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gg Hatching

검색결과 429건 처리시간 0.026초

Early Life History of the Sevenband Grouper, Epinephelus septemfasciatus from Korea

  • Park, Jae-Min;Cho, Jae-Kwon;Han, Kyeong-Ho;Kim, Na-Ri;Hwang, Hyung-Kyu;Kim, Kyong-Min;Myeong, Jeong-In;Son, Maeng-Hyu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8권1호
    • /
    • pp.13-23
    • /
    • 2014
  • This study is conducted to monitor the morphological developmental features of the egg development, larvae and juvenile of Epinephelus septemfasciatus, the fertilized eggs were gotton using artificial insemination. Matured parents are collected from marine caged fish farms in Geomun-ri, Samsan-myeon, Yeosu-si, Jeollanamdo Korea in June 2012. The fertilized eggs were pelagic eggs containing one oil globule, and measured 0.81~0.89 mm ($0.85{\pm}0.04mm$, n=50) in diameter. In regard to rearing environment, the water temperature is $21.0{\sim}23.0^{\circ}C$ and the salinity is 32.0~33.2‰. Hatching was observed from 48 hours after fertilization, the mouth and anus of prelarvae was not opened but had egg yolk at newly hatched. 4 days after hatching, the mouth and anus of postlarvae was opened and began to eat Rotifer and was measured 2.40~2.49 mm ($2.45{\pm}0.03mm$ n=10) in total length. 12 days after hatching, postlarvae was measured 3.77~4.67 mm ($4.27{\pm}0.33mm$) in total length, its the second pole tide of dorsal fin and the first pole tide of pelvic fin was extended longitudinally. 71 days after hatching, juvenile was measured 40.5~45.4 mm ($42.6{\pm}2.04mm$) in total length. Seven bands were observed in body, and pole tides of dorsal and pelvic fins were shortened.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가 보라성게 (Anthocidaris crassispina)의 초기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on Early Development of Sea Urchin Anthocidaris crassispina)

  • 나오수;문상희;이치훈;박창범;김병호;진영석;허상우;감상규;이영돈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0권1호
    • /
    • pp.57-65
    • /
    • 2005
  • Effects of five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PAHs) constituents (naphthalene, fluorine, fluoranthene, benzo(a)pyrene, pyrene) on fertilization and early development of sea urchin egg, sperm and fertilized egg were investigated. The eggs, sperm and fertilized eggs were exposed to several concentrations of PAHs (1, 10, 100, 1000 and 10000㎍/L). The rate of fertilization and hatching decreased when the eggs and sperm were exposed to aqueous solution of PAHs. Also, Exposure of fertilized eggs with each PAHs did decrease survival and hatching rate. Concentration-dependent toxic effects on the rate of fertilization, hatching, survival and abnormality in A. crassispina were observed following exposure to PAHs (1, 10, 100, 1000 and 10000㎍/L). These data show that PAHs exposure decreased in fertilization success of sea urchin egg and sperm and producted abnormal embryo. It is plausible to suggest that PAHs had the potential to significantly reduce coastal recruitment of sea urchin.

Effect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on egg development and larval settlement of an invasive ascidian species, Herdmania momus (Savigny, 1816)

  • Park, Juun;Lee, Yun-Sik;Kim, Donghyun;Shin, Sook
    • 환경생물
    • /
    • 제38권4호
    • /
    • pp.625-633
    • /
    • 2020
  •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salinity on egg development and settlement of the ascidian Herdmania momus were investigated. Adult 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the Dodu Yacht facility in Jeju Island, Korea(33°30'30.54"N, 126°27'55.46"E) in August 2018. Egg development and larval settlement were observed and recorded at 8 h intervals using a stereomicroscope, under nine temperature (10, 13, 16, 19, 22, 25, 28, 31, and 34℃), and four salinity regimens (28, 30, 32, and 34 psu). The highest hatching rate (82.8±7%) was observed at 32 psu and 25℃ and the lowest hatching rate (1.0±2%) was at 34 psu and 13℃. The developmental rate (0.222±0.0994) was highest at 28 psu and 28℃, and lowest (0.016±0.008) at 30 psu and 13℃. The highest settlement success rate (77.1±5%) was at 32psu and 25℃ and the lowest(0.1±1.0%) was at 30psu, and 13℃. The rate of settlement(0.080±0.000) was highest at 28psu and 28℃, and lowest(0.013±0.000) at 30psu and 13℃. Both hatching and settlement success rates increased as temperature increased and tended to decrease beyond an optimal temperature range. Herdmania momus preferred 30-34 psu salinity and 22-25℃ temperature. This study provides baseline information about the life history of H. momus, and important data to control the damage caused by the increase in number and distribution of this invasive ascidian.

