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fficacy Expectation Promotion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2초

효능기대증진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건강증진행위.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농촌 중년여성을 중심으로- (Effects of an Efficacy Expectation Promotion Program on Self-Efficacy,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for Rural Middle Age Women)

  • 강나연;김진순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5-23
    • /
    • 2008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effects of a Program Promoting Efficacy Expectation, as to whether the program improved self-efficacy,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for rural middle-aged women. The program was based on Bandura's self-efficacy theory and Pender's health promoting behavior theory. Method: The research design was a quasi experimental,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25 to December 7, 2000. The participants were 40 to 59 year old women who resided on Je-ju island. Among the 83 participants, 43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st to the control group. Results: The level of self efficacy and the degre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t=12.82, p=0.0001; t=14.13, p=0.0001). Also, the level of quality of life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12.02, p=0.0001). Conclusion: The Efficacy Expectation Promotion Program w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improving self-efficacy,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Therefore, when nurses are planning programs directed at improv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rural middle aged women, they should consider the concept of self-efficacy.

택시기사들의 흡연실태 및 금연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성공기대 (A Study on Taxi Drivers' Smoking Behavior, Self-efficacy and Expectation Level of Success in Smoking Cessation)

  • 손행미;김춘미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517-526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axi drivers' smoking behavior, self-efficacy and expectation level of success in smoking cessation. It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s in health promotion programs.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71 taxi drivers in Seoul and its metropolitan area.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asking smoking history, smoking behaviors, health problem, stages of change for smoking cessation, self-efficacy and the expectation level of success in smoking cessation.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Mann-Whitney U test, Kruskal-Wallis test and Cronbach's a. Results: Of the taxi drivers, 83.8% were current smokers. Stages of change were as follows: 45.8% were in the precontemplation stage, 26.2% in the contemplation stage, 13.7% in the maintenance stage, 12.2% in the preparation stage and 1.5% in the action stage. In addition. 20.3% of the subjects reported health problems such as hypertension, heart disease, diabetes mellitus and respiratory disease. The expectation level of success in smoking cessation was positively related with self-efficac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xpectation level of success in smoking cess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cigarettes per day and nicotine dependency. In addi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number of cigarettes per day, duration of smoking (years) and nicotine dependenc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axi drivers' health problems and smoking rate were serious. Therefore more systematic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smoking cessation should be developed and executed by health care specialists at individual taxi companies.

  • PDF

효능기대증진프로그램을 적용한 운동요법이 자기효능과 대사에 미치는 영향-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 환자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Exercise Therapy Applied in an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on Self-Efficacy and Metabolism.- in NIDDM(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Patients -)

  • 김춘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32-142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exercise therapy applied in an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based on the self-efficacy theory of Bandura(1977) would increase self-efficacy and metabolism in NIDDM patients. The study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post-test quasi-experimental desist The exercise therapy applied in the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was composed of a staged exercise program, a small booklet relating personal experience with diabetes mellitus and a telephone coaching program on performance accomplishment. vicarious experience and verbal persuasion, which are all induction modes of efficacy expect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wenty eight NIDDM patients who received follow-up care regularly through the out-patient department of endocrine medicine in one general hospital which had a diabetic clinic. Fourteen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fourteen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exercise therapy applied in the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from three to five times per week for four weeks and the control group did not have the progra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X²-test, t-test, paired t-test, and Cronbach's Alpha using SPSS /PC/sup +/.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Experimental group had higher efficacy score than control group(t=5.98, p=.00).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t in the efficacy score before exercise therapy applied in the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and after in experimental group(t=-6.42, p=.00). 2. Experimental group did not have lower level of glucose metabolism than control group(FBS : t=.32, p=.75, HbAlC : t=.60, p=.55, pc 2hrs. glucose : t=-.29, p=.78).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t in the aunt of glucose metabolism before exercise therapy applied in the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and after in experimental group(FBS : t=3.63, p=.003, HbAlC t=4.20, p=.00, pc 2hrs. glucose : t=1.93, p=.001). 3. Levels of lipid metabolism were partly a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triglyceride t=-1.87, p=.07, HDL cholesterol : t=-.29, p=.77. body weight : t=1.78, p=.09, Total cholesterol : t=-2.17, p=.04). And, There was partly a significant different in the amount of lipid metabolism before exercise therapy applied in the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and after in experimental group(triglyceride : t=2.50, p=.03, HDL cholesterol : t=-.43, p=.67, body weight : t=5.34. p=.00, Total cholesterol : t=2.26, p=.04).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exercise therapy applied in an efficacy expectation promoting program w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increasing self-efficacy and metabolism.

