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elgrass bed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9초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붕장어 (Conger myriaster)의 식성 (Feeding Habits of Conger myriaster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 허성회;곽석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665-672
    • /
    • 1998
  • 1994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광양만 대도주변 잘 피밭에서 채집된 붕장어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붕장어의 주요 먹이는 어류, 새우류 및 게류였다. 그밖에 옆새우류, 복족류, 두족류, 갯지렁이류, 곤쟁이류, 쿠마류, 등각류 등이 위내용물 중 발견되었다. 붕장어가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조성이 점차 변하였다. 체장이 작은 붕장어는 새우류, 어류, 게류 그리고 옆새우류를 고르게 먹었으나, 체장이 증가하면서 옆새우류와 새우류의 점유율은 점차 감소하였고, 어류의 점유율은 점차 증가하였다. 붕장어는 계절에 따른 환경 생물의 조성과는 관계없이 특정 생물을 먹이로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어류는 다른 환경 생물에 비해 잘피밭 환경에서 출현량이 많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연중 지속적으로 선택되는 먹이생물이었다.

  • PDF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게류 군집의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 of Crab (Crustacea : Decapoda) Community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Korea)

  • 허성회;안용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35-544
    • /
    • 1998
  •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게류 군집의 종조성과 계절 변동을 알아보기 위해 1994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1년간 소형 저인망을 이용하여 대도 주변의 잘피밭에서 게류를 매월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잘피밭에서 채집된 게류는 12과 21종이었다. 우점종은 Charybdis Japonica, Telmessus acutidens, Hemigrapsus penicillatus, Pugettia quadridens로 나타났다. C. japonica와 T. acutidens 를 제외한 대부분의 게류는 갑각폭이 25mm 이하의 작은 크기 였다. 출현 종수의 계절 변동을 보면, 겨울에는 적은 종수가 출현하였으나, 나머지 계절에는 비교적 많은 종수가 출현하였다. 채집 개체수 및 생체량의 경우 수온이 높은 시기에 많은 출현량을 보인 반면, 수온이 낮은 시기에는 적은 출현량을 보였다. 잘피밭에서 채집된 게류는 출현 양상에 따라 주거종, 계절종 및 일시방문종으로 나눌 수 있었다. 주간 채집과 야간 채집을 비교한 결과, 야간에 더욱 다양하고 많은 게류가 출현하였다.

  • PDF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 유어의 식성 (Feeding habits of juvenile Acanthopagrus schlegeli in the eelgrass(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 허성회;곽석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68-175
    • /
    • 1998
  • 광양만 대도주변 잘피밭에서 채집된 감성돔 유어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감성돔(1~7cm SL)의 주요 먹이생물은 단각류(옆새우류 및 카프렐라류), 게류 및 새우류였으며, 그 외 복족류, 갯지렁이류, 히드라류, 주걱벌레붙이류, 요각류, 등각류 등이 소량씩 위내용물 중 발견되었다. 감성돔은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조성이 정차 변하였다. 체장이 작은 감성돔은 옆새우류, 카프렐라류, 갯지렁이류 및 복족류를 주로 먹었으나, 체장이 중가하면서 옆새우류, 갯지렁이류 및 복족류의 비율은 점차 낮아진 반면, 게류 및 새우류가 차지하는 비율은 증가하였다.

  • PDF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복섬 (Takifug niphobles) 유어의 식성 (Feeding Habits of Juvenile TakifugU niphobles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 허성회;곽석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806-812
    • /
    • 1998
  • 광양만 대도주변 잘피밭에서 채집된 복섬 유어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복섬 (2$\~$8 cm SL)의 주요 먹이생물은 단각류 (옆새우류 및 카프렐라류), 게류 및 새우류 둥의 갑각류와 복족류였다. 그 외 갯지렁이류, 요각류, 주걱벌레붙이류, 등각류 등이 소량씩 위내용물 중 발견되었다. 복섬이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조성이 점차 변하였다. 체장이 작은 복섬은 옆새우류, 카프렐라류 및 복족류를 주로 먹었으나, 체장이 증가하면서 옆새우류 및 복족류의 비율은 점차 낮아진 반면, 게류 및 새우류가 위내용물 중 차지하는 비율은 증가하였다.

  • PDF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실고기 (Syngnathus schlegeli)의 식성 (Feeding Habits of Syngnathus schlegeli in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 허성회;곽석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96-902
    • /
    • 1997
  • 1994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광양만 대도주변 잘피밭에서 채집된 실고기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실고기는 요각류 (Copepoda)와 잘피의 엽상체에 부착하여 서식하는 단각류 (Amphipoda)의 일종인 옆새우류 (Gammaridea)를 주로 섭이하였으며, 그 외, 카프렐라류 (Caprellidea), 주걱벌레붙이류 (Tanaidacea), 곤쟁이류 (Mysidacea) 등을 소량 섭이하였다. 실고기는 성장함에 따라 섭이된 먹이생물 조성의 변동이 뚜렷하였다. 어린 실고기는 요각류를 주로 섭이하였으나, 체장이 증가하면서 옆새우류를 주로 섭이하였다. 먹이생물의 조성은 계절에 따라 변화되었는데, 봄철에는 요각류가, 여름철과 가을철에는 옆새우류가 주로 섭이되었다.

