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el Anguilla japonica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23초

천연 및 양식산 뱀장어의 단백질 및 아미노산 조성비교 (Comparative Study on Protein and Amino Acid Composition of Wild and Cultured Eel)

  • 최진호;임채환;최영준;변대석;김창목;오성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0-66
    • /
    • 1986
  •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서 분포하고 있는 뱀장어의 영양학적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천연산과 양식산으로 분류하여 단백질의 조성, 단백질의 아미노산산 조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천연 및 양식산 뱀장어 육단백질의 조성을 엄밀히 검토하기 위해 육단백질중 비교적 많은 양을 차지하는 근형질단백질과 근원섬유단백질을 SDS-PAG 전기영동 분석하여 subunit의 차를 비교하였다. 또한 사료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함으로서 육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도 아울러 비교, 검토하였다. 천연 및 양식산 뱀장어의 조단백질 함량은 각각 $14.3\%$$15.4\%$이었으며, 조지방은 $25.0\%$$29.7%$로서 양식산 뱀장어의 지방 함량이 천연산에 비하여 높은 편이었다. 육단백질을 구성하는 단백질 조성은 천연산의 경우 근형질단백질이 $30.78\%$, 근원섬유단백질이 $59.02\%$, 세포내잔사단백질이 $9.73\%$, 기질단백질이 $2.47\%$이었으며, 양식산은 근형질단백질이 $31.81\%$, 근원섬유단백질이 $58.37\%$, 세포내잔사단백질이 $8.16%$, 기질단백질이 $1.80\%$를 차지하여 천연산과 양식산뱀장어의 육단백질 조성은 비교적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근형질단백질과 근원섬유단백질 분획의 일부에 대하여 SDS-PAG 전기영동 분석을 실시한 결과, 천연산 뱀장어의 근형질단백질은 16개의 subunit로 구성되어 있었고, 양식산은 분자량이 36,500, 46,000, 58,500, 75,000, 170,000, 235,000에 해당하는 4개의 subunit가 더 많은 22개의 subunit로 구성되어 있었다. 한편 근원섬유단백질은 천연산이 14개의 subunit이었으며, 양식산은 분자량 45,000에 해당하는 미지의 subunit가 하나 더 많은 15개로 이루어져 있었다. 육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은 천연산이 양신산에 비하여 glycine 함량이 다소 높은 것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비슷하였으며, lys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glycine이 전체아미노산의 $45\%$ 가량을 점하고 있었다. 사료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은 뱀장어의 필수아미노산 요구량을 만족시킬 만큼 양호한 조성을 보여주었으며, aspartic acid와 glutamic acid를 제외하고는 어육의 축적단백질로서 어육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과 비례관계를 갖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양식 및 천연산 어류의 화학성분에 관한 연구 1) 양식 및 천연산 뱀장어의 지질성분 (Comparision of Chemical Compositions between Cultured and Wild Fishes (1) Comparision between Cultured and Wild Eel Lipids)

  • 김경삼;오광수;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06-510
    • /
    • 1984
  • 양식어의 품질평가라는 관점에서 천연산 및 양식산뱀장어의 지질을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y로 중성지질, 인지질 및 당지질로 분획하고 GLC로써 이들의 지방산조성을 분석하였으며, 중성지질의 트리글리세리드의 HPLC 패턴을 분석하여 양식산과 천연산을 비교검토하였다. 천연 및 양식산뱀장어의 지질함량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당지질의 함량은 천연산이 총지질의 $2.6\%$로서 양식산의 $0.6\%$에 비해 4배정도 높았다. 천연 및 양식산 모두 총지질, 중성지질, 당지질의 지방산조성은 $C_{18:1},\;C_{16:0},\;C_{16:1}$의 조성비가 높았으며 그 중에서 $C_{18:1}$의 조성비가 가장 높았다. 양자간의 이들 지방산조성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C_{16:1}$의 조성비는 천연산이 양식산보다 높은 반면, $C_{18:1}$$C_{22:6}$의 조성비는 양식산이 천연산보다 높았다. 인지질의 경우는 양자 모두 $C_{22:6},\;C_{18:1},\;C_{16:0}$의 조성비가 높았으며 그중에서 $C_{22:6}$의 조성비가 가장 높았다. 천연산 및 양식산뱀장어 중성지질의 트리글리세리드의 HPLC 패턴은 양자간에 약간 차이가 있었다.

