatments (p>0.05). For egg quality traits, only Haugh unit (HU)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SPA (0.3%) (p<0.05) as compared with other groups. However, HU was not affected during 4-wk of storage at 18℃ among the dietary treatments (p>0.05). Furthermore, SPA supplementation did not affect the blood biochemical constituents except for the phosphate content,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PA groups than the CON group (p<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visceral organ characteristics and immune indicators (immunoglobulin A [IgA], IgG, and IgM) in SPA or CON group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supplementation of SPA may have beneficial effects on feed intake and egg quality in laying hens.

산란계사료의 적정에너지 및 단백질수준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Optimum Dietary Energy and Protein Levels in Laying Hen)

  • 이상진;이규호;정선부;오세정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9-53
    • /
    • 1987
  • 본시험은 산란계사료의 에너지 및 단백질수준이 산란성적, 생존율, 란질, 영양소이용율 및 복강지방 축적율 등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대사에너지 3수준(2,500, 2,700, 2,900 kcal/kg)과 단백질 3수준(13, 15, 17%)을 조합한 9개처리에 720수씩 2회에 걸쳐 1,440수를 공시하였으며, 1차시험은 1982년 5월 5일부터 1983년 5월 3일까지, 2차시험은 1983년 12월 28일부터 1984년 12월 26일까지 각각 52주간에 걸쳐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산란율은 대사에너지수준이 증가할수록 점차 감소하였고 단백질 수준이 증가할수록 점차 증가하였지만 (P〈0.05), 단백질 15%와 17%수준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2. 란중은 에너지 수준에 따라서 차이가 없었으나 단백질수준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지만 15%와 17%수준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3. 사료섭취량은 에너지 수준이 증가할수록 점차 감소하였다. 4. 사료요구율은 에너지 수준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지만 단백질 수준이 증가할수록 점차 개선되었다. 5. 산란 kg당 사료비는 에너지수준이 증가할수록 점차 증가하였으며 단백질수준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6. 증체량은 대시에너지 2,500kcal/kg 수준에 비하여 2,700 및 2,900kcal/kg 수준에서 증가하였고, 단백질 13%수준에 비하여 15 및 17%수준에서 증가하였다. 7. 생존율은 에너지수준이나 단백질수준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8. 란각질은 에너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떨어지는 경향이었으나 단백질수준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9. 란황차색도는 에너지수준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지만 단백질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10. 단백질을 제외한 모든 영양소의 이용율은 에너지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지만, 단백질수준에 따라서는 건물의 이용율만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다른 영양소의 이용율은 차이가 없었다. 11. 복강지방축적율은 에너지수준이 증가할수록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우리나라의 사료적 여건이나 환경적 여건하에서 산란계사료의 대사에너지 수준은 2,500kcal/kg, 단백질수준은 15%가 적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고정화 균체 반응기에서 첨가물 희석발효배지를 이용한 연속 알콜생산 (Continuous Ethanol Production Using Diluted Fermentation Media with Supplements in an Immobilized Cell Reactor)

  • 임성한;신철수
    • KSBB Journal
    • /
    • 제10권3호
    • /
    • pp.231-236
    • /
    • 1995
  • Saccharomyces sake Kyokai No.7을 이용한 고정화 균체 반응기에서 연속 알콜생산시에 발효배지 성분을 1/10배 ~3/10배 범위에서 희석하여 사용할 때 균체의 생산성과 고정화 beads의 물리적 안정성이 장기적으로 유지되었다. Egg albumin hydrolysate (0.5%)와 phosphatidylcholine(0.5%)을 첨가한 발효배지를 3/10배 희석하여 공급할 때 $1.1lhr^{-1}$ 희석 율에서 최대 알콜생산성인 $69 g/\ell$-hr 이 얻어졌으며, 이는 무첨가물의 2/1011H 희석 발효배지의 최대치인 $46 g/\ell$-hr 에 비하여 50% 증가한 것이다.