왜몰개 (Aphyocypris chinensis)의 산란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 (Influence of Water Temperature on Spawning of Chinese Bleak, Aphyocypris chinensis)

  • 이성규;최신석;염동혁
    • 생태와환경
    • /
    • 제34권4호통권96호
    • /
    • pp.337-341
    • /
    • 2001
  • 왜몰개, Aphyocypris chinensis의 산란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19, 22, 25, $28{\circ}^C$ 수온에서 2개월 동안 사육을 하면서 산란횟수, 생산된 총 수정란 수, 산란간격 및 부화율 등을 조사하였다. $19{\circ}^C$$25{\circ}^C$사이에서는 수온이 증가하면 할수록 산란횟수, 생산된 총 수정란 수 및 수정란의 부화율이 증가하여 $25{\circ}^C$에 노출된 암컷과 수컷에서 가장 많은 산란횟수, 난 생산 및 부화성공률과 가장 짧은 산란간격을 나타냈다. 그러나 $28{\circ}^C$에서는 $25{\circ}^C$보다 수온이 증가했음에도 오히려 4개의 실험수온 중에서 가장 적은 산란횟수, 난 생산 및 부화율과 가장 긴 산란간격을 나타냈다.

  • PDF

한강 수계 보통천에 서식하는 좀구굴치 Micropercops swinhonis의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 (Morphological of Development Eggs, Larvae and Juveniles Micropercops swinhonis in Botongcheon Stream Hangang River)

  • 박재민;한경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51-159
    • /
    • 2023
  • 이 연구는 한강 수계 보통천에 서식하는 좀구굴치의 초기생활사를 규명하고 근연종과 유연관계를 비교하였다. 좀구굴치의 수정란은 타원형으로 평균 난경은 장경 1.23 mm, 단경 0.85 mm 였다. 수온 20.6℃에서 부화 시간은 179시간이 소요되었다. 부화자어의 크기는 전장 3.82~4.08 mm로 입과 항문이 완전히 발달하지 않았다. 후기자어기는 부화 후 18일째 전장 7.97~8.43 mm로 척색말단 끝부분이 45°로 완전히 휘어졌다. 치어기는 부화 후 29일째 전장 9.83~10.8 mm로 지느러미 줄기 수는 정수에 달하였다. 연구 결과 좀구굴치는 난 크기, 부화자어 크기, 유영형태에서 근연종과 차이를 보였다. 후기자어 이행시기와 제1등지느러미 발달 시기는 비교한 근연종 중 가장 느렸고, 크기는 큰 특징을 보여 초기생활사에서 근연종과의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온에 따른 명태(Theragra chalcogramma) 수정란의 부화 패턴과 부화 자어의 기형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aring Water Temperature on Hatching Pattern and Larval Malformation of Walleye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Fertilized Eggs and Larvae)