  • PDF

친환경 황토 가공 신소재가 장어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nvironmetally-friendly Red Clay-Processed Material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Eel)

  • 서유진;길범주;경진석;유병승;장윤혁;유성률;이영승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87-292
    • /
    • 2014
  • 본 연구는 가공황토 처리여부에 따른 장어시료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고자 장어를 양식장에서 동일한 조건으로 사육하여 일반성분, 물성, 영양소, 기능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반성분 분석에 대해서는 두 군 간의 차이가 없었으며 niacin은 실험구가 무처리 대비 더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Tocopherol은 가공황토소재로 양식한 시료에서 무처리구 대비 약 3배 이상의 tocopherol 함량이 측정되었다(P<0.05). 냉 해동 저장기간 동안 실험구가 무처리구 대비보다 안정된 조직감을 나타냈다. DPPH 라디칼 소거능과 FRAP value 분석 결과, 실험구의 항산화 활성이 유의적으로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묘사분석 결과 '기름진 정도'가 무처리구에 비하여 실험구에서 낮게 평가되었으며, 이는 보다 담백하면서 기능성이 강화된 장어의 생산이 가능함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친환경 가공황토소재로 양식한 장어의 경우 기능성이 강화되고 맛이 향상된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생산이 가능하여 국내 장어 시장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수입산 및 국내산 담수어류 3종의 일반성분과 지방산 조성 (Proximate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Three Species of Imported and Domestic Freshwater Fishes)

  • 문수경;이두석;윤호동;김연계;윤나영;김인수;정보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612-618
    • /
    • 2012
  • The proximate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the edible portion of three species of cultured freshwater fish (common eel Anguilla japonica, rainbow trout Onchorhynchus mykiss, and Israeli carp Cyprinus carpio) were compared between imports from China and domestically produced specimens. The lipid contents of cultured common eel and rainbow trout were rich in imported fishes (20.4 and 12.2%,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ose in domestic ones (16.0 and 8.01%, respectively), while those of Israeli carp were rich only in the domestically produced specimens (8.06 and 3.07%, respectively).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ipid and moisture contents in all fish samples (r =-0.86). The protein contents ranged from 16.6 to 21.3% in domestic fishes and 15.3 to 19.1% in imported ones. The most prominent fatty acids in the fishes were: saturated fatty acids, 16:0, 18:0 and 14:0; monounsaturated fatty acids, 18:1n-9, 16:1n-7 and 18:1n-7;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18:2n-6, 22:6n-3 (docosahexaenoic acid, DHA), and 20:5n-3 (eicosapentaenoic acid, EPA). The percentage of n-3 PUFA (e.g., DHA, 22:5n-3, EPA, and 18:3n-3) was higher in domestic common eel and Israeli carp than in imported ones, but similar in domestic and imported rainbow trout, and higher in domestic wild rainbow trout than in cultured ones. On the other hand, all of the cultured freshwater fishes contained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18:2n-6, which is a characteristic fatty acid in cultured fish lipids.

한국산 양식송어에서 분리된 전염성 췌장괴저 바이러스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the Infectious Pancreatic Necrosis Virus (IPNV) isolated from Pan-Cultured Rainbow Trout in Korea)