  • PDF

천년초 추출물과 식이유황의 첨가가 계란의 생산성, 품질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Supplementation of Opuntia humifusa Water Extracts and Methyl Sulfonyl Methane on the Laying Productivity, Egg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 박선민;안일성;홍상미;김다솔;권대영;양혜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94-300
    • /
    • 2010
  • 천년초에는 유기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을 뿐 아니라 항균효과가 탁월하다는 보고가 있고, 식이유황도 체내 기능을 향상시켜 산란계의 계란 생산성 및 품질을 향상시킬 가능성이 있다는 보고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산란계에게 천년초와 식이유황을 사료에 첨가한 기능성 사료를 산란계에게 급여할 때 계란의 생산성과 품질 및 관능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지를 조사하였다. 실험은 35주령의 Lohmann Brown 산란계 총 640마리를 4 처리 8 반복, 반복당 20수씩 완전임의배치를 하여 1) 천년초 0.12%, 2) 식이유황 0.1%, 3) 천년초 0.12%+식이유황 0.1% 또는 4) 물(대조군)을 사료에 골고루 혼합하여 5주 동안 급여하였다. 산란율, 계란 중량, 중량별 계란 생산량, 사료효율은 세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파란율은 천년초, 식이유황, 또는 천년초+식이유황을 급여한 군이 대조군에 비해 높았고 이러한 차이는 난각두께와 난각강도가 높은 것과 관련이 있었다. 계란의 신선도를 나타내는 Haugh unit, 난백과 난황의 점도도 천년초, 식이유황, 또는 천년초+식이유황을 급여한 군이 대조군에 비해 높았다. 천년초군이 식이 유황군 보다 신선도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고 천년초+식이유황군도 천년초군이나 식이유황군과 차이가 없었다. 또한, 저장기간에 따른 계란의 신선도도 천년초, 식이유황, 또는 천년초+식이유황을 급여한 군이 대조군에 비해 높았다. 훈련된 대학생을 대상으로 반숙 난백과 난황에 대한 관능검사를 하였을 때도 난백과 난황에서 모두 질감, 달걀 특유의 비린맛, 느끼함 등에 대한 선호도가 천년초, 식이유황, 또는 천년초+식이유황을 급여한 군이 대조군에 비해 높았다. 결과적으로 천년초 추출물 0.12% 또는 0.1% 식이유황을 산란계의 사료에 첨가하여 급여하였을 때 산란계의 파란율을 감소시키고 저장기간 중에서도 신선도를 유지시키는 등 계란의 품질을 향상시켜 간접적으로 생산성을 향상시켰다. 천년초 추출물과 식이유황을 함께 첨가하였을 때 추가적으로 생산성이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지는 않았으므로 천년초 추출물 0.12%이나 0.1% 식이유황을 산란계 사료에 첨가함으로써 계란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겠다.

Effect and Mechanism of Glutamine on Productive Performance and Egg Quality of Laying Hens

  • Dong, Xiao-Ying;Yang, Chu-Fen;Tang, Sheng-Qiu;Jiang, Qing-Yan;Zou, Xiao-Ti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8호
    • /
    • pp.1049-1056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glutamine (Gln) on the productive performance and egg quality of laying hens. A total of four hundred Lingnan Yellow laying hens aged 34 week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four groups (100 laying hens/group), and fed, respectively, with diets supplemented with 0% (control group), 0.2%, 0.4%, and 0.8% Gln during the 6-week feeding peri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ductivity of laying hens fed with 0.8% Gln in die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however, the egg quality (egg weight, yolk weight, shell weight, egg shape index, shell thickness, shell density, shell breaking strength, yolk color, yolk index, and Haugh unit) was not affected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 (p>0.05). Second, luteinizing hormone (LH) (p<0.01),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FSH) (p<0.01), triiodothyronine ($T_3$), and tetraiodothyronine ($T_4$) contents (p<0.05) in blood of laying hens fed with 0.8% Gln in diets were also significantly improved, and greater improvement in the duodenum and oviduct structure was observed in that treatment group. This study indicated for the first time that diets with 0.8% Gln were able to increase the productive performance of laying hens through stimulating hormone secretion and better development of both the duodenum and oviduct structure in laying hens.

