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fflorescence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5초

석분슬러지와 광촉매제를 사용한 콘크리트 보도블록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Concrete Sidewalk Block Manufactured Using Stone Powder Sludge and photocatalytic agent)

  • 정용욱;이승한;최종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4237-4244
    • /
    • 2015
  • 본 연구는 보도블록 제조시 표면 연마 과정에서 발생되는 석분슬러지의 재활용 및 광촉매제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보도블록의 백화 특성을 검토한 것으로 석분슬러지 사용량에 따른 보도블록의 품질특성과 광촉매제의 혼입률 및 도포횟수 등에 따른 보도블록의 백화, 대기정화 등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석분슬러지를 재활용한 콘크리트 보도블록은 납, 6가크롬, 카드뮴, 수은 등의 중금속이 불검출 되어 재활용이 가능하며, 콘크리트 보도블록에 혼입사용 할 경우 흡수율 및 휨강도 등 KS 기준 값을 충족시킬 수 있는 혼입량은 20%가 최적임을 나타내었다. 석분슬러지 및 광촉매제를 적용한 콘크리트 보도블록은 흡수율 5.4%, 휨강도 5.2MPa로 품질기준을 만족하였다. 또한 광촉매제의 사용은 $-5^{\circ}C$의 저온환경 조건에서도 백화가 발생되지 않았으며, 대기정화 성능 70%, 촉진내후성 시험후 대기정화 성능시험 68%의 기능성을 나타내었다.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의 염풍화 특성과 메커니즘 해석 (Salt Weathering Characteristics and Mechanism Interpretation of the Five-Storied Stone Pagoda in Tapri-ri, Uiseong)

  • 이미혜;이명성;이재만;전유근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33호
    • /
    • pp.57-67
    • /
    • 2012
  •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은 박리박락, 입상분해, 표면변색 등 물리적 및 화학적 훼손이 발생하여 석탑의 표면이 심하게 훼손되어 있으며, 특히 주요 훼손영역에서는 염에 의한 백화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석탑에서 발생한 염의 SEM-EDS 분석 및 X-선 회절분석 결과, 대표적인 염은 석고로 나타났으며, 일부 영역에서 타라나카이트도 확인되었다. 석탑과 동일한 암석을 선택하여 염풍화 실험을 실시한 결과, 암석의 표면은 염 결정 성장과 함께 염에 의한 백화현상이 발생하였으며 내부는 미세균열 및 공극을 따라 염 수용액이 이동하고 결정화되면서 풍화(박리박락, 입상분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투수 콘크리트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Porous Concrete)

  • 채창우;정문영;이형우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9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I)
    • /
    • pp.166-171
    • /
    • 1999
  • Porous concrete contains about 20% voids after compaction so that it has high permeability which secures underground water resources. It is introduced in domestic since 1980' but has problems such as lack of optimized mixture, low strength and durability, efflorescence and other defects, etc. In this study, several mixture were designed based upon site works, and test specimens for compressive strength, tensile strength, flexual strength and permeability, were prepared in a laboratory. After 28days of curing, every performance was tested to find optimum mixture. The mixture was proposed as 380kg/㎥ of unit cement weight, 32% of W/C 10∼13mm of aggregate.

  • PDF

국내 목조건축물 단청의 방염제 처리에 따른 영향 및 탐지방법 연구 (Flame Retardant Treatment's Effects and Detection Method on Wooden Buildings' Pigment Layer (Dan-cheong))

  • 김대운;김철웅;한성희;정용재;한규성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4호
    • /
    • pp.393-406
    • /
    • 2014
  • 방염제 도포 후 나타나는 목조건축물의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통계자료 분석 및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방염제 도포 후 백화현상과 단청 박락현상이 목조건축물에서 가장 빈번히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은 기둥, 연목, 가구부재 등 방염제의 도포가 상대적으로 많이 이루어지는 건축물의 상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현장에서 방염제를 도포한 건물과 도포하지 않은 건물을 파악하기 위해 P-XRF를 이용하여 총 20개 종의 원소를 분석하였다. 이 중 현장의 모든 방염제 처리구에서 황 원소(S)가 나타났기 때문에 이를 방염제 도포의 탐지자로 설정하였다. 이를 통해 현장에서 방염제의 도포를 확인할 수 있는 비파괴분석을 방법을 정립할 수 있었다. 실제 송광사(전남 순천)의 목조건축물을 대상으로 한 잔류성분분석을 통해 실제 현장적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카본아미노실리카 블랙 고성능감수제(CASB-SP)를 사용한 블랙콘크리트의 Mock-up Test 및 현장적용 (Mock up test and Field Application of Black Concrete Applying Superplasticizer containing Carbon Amino Silica Black)

