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al institute for the gifted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18초

과학영재교육에서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eachers in Science Gifted Education)

  • 이봉우;손정우;최원호;이인호;전영석;최정훈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7권3호
    • /
    • pp.252-260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eachers in science gifted education. To fulfill the purpose of this study, 80 science teachers that taught gifted students were requested to write an anecdotal report regarding gifted education and presented 215 difficulties. By means of inductive categorical analysis, these difficulties were grouped into several categor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eachers in science gifted education fell into three categories: 'difficulties relating to environment (23.7%)', 'difficulties relating to students(16.7%)', 'difficulties relating to teachers(59.5%)'. Most serious difficulty was 'insufficient educational program'. and many teachers felt difficulty in developing the educational materials. Additionally, we discussed some features of each categories of difficulties.

  • PDF

생명과학 관련 주제에 대한 과학영재들의 글쓰기 특성 분석 (An Analysis of Writing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bout Biological Sciences)

  • 송신철;심규철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9권1호
    • /
    • pp.88-9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들의 생명과학 관련 과학글쓰기 활동에서 나타난 과학글쓰기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교 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소속 생명과학 분야 과학영재들 16개 모둠(남자 20명, 여자 20명)에서 작성한 과학글쓰기 활동 자료를 분석하였다. 과학영재들의 생명과학 관련 과학글쓰기 활동 자료는 생명공학, 생명윤리, 생활과학, 건강과 질병 등 4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과학영재들은 글의 구성이나 논리적으로 자신의 주장을 글로 표현하는 능력이 다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 생활과학이나 건강과 질병 관련 내용에 대해서는 글의 구성과 논리적인 글의 전개 등 상대적으로 나았으나 생명공학이나 생명윤리 등에 관해서는 충분한 의견을 제시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과학영재들의 논리적인 과학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아울러 생명공학 및 생명윤리 등과 같이 생명과학 이슈와 관련한 과학글쓰기 소재의 개발이 필요하다.

  • PDF

Implementing Open Science Technology in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UNESCO Centre, "Junior Academy of Science of Ukraine"

  • Kuzmenko, Halyna;Bratus, Ivan;Kovalova, Oksana;Halchenko, Maksym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호
    • /
    • pp.183-188
    • /
    • 2022
  • This paper explores the opportunities for scholarly publishing as part of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system of extracurricular research and experimental education, UNESCO Category 2 Centre, "Junior Academy of Sciences of Ukrai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JASU), using Open Journal Systems (hereinafter referred to as OJS) publishing platform.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and select a publishing model and substantiate the procedures for the launch of an OJS-based open-access student scholarly e-journal with a view of improving scholarly communication between gifted children from Ukraine and other countries.

초등정보과학영재를 위한 알고리즘 교육내용의 설계 및 검증 (Design and Validation of Education Contents of Algorithm for the Gifted Elementary Students of Computer Science)

  • 이재호;오현종
    • 영재교육연구
    • /
    • 제19권2호
    • /
    • pp.353-380
    • /
    • 2009
  • 영재교육의 시행 확대에 따라 정보과학영재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수학 과학 분야의 영재교육에 비하여 선발 및 교육내용에 대한 연구결과물이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정보과학영재교육을 시행함에 있어 알고리즘 교육영역은 가장 핵심적인 분야 중 하나이나, 알고리즘 교육을 초등정보과학영재의 수준에 맞추어 교육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정보과학영재교육 분야 중 가장 핵심적인 영역인 알고리즘 교육내용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른 연구를 시행하였다. 첫째, 정보과학영재의 정의 및 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정보과학영재교육의 목표 및 교육내용과 알고리즘 교육내용을 분석하였다. 둘째, 분석 내용을 기반으로 초등정보과학영재를 위한 알고리즘 교육내용 개발 기준과 활동지 개발 기준을 제안하였다. 셋째,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 교육내용과 활동지 개발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경인지역의 초등정보과학영재교육 전문가 그룹을 활용한 델파이 분석을 시행하였다.

Science Gifted Learning Program: Research & Education Model

  • Shim, Kew-Cheol;Kim, Yeo-Sang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35-641
    • /
    • 2005
  • This paper suggests a research & education (R&E) model for the gifted in science education. The model has been developed under three assumptions. The first is that using the sequences of a gifted educational program designed to facilitate the process will assist in gifted students' construction of scientific knowledge and comprehension of laboratory practice through concrete experimental experience. The second is that gifted students will be able to apply this learning to further study using and extending scientific knowledge and experience. The third is that challenging tasks and feedback at the requisite stage of development will improve instructional effectiveness. The R&E Model has five phases: engaging, exploring, planning, performing and elaborating; furthermore, it suggests roles for the mentee and mentor. The R&E model has two functions for gifted education. The first is providing guidance for gifted curriculum developers as they design a mentor program, and the second is helping a mentor improve instructional effectiveness through use of strategies. This model has potentials to educate the gifted students in the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SW융합영재 담당교원 역량 강화를 위한 텐서플로우 기반 인공지능 교육 콘텐츠 개발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Contents based on TensorFlow for Reinforcement of SW Convergence Gifted Teacher Competency)