동충하초 첨가 사료가 달걀의 품질 및 조성에 미치는 영향 (Quality and composition of eggs laid by hens fed with Cordyceps militaris-supplemented feed)

  • 아이만 투르크;김민희;정소영;김범석;우성이;이원호;이미경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54-257
    • /
    • 2022
  • Owing to its excellent nutritional value, eggs are among the most important components of the human diet. Gender and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feed composition, may alter the nutritional profile and quality of eggs. Feed additives have recently been used to enhance the health and productivity of hens, which has resulted in the production of higher-quality eggs. The fungus Cordyceps militaris, a well-established source of traditional medicines, contains potential bioactive metabolites, which prompted us to examine the effects of C. militaris-supplemented diets on the quality of hens' eggs. The hens of two species (Gallus gallus domesticus and Araucana) were fed with one of three different diets: a control diet and diets supplemented with 2% or 5% of C. militaris. Egg quality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Haugh Unit, yolk color, and shell thickness. In addition, egg and shell densities together with the ratio of yolk to albumen were calculated. Eggshell thickness and yolk color were both enhanced by the addition of C. militaris, whereas Haugh Unit values were somewhat reduced. Egg size, eggshell weight, and yolk and albumen production were all enhanced by C. militaris supplementation. Notably, in hens fed the 2% C. militaris-supplemented diet, enhancement was more evident in the yolk than in the albumen. The overall quality of the egg yolk was enhanced when 2% C. militaris was added to the hens' diet, which led to increases in both yolk color and quantity. Eggshell thickness and weight were also higher among eggs laid by hens fed the supplemented diets. Although these effects differed depending on the chicken species, we established that, in general, C. militaris contributes to improving egg quality.

Secondary Productivity of Pelagic Zooplankton in lake Paldang and lake Cheongpyeong

  • Kang, Ji-Soon;Joo, Sung-Bae;Nam, Sung-Jin;Jeong, Ga-Ram;Yang, Dong-Woo;Park, Hae-Kyung;Park, Sang-Kyu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2권4호
    • /
    • pp.257-265
    • /
    • 2009
  • We estimated monthly and annual secondary productivity of pelagic zooplankton in Lake Paldang and Lake Cheongpyong. Secondary productivity was calculated by combining estimated zooplankton biomass and biomass-specific productivity for each site and depth from March to November 2008. In addition to somatic production, we measured production of eggs and exuviae for three dominant species: Daphnia galeata, Bosmina longirostris, Cyclops sp. In terms of biomass, B. longirostris was dominant in Lake Paldang in April and May, B. longirostris showed explosive biomass growth, especially in May. In June and July, B. longirostris and D. galeata were both dominant. Lake Cheongpyeong showed much lower zooplankton biomass than Lake Paldang. In August, there was little or no biomass in both lakes probably due to heavy rain. The Gyeongan River contributed most of the secondary productivity and B. longirostris contributed the most secondary productivity in Lake Paldang. D. galeata also contributed in the Gyeongan River, the South Han River and at the Paldang Dam in spring and fall. Overall, Lake Cheongpyeong showed lower secondary productivity than Lake Paldang. B. longirostris made the largest contribution to secondary productivity in the Cheongpyeong Dam area while D. galeata contributed the most near Nami Island. Somatic production constituted ~80% of the total secondary productivity (the sum of somatic, egg and exuvia production) for D. galeata and B. longirostris. Although production-to-biomass (P/B) ratios were usually <<1 B. longirostris sometimes showed very high P/B ratios, probably due to fish predation. D. galeata showed much lower P/B ratios than B. longirostris after the summer at most sites.