  • 홍석민;한민철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627-633
    • /
    • 2013
  • 최근에는 생활수준 향상으로 인간친화적인 공간창조 등 의장적인 측면에서 다양한 요구가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주태권도원의 2개의 블랙콘크리트 교량에 기존연구에서 얻어진 카본아미노실리카블랙 고성능 감수제(CASB-SP)를 적용하기 위한 Mock up test와 현장적용사항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하였다. Mock up test 결과 일반적인 품질 항목은 양호하게 나타났고, 백화방지와 관련한 발수제 도포는 에폭시계가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현장적용에 활용하였다. 현장적용 결과 역시 기초적 특성은 모두 양호 하였고, 검정색 색상구현도 양호하였는데, 기존의 카본블랙 분말 색소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시공성, 품질 모두 양호하면서 30 % 정도의 저렴한 경제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카본 아미노 실리카 블랙 기반 고성능 감수제가 블랙 컬러 콘크리트의 공학적 특성 및 발색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rbon Amino Silica Black Contained Superplasticizer on the Engineering Properties and Chromaticity of Black Color Concrete)

  • 한민철;홍석민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권3호
    • /
    • pp.181-18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CASB-SP가 블랙 콘크리트의 기초적 물성 및 발색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실험변수로서 CASB-SP와 기존 Carbon black의 두 착색제 종류에 따라 치환율을 변화시키고 이후 백화방지를 위해 4수준의 발색제를 변수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전반적으로 CASB-SP 혼입율이 증가할수록 슬럼프 및 공기량이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고, 응결시간은 0.75% 이상 사용시 기존 Plain에 비해서 현저히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블리딩은 CASB-SP 혼입율이 증가 할수록 감소되었다. 압축강도는 CASB-SP 혼입율이 증가할수록 압축강도가 증가하였고, 발색도는 CASB-SP 혼입율이 증가할수록 검정색 발현이 선명해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발색제의 사용에 따라 백화가 방지되어 안정적인 색상유지가 가능해졌다. 이상을 종합하면, 블랙 콘크리트에 CASB-SP를 사용할 경우 Carbon Black에 비해 콘크리트의 품질향상 차원에서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고, CASB-SP 혼입율은 콘크리트의 품질을 고려하여 0.5% 혼입하는 것이 가장 양호한 것으로 분석된다.

공용중인 3-Arch터널의 열화조사 및 원인분석 (Analysis of cause and deterioration about using 3-Arch tunnel)

  • 이유석;박성우;황인백;신용석;김순곤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97-105
    • /
    • 2009
  • 3-Arch터널 시공초기인 1990년대 중반에 시공된 4개소의 3-Arch터널을 대상으로 열화발생여부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4개 터널 모두 중앙기둥측 상, 하선 아치부에서 발생형태가 유사한 종방향 균열이 조사되었다. 4개 터널 줄 3개소의 터널에서는 종방향 균열의 발생빈도가 높고 1개의 터널에서는 종방향 균열의 발생빈도가 낮아 이 2개군의 시공과정상 차이점을 분석하였으며 비파괴시험 및 정밀육안조사, 지반조건이 취약한 1개의 터널을 대상으로 안전성평가를 실시하여 이러한 열화들의 원인과 이에 따른 안전성여부를 판단하였다. 그 결과 안전성은 확보되었으며 중앙터널 기둥측 상, 하선아치부에 발생한 열화는 중앙터널굴착에 앞서 선시공되는 상, 하선 콘크리트라이닝의 철근배근불량과 이후의 시공단계인 중앙터널 굴착시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면 포장 및 바닥판 손상 방지를 위한 내부 침투수 처리시스템 개발 (A Development of the Trapped Water Drainage System to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Deck Slab and Pavement.)

  • 조서연;한범성;이상달;이성수;이상순;이일용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175-1180
    • /
    • 2001
  • Reinforced concrete deck slabs are directly affected by traffic loads and they are also susceptible to weather-related problems, such as cracking, reinforcement corrosion, spatting, scaling, delamination, leakage, efflorescence and so on. Some of these defects are caused by water which seeps through pavements and trapped between pavements and deck slabs. For durability of reinforced concrete deck slabs and pavements, it is very important to protect deck slabs and drain the trapped water out. To develop the trapped water drainage system, the following studies have been performed in Korea Highway Cooperation: related researches are reviewed; for six bridges, deck slabs are thoroughly investigated; new system to effectively drain the trapped water out is proposed; the proposed system is installed and evaluated. The proposed system is proved to be effective to drain the trapped water out and is expected to increase the durability of reinforced concrete deck slabs.

  • PDF

지하구조물용 신축이음장치의 방수성능에 관한 실험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Waterproofing Performance of Expansion Equipment for Underground Structures)

  • 이영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4302-4309
    • /
    • 2012
  • 지하구조물에 적절한 신축이음을 두지 않게 되면, 신축량에 대응하지 못해 구조물에 구조적 균열과 누수로 인한 콘크리트의 백태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방수성능과 내구성이 우수한 새로운 지하구조물용 신축이음 장치에 대한 성능을 검증하였다.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지하구조물 신축이음장치의 간격을 설정하고 개발된 신축이음장치의 적정 신축량을 확인하였다. 또한, 검증실험결과 개발된 신축이음장치의 수축 신장에 따른 피로 기준을 만족하였으며 방수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