  • PDF

대사증후군 노인의 운동지속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on maintenance of exercise among elderly with metabolic syndrome)

  • 이은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2호
    • /
    • pp.139-14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대사증후군 노인의 운동유지 여부에 따라 운동유지에 대한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총 136명이며, 자료의 수집은 대사증후군 노인의 운동유지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운동유지, 운동기대감, 운동 관련 환경, 운동 사회적지지, 운동자기효능감에 대한 도구로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0.0 program을 사용하여 requency, X2, t-test, Logistic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령, 운동기대감, 운동자기효능감이 이들의 운동유지 영향요인임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대사증후군 노인의 운동유지를 위해서는 내적 동기에 해당하는 자기효능감을 함양시키고 운동기대감을 증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대사증후군 노인을 위한 건강증진프로그램을 계획할 때 운동에 대한 결과를 알려주고 이에 대한 이점을 부각시켜 스스로 운동을 잘 해낼 수 있도록 계획해야 하는 데에 본 연구결과가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음이 기대된다.

기대확신모형(ECM)에 의한 인도네시아에서 K-Pop 소셜 미디어의 사용 연구 (Study on the Use of K-Pop Social Media in Indonesia based on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 남종훈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175-184
    • /
    • 2023
  • 한류는 국내에서 세계적인 현상으로 발전하고 시공간 제한이 없는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로 국제화가 된다. 본 연구는 인도네시아에서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한류 홍보에 대한 지속적 사용의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대확신모형을 적용하여 개인의 혁신적인 성향을 나타내는 자기효능감과 소셜미디어가 보여주는 속성인 지각된 유희성이 소셜미디어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과 확신 그리고 만에 이은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모형의 적합도와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지각된 유희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효능감은 지각된 유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확신은 지각된 유용성과 만족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유용성은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만족은 지속적 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 이론이 적용된 건강행위 관련 연구의 분석 (A Review of Research on Self Efficacy Theory Applied to Health Related Behavior)

  • 구미옥;유재순;권인각;김혜원;이은옥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78-302
    • /
    • 1994
  • This article reviewed and analyzed 39 studies on self efficacy theory applied to health related behavior. The following analysis was done : 1) study subjects 2) measurement tools 3) analysis according to the type of research design(intervention re-search, explanatory research). Som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 The study subjects were both healthy people in various developmental stages and patients with various illnesses. The health related behaviors examined in the studies were also various including exercise, smoking cessation, self care behaviors, etc. The measurement of self efficacy was done with specific tools in most studies. In the tools, activities that measured the health behavior domain were listed according to increasing difficulty or contexual arrangement or in combination of both of them The analysis of 17 intervention research studies showed that generally the intervention program increased the self efficacy level of subjects and then the increased strongly self efficacy influenced behavioral changes. Most studies used more than one intervention method for increasing the self efficacy level. these were derived from sources of self efficacy suggested by Bandura. The analysis of 21 explanatory research studies showed that self efficacy strongly influenced behavior change and persistence. The major independent variable to affect the self efficacy was performance accomplishment in the past. Self efficacy explained more of the variance in health related behavior when it was applied with the variables in the health belief model, health promotion model, and reasoned action theory. On the basis of the above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 1. For a desirable research design, self efficacy should be the intervening variable. That is, desirable designs would include intervention-self efficacy-behavior in intervention research studies and antecedent-self efficacy-behavior in explanatory research studies. 2. More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ies are needed to test the effect of self efficacy on persistence in health related behavior. 3. Studies comparing the effects of intervention methods are needed for each health related behavior, subject group, and context. 4.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reliable, valid measurement tool for self efficacy for each health related behavior. 5. Studies to differenciate the effect of self efficacy from that of outcome expectation on the health related behavior are necessary. 6. The antecedents of self efficacy should be investigated further.