  • 장은실;김재현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167-177
    • /
    • 2019
  • 미래사회에서의 국가 경쟁력 강화는 뛰어난 SW융합영재 발굴과 양성이다. 이러한 SW융합영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담당교원의 역량 강화가 선결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SW융합영재 담당교원의 역량 강화를 위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기술 중에 하나인 인공지능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인공지능 교육 콘텐츠의 방향을 설정 후, 인공지능 중에서도 중등 SW융합영재 교육에 적합한 교육 콘텐츠를 구성하여 상세 설계 및 개발하였다. 인공지능 교육 콘텐츠의 구성은 머신러닝과 텐서플로우의 이해, 수치 예측을 위한 선형 회귀 머신러닝 구현, 다중 선형 회귀 기반의 가격 예측 머신러닝 구현으로 이루어져 있다. 개발한 인공지능 교육 콘텐츠는 전문가에게 질적인 측면의 검증을 실시하였다. 향후 본 논문에서 제안한 인공지능 교육 콘텐츠는 SW융합영재 담당교원의 역량 강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영재학생의 일반학급 및 영재교육기관에서의 학교생활만족도 (Gifted Students' School Life Satisfaction in General Schools and Educational Institute for the Gifted)

  • 조성신;유미현;여상인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2호
    • /
    • pp.465-484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학생, 영재학급 영재학생, 영재교육원 영재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와, 영재학생이 영재학급과 일반학급에서의 느끼는 학교생활만족도를 각각 비교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초등 영재학생 76명, 초등 일반학생 125명을 대상으로 학교생활만족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학급, 영재학급, 영재교육원 학생의 일반학급에서의 학교생활만족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학급 영재학생의 일반학급 학교생활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영재교육원 영재학생, 일반학급 학생 순으로 학교생활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영재교육기관이 다른 영재학생의 소속 영재교육기관 생활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영재학급의 학생이 영재교육원 학생에 비해 생활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셋째, 영재학생의 일반학급에서의 생활만족도와 영재교육기관에서의 생활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영재교육기관에서의 생활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넷째, 영재학생의 성별 및 학년에 따른 학교생활만족도는 영재학급, 영재교육원 학생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5).

음악영재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 (A Needs Assessment for Developing the Gifted Curriculum in Music)

  • 이경진;최진영;최나영;김지혜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6호
    • /
    • pp.771-797
    • /
    • 2015
  • 본 연구는 음악영재교육과정 개발을 위하여 음악영재들의 요구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음악영재교육기관에서 음악영재교육을 수혜하고 있는 음악영재 103명을 대상으로 음악영재교육과정의 요소 즉, 교육 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평가, 그리고 음악영재교육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환경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했다. 요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음악영재 교육목표 중 '자기의 느낌을 표현함으로써 관객과 소통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았으며, 고등학생의 경우에는 상당히 많은 항목에서 필요수준과 현재수준 간의 차이가 컸다. 교육내용에서 '클래스 피아노'와 '부전공실기', '음악 현장체험'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고, 고등학생은 중학생에 비해 '부전공 실기'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다. 교육방법에서 음악영재들은 '학습자의 자율적 선택과 흥미를 추구하는 수업'과 '현장 수업'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으며, 교육평가에서는'학생들 서로에 대한 상호평가'와 '그룹별로 협동해서 공동의 작품이나 연주에 대한 평가'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다. 그리고 음악영재들은 '실기실/실습실(연습실)'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으며, 특히 고등학생들은 실기실뿐 아니라 '공연장'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따라서 음악영재교육과정을 개발할 때에는 이러한 점들을 충분히 반영해야 할 것이다.

멀티미디어 제작을 통한 초등 정보영재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lementary Information Gifted Children through Production of Multimedia)

  • 남승현;배영권;김도윤;구덕회;이태욱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1-22
    • /
    • 2005
  • 초등 정보영재교육에서 멀티미디어 제작을 통한 교육은 교육 대상인 초등학생의 발달 단계라는 점과 교육 목적이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이 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유용성을 찾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현재 초등 정보영재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대안으로 멀티미디어 제작을 교육내용으로 제시하고 영재교육모형인 과정-산출모형을 적용하여 교육내용을 개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초등 정보영재아동의 특성을 살린 기능 교육방법을 제시하여 그 특수성을 부각시켰으며 이를 적용하여 교육현장에 투입할 수 있는 실질적인 교육자료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정보영재교육을 영재교육의 입장에서 풀어갈 필요가 있다는 것을 명확히 하고 초등 정보영재의 교육내용으로 멀티미디어 제작이라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였다.

  • PDF

이공계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과학영재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그릿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reer Education Program in Science & Engineering Fields to Career Outcome Expectati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Grit for Science Gifted High School Students)

  • 최진수;김영민;이영주
    • 공학교육연구
    • /
    • 제24권5호
    • /
    • pp.28-37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of career education program in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for science gifted high school students. To do this,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science gifted high school students 129 in H-science gifted high school with K-institute. The results are followings. First, after participating in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the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of student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Second, it has been increased that external factor of career outcome expectation and continuation effort of grit. In this study, it has showed educational effects of the career education programs that related to career recognition in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for science gifted high school students by developing and applying of program.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ustomized career education programs for science gifted high school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