  • 권오남;홍우석;박진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4권6호
    • /
    • pp.948-953
    • /
    • 2021
  • To find the optimal eggs to larvae transforming temperature of walleye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we investigated their hatching pattern, mortality, and larval deformities. Results showed that the hatching quality decreased as the water temperature increased and dropped sharply above 13℃. The highest hatching rate was achieved at 7℃, whereas the lowest was at 15℃. Dead eggs were not observed at 7℃; however, dead egg ratios were significantly high at 4.5℃ and above 13℃ (P<0.05). Mortality of larvae after hatching was not observed at 4.5℃, but was significantly high above 13℃. The DNA content of the larva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at all water temperatures; however, RNA content was the highest at 7℃ and was significantly low above 11℃. In addition, RNA/DNA ratio was the highest at 7℃. Larval deformities after hatching were low at 7-11℃ and higher at higher or lower water temperature. Therefore, the hatching index and larval health index of Walleye pollock eggs in this study show that 7℃ to 11℃ seems to be the optimal transforming water temperature range.

말쥐치, Thamnaconus modestus의 난발생과정과 부화자어의 형태발달 (Egg Development and Morphological changes of Larvae of the File Fish, Thamnaconus modestus)

  • 이승종;고유봉;최영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08-214
    • /
    • 2000
  • 성숙한 말쥐치 어미를 이용하여 인공수정에 의한 난발생과정과 성장에 따른 부화자어의 외부형태 발달을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정란은 무색 투명한 구형의 분리침성점착란이다. 난경은 0.63~0.67 mm (평균 0.65 mm, n =50) 이고, 난황내에는 약 20~30개 정도의 크고 작은 유구들이 존재하였다. 2. 수온 $21.0\sim23.0^{\circ}C$에서 수정 후 약 53 시간만에 부화하였다. 3. 부화 직후 자어의 전장은 2.07~2.20 mm로 입과 항문이 열려있지 않았고, 근절은 5~6+17~18=22~24개이며, 체색은 대부분 투명하였다. 4. 부화 후 3~4일의 자어는 천장 2.62~2.77 mm로 입과 항문이 열려있었으며, 소형 rotifer를 섭이하기 시작하였다. 5. 부화 후 5일의 자어는 전장 2.74~3.04 mm로 머리 뒤쪽부분의 등쪽에 제1등지느러미 원 기인 등지느러미 가시가 새롭게 돌출하고 있었다. 6. 부화 후 12~13일의 자어는 전장 3.78~3.99 mm로 등지느러미 및 뒷지느러미의 원기 가 형성되고 있었다. 7. 부화 후 20일의 자어는 전장 6.04~6.17 mm였고, 이 시기에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의 지느러미 줄기수는 각각 19~20개, 18~19개, 꼬리지느러미에는 약 9~10개가 관찰되었다.

  • PDF

쌀미꾸리(Lefua costata)의 산란기 특징 및 초기생활사 (Spawning Period Characteristics and Early Life History of the Eight Barbel Loach, Lefua costata (Pisces: Balitoridae))

  • 김형수;한미숙;고명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85-293
    • /
    • 2021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쌀미꾸리(Lefua costata)의 산란기 특징 및 초기발달과정을 밝히고자 2018년 1월부터 12월까지 강원도 강릉시 옥계면 주수천 일대에서 수행되었다. 산란기는 생식소성숙도 변화와 당년생 치어 출현, 난경의 분포 등을 고려하여 5월부터 8월로 추정되었고, 다회 산란형이었다. 성비는 암컷 1,117개체, 수컷 879개체가 채집되어 1 : 0.79였다. 산란기 동안 확인된 난경은 0.24~0.93 mm로 성숙란과 미성숙란이 함께 확인되었다. 성숙란의 크기는 0.71±0.02 mm, 포란수는 평균 1,786±818 (n=31)개였다. 난 발달과정을 관찰한 결과 수정란은 점착성을 띤 회색의 분리침성난으로 난경은 0.76±0.03 mm였다. 25℃에서 수정 후 34시간(50%) 후에 부화하였으며, 부화직후 전기자어 크기는 전장 2.7±0.11 mm였다. 부화 후 4일에는 전장 4.5±0.16 mm로 난황이 모두 흡수되어 후기자어로 이행하였다. 부화 후 20일에는 전장 11.5±0.67 mm로 모든 지느러미 기조가 정수가 되어 치어기로 이행하였다. 부화 후 100일에는 전장 49.8±2.60 mm로 외형과 체측무늬는 성어와 비교적 유사하였다.

