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ffective e-Learning System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24초

지식경영 시스템을 활용한 신규간호사 e-Learning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Learning Program for Novice Nurses before Beginning to Work in a Hospital Using KMS(Knowledge Management System))

  • 송영신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82-89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an e-Learning Program designed to enhance novice nurses's performance ability Method: The e-Learning program was designed for novice nurses before beginning to work in a hospital using a KMS(Knowledge Management System). This study was carried out from February 2006 to April 2007. The program had progressive steps including design, pilot test & modification, contents development, program application and evaluation. After the program design and pilot testing, the learner's satisfaction was analyzed. Result: The program site is http://kms.emc.ac.kr titled, 'Cyber Education Center'. The sixteen part course has been developed as follows: blood sugar test, skin test, insulin test 1, insulin test 2, blood culture, blood sampling, heat therapy, cold therapy, glycerin enema, preparation of operation, oxygen therapy, suction technique, transfusion, foley catheterization and aseptic technique. The overall learner's satisfaction score was 4.08 out of 5 points. Conclusion: E-Learning could be useful for education and nursing work. This method may be effective for clinical nurses.

  • PDF

학습자 수준에 맞는 차별적 콘텐츠 구성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Differential Contents Organization System based on Each Learner's Level)

  • 허선영;김은경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8A권6호
    • /
    • pp.241-248
    • /
    • 2011
  • 많은 학습시스템이 학습효율을 높이기 위해 자기 주도적 학습을 적용하고 있다. 동일한 수준의 학습자라 할지라도 학습 내용을 이해하는 정도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제공된 콘텐츠를 이해하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정해진 난이도와 학습과정에 따라 획일적으로 학습이 진행되는 방법은 효율적인 학습효과를 나타내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런타임시 변화된 학습자의 수준에 적합한 학습 콘텐츠를 재구성할 수 있도록 SCORM의 기능을 확장하고, 이 확장된 SCORM을 기반으로 DCOS(Differential Contents Organization System)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DCOS는 학습자의 수준에 적합한 학습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재구성하기 위하여, 학습자의 수준 이외에 학습 콘텐츠의 구성단위인 학습객체 간의 관련성 및 학습 목표 달성 정도를 기반으로 콘텐츠를 재구성하도록 하였다. 각 30명의 학생이 기존 시스템과 DCOS에서 학습한 결과, DCOS에서 학습한 학습자들의 평균점수와 시스템 만족도가 전체적으로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블렌디드 러닝 기반의 학습관리시스템에서 협력학습 지원 모듈 설계 방안 (A Design of Collaborative Learning Module in Learn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Blended Learning)

  • 구진희;최완식;이규녀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732-737
    • /
    • 2008
  • e러닝이 새로운 교육 형태로 인식되면서 학습자들의 교육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학습의 전반적인 활동을 관리해주는 학습관리시스템(Learning Management System)의 개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학습관리시스템은 온라인상에서 수강신청부터 학습은 물론 학습자의 학습기록 및 추적, 성적 평가 등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학습자들이 주도적으로 학습을 계획하고 평가 기준을 세우며 이를 통해 동료 학습자들과 협력할 수 있는 시스템은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e러닝이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으로 인식되고는 있으나 여전히 전통적인 면대면 수업 방식에서의 상호작용 효과는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 논문에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환경을 모두 지원하는 블렌디드 러닝 기반의 학습관리시스템에서 학습자들이 주도적으로 그룹형성 및 학습계획, 상호평가 등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협력학습 지원 모듈을 제안하여 기존의 LMS 기능에 토론 및 팀프로젝트 등을 원활히 할 수 있어 효과적인 협력학습 활동을 기대할 수 있다.

  • PDF

학습관리시스템을 위한 사례 기반 응집도를 이용한 학습객체 자동 분류 (Automatic Classification of Learning Objects Using Case-based Cohesion for Learning Management System)

  • 김형일;윤현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2785-2791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학습 콘텐츠의 효과적인 관리와 재사용을 위한 학습객체 자동 분류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은 학습객체들의 발생 사례를 이용하여 학습객체들의 응집도를 생성하고, 응집도를 기반으로 학습객체들의 연관성을 측정하여 학습객체들의 자동 분류를 수행한다. 제안한 기법을 학습관리시스템에 적용하면 학습 콘텐츠의 개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시뮬레이션에서 확률 기반 기법의 평균 정확도는 28.20%로 나타났고, 응집도 기반 기법의 평균 정확도는 56.38%로 나타났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이 학습객체 자동 분류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Knowledge Management and E-learning for Organizational Culture

  • Gupta, Omprakash K.;Lee, Yuan-Duen;Wang, Yuan-Ching;Tein, Shih-Chun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6권1호
    • /
    • pp.137-148
    • /
    • 2009
  • Knowledge management becomes the key point for organizations to survive and maintain competitive advantages in the knowledge economy era. E-learning plays a vital role for the organizational learning. How to share the experience of knowledge and the success of the knowledge management has great connection with the organizational culture.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ors of effective E-learning as well as its relation to the organizational culture. A successful e-learning system should not only aim at different statistical variables but emphasize on : course contents, variety of teaching methods and establishes a stable network environment. A stable E-learning platform and speedy bandwidth is a must to achieve the non-barrier communication and built an 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 To achieve success in E-learning, it is not necessary to divide the organizational culture to strengthen the course content multiplication and plans the E-learning supervisory work by the sole responsibility unit. It should establish an ample teaching frequency width and platform and also must establish the appropriate study network frequency width and hardware equipment to achieve the best E-learning effect. The interaction in different organizational culture in adapting E-learning, those Ad-hoc and Marketing Culture, are mostly influence by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have more interactive content. Those in Clan and Hierarchy Culture are affected by traditional conception and lack of interaction. Meanwhile, under the cost consideration, Clan and Ad-hoc Culture on the dynamic side prefer to spend more cost on E-Learning while the stable side, Hierarchy and Marketing culture are willing to pay more expenses on E-Learning.