  • PDF

미국 노인의 낙상에 대한 두려움 예측모형에 관한 연구 (A Prediction Model of Fear of Falling in Older Adults Living in a Continuing-Care Retirement Community(CCRC) in United States)

  • 정덕유
    • 한국노년학
    • /
    • 제29권1호
    • /
    • pp.243-258
    • /
    • 2009
  • 배경: 낙상은 노인의 가장 일반적이고 심각한 건강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낙상은 중요한 신체적 심리적 영향을 주며 결과적으로 신체적 행동약화나 기능의 위축, 사회적 기능 약화 등을 야기시킨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낙상 후의 심리적, 정신적 부분은 간과되어져왔다. 낙상 후 노인들이 심리적 또는 정신적으로 보고하는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다시 낙상을 할 것이라는 두려움으로 나타났다. 목표: 이 논문은 노인의 낙상에 대한 두려움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모델을 테스트하는데 있다. 또한, 낙상에 대한 두려움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인 노인의 운동과 운동에 대한 신념, 운동에 대한 기대감의 관계를 연구함에 있다. 방법: 미국 메릴랜드주 볼티모어시 지역에 거주하는 노인149명을 대상으로 2004 11월부터 2005년 3월까지 수집된 2차 자료를 이용해서 결과가 분석되었다. 참가 가능 노인으로는 본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요양시설에 거주하며, 인지적으로 이상이 없고 (MMSE>20), 65세 이상의 나이를 가진 노인을 대상으로 한다.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서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12.0을 통해 빈도분석과 상관분석 등이 사용되었고, 모델 평가를 하기 위해서 AMOS프로그램을 통해 path analysis를 시행하였다. 결과: 모델 내 49개의 path중에 13개의 path가 유의하게 나타났고 모델의 22%가 설명되어졌다. 모델의 확실성은 chi-square를 통해서 조사되었고 결과 모델의 확실성이 입증되었다. 또한, CFI 는 0.99 RMSEA는 0.00으로 모델을 지지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특히, 성별, 과거 낙상경험, 운동은 노인의 낙상에 대한 두려움을 설명하는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논의: 본 연구는 노인의 낙상에 대한 두려움을 총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모델을 제시한다. 또한, 운동에 대한 신념과 결과에 대한 기대치가 노인의 운동을 설명하는 직접적 변수로, 낙상에 대한 두려움을 설명하는 간접적인 변수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노인들이 낙상의 두려움을 줄이기 위해 적극적으로 운동에 참여하도록 하는데 중요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

기술 준비도와 소비자 준비도가 Self Service Technology 사용동기와 태도 및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 and Consumer Readiness on SST Usage Motivation, Attitude and Intention)

  • 심현숙;한상린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4권1호
    • /
    • pp.25-51
    • /
    • 2012
  • 정보기술의 활용이 마케팅 전략의 중요한 부분으로 부각되는 시장 환경에서 본 논문에서는 패스트푸드 레스토랑에서 주문시 Self Service Technology(SST)를 사용 할 때 기술준비도와 소비자 준비도에 따른 사용동기, 태도, 사용의도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Parasuraman이 TRI를 개발한 이후 SST와 TRI를 접목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지만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소비자 준비도 역시 SST사용에 대한 소비자의 동기와 태도 및 의도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패스트푸드 레스토랑에서 터치스크린 SST를 도입함에 있어 소비자의 기술준비도와 소비자 준비도가 Dabholkar & Bagozzi(1994)가 제안한 SST 핵심태도모델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이때 모든 소비자와 상황적 요인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고자 자아의식, 상호작용욕구, 기술에 대한 두려움 등의 소비자특성과 지각된 대기시간, 지각된 과밀 등의 상황적 요인에 따른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 AMOS 18.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델로 분석하였고 연구 결과 기술준비도 중 낙관성은 사용용이성과 재미 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성은 사용용이성과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할의 명확성, 능력 및 자아 효능감으로 구성된 소비자준비도는 사용용이성, 성과와 재미 등 모든 SST사용동기 요소에 기술준비도보다 강하고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SST 핵심태도모델 내의 SST 사용 동기, 사용 태도 및 사용의도 간의 관계에서 소비자 특성과 상황적 요인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지각된 과밀을 제외한 모든 변수들이 조절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터치스크린 SST를 도입하려는 기업에 실무적 제언을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