  • 박정우;이정진;정가진;하영칠
    • 미생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25-230
    • /
    • 1989
  • 1983년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전염성췌장괴저 바이러스가 분리되기 시작한 이래 여러가지 종류의 내수며 양식 물고고기로부터 이 바이러스가 검출되어 왔다. 세계적으로 안정되고 있는 세가지 표준혈청형 즉 VR-299, Sp 그리고 Ab형 에 대한 중화항체 실험으로, 우리나라에서 발견되는 전염성췌장괴저 바이러스는 주로 VR-299형임이 확인되어 왔으나 대청댐에서 양식된 송어로부터 발견된 한 주의 바이러스는 독특한 혈청형을 보이고 있어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 바이러스로부터 단백질과 핵산을 분리하여 세가지 표준 혈청형 바이러스의 그것과 비교하여 본 결과, 크기에 있어 분명한 차이가 보였고 중화항체를 이용한 감염저지 실험으로 Sp 형과 비교적 가까운 연관관계를 가지는 거승로 밝혀졌으나, 세가지 표준 혈청과는 뚜렷이 구분되는 새로운 혈청형으로 판정되었다.

  • PDF

과망간산칼리에 의한 어류 아가미의 병리조직학적 변화와 수질에 따른 영향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fish gills by potassium permanganate and influence of water quality)

  • 신미영;최동림;정준기;전세규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1-55
    • /
    • 1993
  • 해산어에서 넙치, 조피볼락, 담수어에서 비단잉어와 뱀장어의 4 어종에서 과망간산칼리에 의한 아가미의 조직변화를 관찰하였다. 해산어는 담수어에 비해 과망간산칼리에 더 민감하며, 1ppm의 저농도에서도 아가미의 조직변화가 일어났다. 뱀장어는 비단잉어보다 과망간산칼리에 대한 저항성이 더 높았다. 특히 뱀장어에서는 과망간산칼리에 노출된 어류의 아가미에서 점액세포의 증가가 두드러졌다, 사육수에서는 지하수에서보다 과망간산칼리의 영향이 훨씬 감소하는데, 이 차이가 유기물질의 양에 의한 것임은 사료농도별로 한 실험에서 확인되었다. 또한 용존산소에 따라서도 과망간산칼리의 효력이 영향을 받는다.

  • PDF

낙동강 하류의 수산개발을 위한 기본 조사 (1) 어획량과 한발의 영향 (FUNDAMENTAL STUDIES OF THE LOWER PART OF THE NAKTONG RIVER FOR FISHERIES EXPLOITATION (1) The Catch of Fish and the Influence of Drought)

  • 김인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5-32
    • /
    • 1969
  • 낙동강 하류구역의 기본조사의 일부로 설문서에 의한 어획량을 조사하고, 각종 하친 어류에 대한 고찰을 가하였다. 이 조사는 1967년 5월부터 1968년 6월 사이에 시행한 것이다. 조사된 구역은 삼랑진 이남 지역이며, Fig. 1에 표시하였다. 연간 총어획고는 재첩을 제외한 어류가 약 500톤으로 추산되며 그 중 붕어가 가장 많고 다음은 잉어, 풀망둑, 뱀장어, 숭어 등의 순서이다. 이 지역의 주어획물은 잉어과에 속하며, 조사 기간중 관찰된 종류수는 23종이다. 전 어종은 14과 40종에 이르렀다. 그러나 간혹 닥치는 심한 한발시는, 이 구역의 하천수의 염분을 심하게 상승시키고, 그 때의 주어획물은 밴댕이, 전어 등 각종 해산어류로 이뤄진다.

  • PDF

뱀장어의 초기사육에 관한 연구 (REARING OF THE EARLY STAGE OF THE EEL ANGUILLA JAPONICA)

  • 김인배;조재윤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79-186
    • /
    • 1974
  • 1973년 4월부터 1974년 6월 말까지 뱀장어의 효과적인 초기사육을 위하여 일연의 실험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뱀장어의 초기사육의 최적성장수온은 $20\~34^{\circ}C$의 범위내에서 실험한 결과 $30^{\circ}C$로 나타났다. 2. $20\~30^{\circ}C$ 사이에서 10일간의 성장배수는 R=0.0056296$T^{1.80740}$이라는 곡선식으로 나타났다. 3. 오랫동안 축양하여 두었던 실뱀장어도 채포후 바로 사육하는 것에 비해 성장이 나쁘지 않았다. 4. 사육중 크지 않고 성장이 나빴던 것도 이번 시험사육결과 정상적인 성장을 하였다. 5. ammonia는 5ppm 이하에서는 섭이에 영향을 주지 않으나 6ppm에서는 섭이량이 현저히 줄었다. 6. 뱀장어의 고밀도 사육시 배설물의 제거는 좋은 수질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 PDF