  • PDF

지식 기반 교육컨테츠 저작시스템 (Knowledge Based Authoring System for Educational Contents)

  • 장재경;김호성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57-65
    • /
    • 2004
  • e-Learning 에서 교수-학습자들 간에 형성되는 지식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효과적인 교수 학습을 수행할 목적으로 교수자들이 교수 설계 이론에 따른 다양한 강의틀에 교육 컨텐츠를 보다 쉽게 저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SCORM 표준에 따라 학습객체 간 관계를 설정하여 저작된 컨텐츠는 학습자가 학습내용을 개념화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시맨틱 웹의 RDF를 적용하여 학습객체 간의 관계를 설정함으로써 지식맵을 구성하였고, 교수자가 해당 분야에서 사용되는 단어를 등록하여 일종의 어휘사전을 만들 수 있는 온톨로지를 도입하였다. 학습자의 이해도와 성취도를 고려한 개별학습을 제공하기 위하여 도입된 상호작용점을 따라 학습자마다 개별적인 학습맵이 구성되어 학생 개인의 학습활동과 이해도를 평가할 수 있다.

  • PDF

이러닝 학습자들의 개인·심리적 요인이 이러닝 학습효과와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rsonal and Psychological Factors of Learners on e-Learning Effect and Intention to Reuse)

  • 배재홍;신호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283-289
    • /
    • 2019
  • 본 연구는 이러닝 학습자의 특성을 개인적 요인과 심리적 요인으로 분류하여, 이러한 학습자의 특성이 이러닝 학습효과와 재이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상북도에 소재한 Y대학과 K대학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학습자의 학년, 자제력, 집중력, 자기효능감이 이러닝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의 학년, 이러닝 학습경험, 자기효능감, 학습효과가 이러닝 재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대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콘텐츠 개발과 스스로 학습과정을 관리하고 학습을 진행할 수 있도록 시스템 설계와 교수자의 관리적인 역할이 중요시 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러닝의 학습효과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활용방안과 이러닝 학습자 특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효과적인 e-NIE 수업설계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ive Instructional Design using e-NIE(electronic-Newspaper In Education))

  • 박지연;전석주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27-134
    • /
    • 2010
  • 지식정보사회에서 좋은 수업이란 학습자 스스로 학습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게 하는 수업이다. 이런 수업을 하기 위해서는 추상화, 일반화된 내용으로 구성된 교과서에 있는 학습 내용이 아니라 학습자가 쉽게 받아들일 수 있는 구체적인 학습 내용이 필요하고, 그 학습내용을 전달하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매체를 찾아야 한다. 신문은 매일 다양한 분야의 새로운 정보가 제공되고, 이를 활용하면 유익하고 실용적인 학습이 가능하기 때문에 '살아있는 교과서'로 불린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패러다임의 변화는 언제(anytime), 어디서나(anywhere) 누구나(anyone)원하는 수준의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e-learning 체제와 인터넷 신문(전자 신문)을 등장하게 했다. 이러한 변화된 환경은 NIE의 방법과 영역을 더욱 넓게 확대시켜 e-NIE로 발전시켰고, e-NIE는 수업목표를 최대한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돕는 매체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수업설계모형에 맞게 e-NIE를 활용한 수업안을 작성하여 제시하였다. 수업 설계시 수업목표를 달성하는데 촉진제 역할을 하도록 e-NIE를 투입하였고, e-NIE를 활용하는 활동과정에서 다양한 고등사고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수업안을 작성하였다.

  • PDF

An Investigation of Cloud Computing and E-Learning for Educational Advancement

  • Ali, Ashraf;Alourani, Abdullah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11호
    • /
    • pp.216-222
    • /
    • 2021
  • Advances in technology have given educators a tool to empower them to assist with developing the best possible human resources. Teachers at universities prefer to use more modern technological advances to help them educate their students. This opens up a necessity to research the capabilities of cloud-based learning services so that educational solutions can be found among the available options. Based on that, this essay looks at models and levels of deployment for the e-learning cloud architecture in the education system. A project involving educators explores whether gement Systems (LMS) can function well in a collaborative remote learning environment. The study was performed on how Blackboard was being used by a public institution and included research on cloud computing. This test examined how Blackboard Learn performs as a teaching tool and featured 60 participants. It is evident from the completed research that computers are beneficial to student education, especially in improving how schools administer lessons. Convenient tools for processing educational content are included as well as effective organizational strategies for educational processes and better ways to monitor and manage knowledge. In addition, this project's conclusions help highlight the advantages of rolling out cloud-based e-learning in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which are responsible for creating the integrated educational product. The study showed that a shift to cloud computing can bring progress to educational material and substantial improvement to student academic outcomes, which is related to the increased use of better learning tools and methods.

코로나19 기간 중의 비대면 온라인 교육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방안 연구: ITO를 중심으로 (Effective communication method for e-learning under the COVID-19 pandemic: Focusing on ITO)

  • 이돈희;이동현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67-82
    • /
    • 2021
  • 코로나19으로 인해 준비되지 않은 상황에서 전면적인 비대면 온라인 교육을 실시중인 대학가에서는 효과적인 학습자-교수자 상호간 커뮤니케이션 방안을 찾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비대면 온라인 교육의 특성을 이해하고, 수요자의 특성에 따른 요구사항의 차이를 알아둘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학습 또는 의사전달 측면에서 중요하거나 선호하는 커뮤니케이션 유형 및 방법 간의 상호관련성을 카이제곱(chi-square) 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자 특성별로 중요도/선호도가 유의하게 다른 것으로 입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