  • PDF

남해안 동대만 잘피밭에서 서식하는 해마(Hippocampus coronatus)의 출현량 및 먹이습성 (Abundances and feeding habits of Hippocampus coronatus in an eelgrass (Zostera marina) bed of Dongdae Bay, Korea)

  • 허성회;박주면;곽석남;성봉준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0권2호
    • /
    • pp.115-123
    • /
    • 2014
  • A total of 164 individuals of Hippocampus coronatus were collected from an eelgrass bed in Dongdae Bay, Korea from September 2006 to August 2007. The number of individuals of H. coronatus was higher in September 2006. The size of H. coronatus ranged from 2.4 to 9.3cm in height (Ht), and most of individuals were small size below 5cm (Ht). H. coronatus was a carnivore which consumed mainly gammarid amphipods and copepods. Its diets also included a small amount ofmysids, ostracods, brachiopods, caprellid amphipods, bathynellaceas, isopods, tanaids, and ascothoracids. The diets of H. coronatus underwent size-related changes; smaller individuals consumed copepods, while larger individuals ate gammarid amphipods and mysids. The dietary breadth index of H. coronatus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of their size.

동대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돌팍망둑(Pseudoblennius percoide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Pseudoblennius percoides (Pisces; Cottidae) in an Eelgrass (Zostera marina) Bed of Dongdae Bay)

  • 허성회;곽석남;김하원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5-53
    • /
    • 2008
  • 2005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동대만의 잘피밭에서 채집된 돌팍망둑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돌팍망둑의 주요 먹이는 어류 및 새우류였으며, 그 외, 곤쟁이류, 단각류 (옆새우류 및 카프렐라류), 요각류, 두족류, 갯지렁이류 및 게류등이 소량 섭식되었다. 돌팍망둑은 초기에는 요각류와 단각류를 많이 섭식하였으나, 성장함에 따라 어류와 새우류의 섭식율이 점차 증가하였다. 돌팍망둑은 계절에 관계없이 새우류 및 어류를 주로 섭식하였다. 체장별 및 계절별 dietary breadth는 전체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Feeding Habits of Rudarius ercodes in a Zostera marina Bed

  • Kwak Seok Nam;Huh Sung-Hoi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7권1호
    • /
    • pp.46-50
    • /
    • 2004
  • Feeding habits of Rudarius ercodes collected from a Zostera marina bed in Jindong Bay, Korea were studied. R. ercodes was a omnivore which consumed mainly gammarid amphipods, polychaetes and eelgrass (z. marina). Its diets also included a small amount of copepods, urochordates and caprellid amphipods. R. ercodes showed ontogenetic changes in feeding habits. Small individuals less than 2cm SL fed mainly on copepods, however, gammarid amphipods and polychaetes were heavily selected with increasing fish size. The consumption of eelgrass by R. ercodes was $10-20\%$ all size classes. The dietary breadth of R. ercodes were varied with fish size

잘피밭에 서식하는 부착해조류 군집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Seasonal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and Biomass of Epiphytic Algal Community in an Eelgrass (Zostera marina) Bed)

  • 곽석남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73-177
    • /
    • 2009
  • 진동만 잘피밭에서 서식하는 대형 부착해조류는 총 3종이었으며, 출현종은 갈조류의 Scytosiphon lomentaria, Colpomenia sp., 그리고 홍조류의 Gracilaria sp., 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한편 미세 부착해조류는 Cocconeis scutellum와 Cocconeis placentula가 우점하였다. 잘피에 부착하여 서식하는 부착해조류의 현존량은 계절 변동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대형 부착해조류는 2003년 11월에 3.3 g $DW/m^2$, 미세 부착해조류는 2003년 6월에 43,153 $cells/m^2$를 보이며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른 해역의 잘피밭(광양만, 동대만 및 앵강만)과 비교해보면, 본 조사해역의 잘피밭에서 서식하는 부착해조류의 종 다양성 및 현존량이 매우 낮게 나타나 특이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잘피밭의 물리학적인 환경특성(예를 들면 조류 및 유속), 잘피 자체의 생물학적인 특성, 그리고 수질의 악화에 기인하였다.

  • PDF

경남 통영 민양마을 잘피밭의 어류 종조성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Eelgrass Bed of Minyang in Tongyeong, Korea)

  • 김준섭;최정윤;이유진;곽우석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8권4호
    • /
    • pp.227-233
    • /
    • 2013
  • 경남 통영시 민양 잘피밭에 서식하는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 변동을 조사하기 위해 2011년 5월부터 2012년 4월까지 예인망(surf net)을 이용하여 매월 어류를 채집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25종 3,880개체 3,145.1 g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어류는 대부분 소형어나 유어들이었고, 그 중 우점종은 1,970개체가 채집된 살망둑(Gymnogobius heptacanthus)이였으며, 그물코쥐치(Rudarius ercodes), 베도라치(Pholis nebulosa), 별망둑(Chaenogobius gulosus), 날망둑(Gymnogobius castaneus) 순으로 채집되어 총 개체수의 89.1%를 차지하였다. 잘피밭 출현 어류는 수온이 대체적으로 높은 6-9월 사이 다수의 개체가 출현하였고, 수온이 낮은 1-2월에 개체수와 종수가 적게 나타나 수온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종 다양도지수(H')는 2012년 4월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