한국 근해 쌍끌이대형저인망어업의 어종군집 분석 (Analysis of Species Assemblages Caught by Large-pair-Trawler in Korean Waters)

  • 이동우;이재봉;김영혜;강수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499-505
    • /
    • 2011
  • The fishing grounds of Korean large-pair trawlers have shifted since exclusive economic zones (EEZs) were established in a fisheries agreement involving countries neighboring Korean waters. The distributions of marine ecosystems and fisheries resources have been changing with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global warming and with the shift in species targeted as a result of changes in fishing technology and fishing gear. This study analyzed variation in the species assemblages caught in Korean waters by large-pair trawlers as a result of these geopolitical and environmental change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obtained from the Fishery Production Statistics of Korea and the Port Sample Survey of the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NFRDI) from 1990 to 2007. Hierarchical clustering analysis (HCA) and correspondence analysis (CA) were use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tch-species composition. The overall variation in the species composition of the catch of Korean large-pair trawlers showed that the proportions of croaker Johnius grypotus,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eel Anguilla japonica, and blue crab Portunus trituberculatus decreased, whereas those of hairtail Trichiurus lepturus, Spanish mackerel Scomberomorus niphonius, anchovy Engraulis japonicus, and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increased in Korean waters over the 18-year period. The results of the HCA of the annual catch data by species showed four different distributions of fish species according to year. Results of the CA showed that the species assemblages differed between the 1990s and 2000s.

양만장에서 분리된 Edwardseilla tarda균에 대한 new quinolone계 약물의 항균작용 (Antibacterial activity of new quinolones against Edwardsiella tarda isolated from eel tanks)

  • 최민순;김경호;서영호;최상훈;박관하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85-193
    • /
    • 1996
  • 지금까지 사용해온 많은 항균제들에 대한 내성의 획득은 어병세균의 박멸을 어렵게 만드는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최근 인간의 세균성 질병치료 목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하거나 개발중인 new quinolone계 약물 14종을 대상으로 군산근교와 뱀장어(Anguilla japonica) 양만장 사육수에서 분리한 75종의 Edwardsiella tarda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함으로써 장래의 신규 수산용 항균제 개발에 필요한 정보를 얻고자 시도하였다. Broth dilution assay에 의해 측정한 in vitro 항균활성시험에서 DU-6859는 $MIC_{50}$$0.05{\mu}g$/ml로 가장 강력한 약효를 보여주었다. $MIC_{50}$값 0.2-$0.78{\mu}g$/ml의 범위에 드는 약물들인 T-3762, Bay-y3118, ciprofloxacin, norfloxacin, ofloxacin 및 tosufloxacin은 그 다음으로 강력한 약물군을 형성하였다. 한편 difloxacin, sparfloxacin, fleroxacin, Q-35, amifloxain, lomefloxacin 및 enoxain 등은 약효가 약한 약물들로서 $MIC_{50}$값이 1.56-$3.13{\mu}g$/ml 범위에 속하였다. 이들 항균제에 대해서 내성(MIC 값이 $v$/ml 이상으로 정하였을 때)을 가지고 있는 균수는 T-3762 및 Bay-y3118은 3주, norfloxacin은 5주, tosufloxacin 12주, ciprofloxacin 및 ofloxacin 13주, sparfloxacin 16주, fleroxacin 19주, amifloxacin 및 lomefloxacin 31주, Q-35 36주, enoxacin 41주, difloxacin 44주로 각각 나타났다. DU-6859의 경우에는 내성이 있는 균주가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이 연구 결과들은 new quinolone계 약물들 사이에도 Edwardsiella tarda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다양함을 시사하며 또한 향후 항균제 도입에 중요한 참고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