약제에 의한 가잠교미아의 할애효과에 대하여 (Selection of Chemicals for Separation of Copulated Moth of Silkworm, Bombyx mori L.)

  • 박광의;마영일;황석조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15
    • /
    • 1984
  • 잠종제조시 많은 잠종제조 노력을 성력화하기 위하여 누에 교미나방이의 할애제를 선발하고져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몇 가지 약제를 서로 잘 배합하여 이의 할애효과를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약제 처리별 경시적 할애비율에 있어서 TCTFE 처리구는 10분만에 완전히 할애되었고 그 다음은 TCT FE+acetone (87.5 : 12.5 v/v) 배합구와 TCTFE+acetic acid (50 : 50v/v) 배합구가 약제 처리후 25분에 완전히 할애되었다. 그 외 acetic acid 원액처리는 1시간 40분 후에 완전히 할애되었다. 2. 약제 처리별 산란 조사에 있어서는 TCTPE+acetone (87.5 : 12.5 v/v) 구가 아구별 평균 산란수 및 아구별 평균 수정란수를 보아도 약제 처리중에서 가장 성적이 좋았고 무처리구인 대조구에 비해서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TCTFE와 acetic acid 단일처리구는 대조구에 비해 산란수 및 수정란수 모두 대조구보다 적었으며 불산란아도 acetic acid구는 39아로서 가장 많아 acetic acid 단일처리시는 약해로 인하여 산란태율이 저하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3. 약제 처리에 의한 다음 세대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알고자 약제 처리를 한 후 산란한 다음 세대잠란을 사육한 결과 전처리구가 경과일수 21일 23시간으로 대조구와 같았으며 화용비율, 수견양, 단견중, 견층중 및 견층비율 등의 실용형질은 대조구와 같은 수준으로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이상을 종합하여 보면 처리구중 TCTFE구는 누에 교미나방이의 할애제로서 효과는 인정되나 누에의 생이와 관련하여 볼 때 단용처리보다는 TCTFE와 acetone 등 적당한 다른 유기용제를 선발하여 이들을 적당량배합하므로서 할애효과를 더 높힐 수 있다고 생각된다25%, 45.5%, 8%, 2.7%, 5% 및 29.3%를 배출하고 있었다. 4. 배출된 충체는 모두 암놈이 었다. 충체의 길이는 일자별로 20일에서 40일째까지 일정한 양상으로 발육하고 있었고, 각 일자별, 증례별로 충체 길이는 정규분포 형식으로 분포하고 있었다. 이상의 소견에서 요충 암놈의 인체내 발육기간은 40일 이상이고 감염후 16일째까지의 어린 충체는"메벤다졸"이 나 "피란텔"에 대해서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치료에 저항한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양 바이러스 감염잠에서는 2개로 분리되었다. 8. 체액단백질의 전기영동상은 FV 및 DNV감염잠 공히 건전잠의 것과 유사하나, 바이러스 접종 8일 후에는 양적인 감소를 나타내어 건전잠의 약 40%에 지나지 않았다. 9. FV 감염중장조직을 pyronin-methyl green 2종 염색을 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바이러스 접종 8일 후의 중장원동세포내에서 A형 및 B형 봉입체가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10. FV감염 중장조직세포의 전자현미경 관찰에서는 바이러스 접종 5일 후에 배상세포의 'cytoplasmic wall'이 비대해지고 그 내부에 virus-specific vesicle이 형성되었으며, 바이러스 접종 8일 후에는 virus-specific vesicle, 바이러스 입자, linear structure, tubular structure 및 전자밀도가 높은 matrix 등의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특이적인 구조물이 배상세포의 세포질에서 관찰되었으며, microvilli내에서 바이러스 입자의 존재도 확정되었다. 특히 virus-specific vesicle 주위에서는 전자밀도가 높은 구형의 바이러스 입자 유사체가 관찰되었는데, 이것은 virus-specific vesicle 주위에서 바이러스 조립이 일어나는 것을 추정된다