산란종계 사료 내 이소플라본 및 Casein Phosphopeptide의 첨가가 종란 생산성 및 후기 난각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Isoflavone and Casein Phosphopeptide on Hatching Egg Production and Eggshell Quality in Aged Egg-Type Breeder Hens)

  • 김은집;유선종;김용란;안병기;강창원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5호
    • /
    • pp.671-682
    • /
    • 2006
  • 본 실험은 산란종계 노계에서 이소플라본과 CPP의 첨가 급여가 종란 생산성 및 후기 난각질에 미치는 영향과 Ca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56주령의 Hy-Line Brown 산란종계 암탉 360수와 수탉 36수를 공시하여 사료 내 Ca을 3.3% 및 3.6% 수준으로 하고 이소플라본과 CPP를 각각 0.2% 및 0.5% 수준으로 첨가한 총 6개의 실험사료(3반복)를 5주간 급여하였다. 주별로 사료섭취량을 조사하였고, 산란율과 난중은 매일 조사하였다. 주별로 생산된 종란으로부터 종란율과 부화율을 조사하였다. 실험사료 급여 후 생산된 계란을 반복구별로 수집하여 난각질 및 난각막 내 glycosaminoglycan과 uronic acid 분석에 이용하였다. 실험 종료 시 반복구별로 평균체중이 비슷한 개체를 선발하여 채혈 후 희생시킨 다음 경골을 적출하였다. 채취한 경골은 화학적 조성의 분석을 위한 시료로 이용하였고, 얻어진 혈액에서 화학성분 및 호르몬 분석을 실시하였다.사료섭취량, 난생산성 및 종란율에서는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사료 내 Ca 수준 및 이소플라본 첨가는 난각강도를 각각 유의하게 개선시킨 것으로 나타났으며, CPP의 첨가에 의해서는 특별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수정율 및 부화율에서도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골강도 및 경골 내 성분 조성에서 사료 내 Ca 수준 및 이소플라본과 CPP의 첨가 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혈중 Ca, P, estrogen 및 calcitonin 농도 역시 처리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에서는 사료 내 Ca 수준의 증가 및 이소플라본 같은 Ca의 이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성분을 적절히 활용함으로서 후기 난각질의 개선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종란 생산성에 대해서는 이소플라본 및 CPP의 첨가가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낙동납자루(Tanakia latimarginata)의 초기생활사 (Early Life History of Tanakia latimarginata)

  • 박재민;전형배;조혜인;조성장;석호영;한경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75-83
    • /
    • 2018
  • 이 연구는 우리나라 고유종인 낙동납자루의 초기생활사를 연구하여 분류학적 연구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낙동납자루는 수컷의 뒷지느러미 가장자리 검은색 띠가 짙고, 암컷의 산란관이 오렌지색을 띠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난의 형태는 방추형이었고, 난경은(장경${\times}$단경) $4.41{\times}1.44mm$였다. 부화에 소요되는 시간은 수온 $21.0^{\circ}C$일 때 126시간이 소요되었다. 부화 직후의 자어는 난황을 가지고 있으며, 평균 전장은 $5.91{\pm}0.18mm$ (n=5)였다. 부화 후 18일째에는 꼬리지느러미가 발달하였고, 평균 전장은 $8.02{\pm}0.08mm$ (n=5)였다. 부화 후 41일째 자어는 난황을 대부분 흡수하였고, 평균 전장은 $8.70{\pm}0.23mm$ (n=5)였다. 부화 후 80일째 자어는 지느러미 기조 수가 정수에 달하였고, 평균 전장 $12.6{\pm}0.28mm$ (n=5)였다. 지느러미 기조 수는 등지느러미 ⅲ.8개, 뒷지느러미 ⅲ. 9~10개, 꼬리지느러미 19개, 측선비늘 수 32~35개로 어미와 유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