  • PDF

산란형 토종닭 실용계의 생산 및 산란 능력 검정 (Productivity and Performance Test of Egg-Type Commercial Korean Native Chickens)

  • 강보석;홍의철;김학규;김종대;허강녕;추효준;서옥석;황보종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31-338
    • /
    • 2011
  • 본 시험은 산란형 토종닭 실용계의 산란능력을 보고자 실시하였다. 공시계는 국립축산과학원에서 생산된 종란을 인수하여 4가지 교배 조합으로 생산된 교잡종 360수로서, 20주령부터 64주령까지 사양 시험을 실시하면서 산란 능력을 조사하였다. 교배 조합은 A) C계통${\times}$Y계통${\times}$C계통, B) C계통${\times}$L계통${\times}$C계통, C) C계통${\times}$G계통${\times}$C계통, D) C계통${\times}$W계통${\times}$C계통으로 4교배 조합, 교배 조합당 6반복, 반복당 15수씩 완전 임의배치하였다. 시산 일령과 시산 난중은 교배 조합간 유의차는 없었다. 시산시의 체중은 D 교배종이 1,319 g으로 다른 교배종들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P<0.05). 주령별 체중은 B 교배종이 20, 30 및 40주령에서 가장 높았고, D 교배종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평균 사료 섭취량은 B교배종이 주로 높게 나타났으며, 20~24주령, 32~44주령 및 52~60주령에서 높았다(P<0.05). 44주령 이후로는 D 교배종의평균사료섭취량이가장낮게나타났다(P<0.05). 24주령 이후부터60주령까지의평균난중은B 교배종이높았다(P<0.05). 산란율은 C 교배종이 시험기간 동안 다른 계통에 비해 높았다(P<0.05). 64주령까지의 산란수는 A, B, C, D 교배종이 각각 241.4, 235.6, 232.3 및 227.0개로서 차이를 나타내었으나(P<0.05), 28주령 이후부터는 교배 조합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0~24주령의 사료 요구율은 A와 C 교배종이 낮았다(P<0.05). 산란 말기인 60~64주령에서는 C 교배종의 사료 요구율이 가장 낮았다. 본 시험의 결과는 유정란 생산용 및 관상용 산란형 토종닭 생산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토종 실용계의 보급에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산란초기의 사료 내 조단백질 수준에 따른 계란 생산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Levels of Dietary Crude Protein on Egg Production and Quality in Laying Hens during Early Stage of Egg Production)

  • 추연경;권형주;오성택;김용란;김은집;김동욱;강창원;안병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61-368
    • /
    • 2013
  • 본 시험은 산란 초기에 있어 조단백질 수준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 산란 초기 사료 내 적정 단백질 수준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공시 동물은 22주령 Hy-Line 갈색계를 이용하여 동일한 면적의 케이지에 모두 4개 처리구에 9반복, 반복당 20수씩 총 720수를 선발하여 2주간 일반 시판 사료로 예비 사육하였으며, 처리구별 산란율과 체중이 유사하도록 재배치한 후 총 12주간 사육하며, 조단백질 수준이 난생산성 및 품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사료 섭취량의 경우 조단백질 수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조단백질 16% 처리구의 경우 다소 낮은 섭취량을 나타내었다. 산란율에 있어 조단백질 수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조단백질 16% 사료를 급여할 경우에도 산란율 95% 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결과를 보였다. 난중의 경우, 조단백질 19%를 제외하고, 조단백질 16~18%에서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조단백질 수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난질 항목에 있어 Haugh unit, 난각 두께 및 강도의 경우 조단백질 수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난황색에서 조단백질 수준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조단백질 수준이 증가할수록 난황색이 옅어지는 경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사양표준 2차 개정판(2012)에서 규정하고 있는 주요 아미노산(Lys, TSAA, Thr) 수준을 유지하고, 사료 섭취량이 105 g 이상의 조건이라면 조단백질 16% 수준으로도 초기의 난 생산성 및 품질에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