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al Information

검색결과 4,960건 처리시간 0.032초

교육목표분류학에 의한 정보활용과정모형의 재구조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estructure of Information Literacy Process Based on Taxonomy Educational Objectives)

  • 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07-126
    • /
    • 2010
  • 교육은 목적(목표) 달성을 위해서 의도적이고, 계획적으로 학생을 변화시키는 과정이다. 따라서 초 중등학교의 현장에서는 교육목표를 매우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이에 블룸은 1956년에 교육목표를 쉽게 설정할 수 있도록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심리 운동적 영역으로 구분하여 유목화한 교육목표분류학을 창안하였다. 1990년대 이후에는 21세기 교수-학습 이론을 반영하고, 블룸의 교육목표분류학이 갖는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앤더슨과 크래스 홀, 마자노 등이 새로운 교육목표분류학을 제시하였다. 블룸, 앤더슨과 크래스홀 및 마자노 등이 제시한 교육목표분류학은 정보와 정보 처리의 과정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정보활용과정 모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목표분류학과 대표적인 정보활용과정모형인 Big6 Skills을 상호 비교, 분석하여 정보활용과정모형을 재구조화하였다.

  • PDF

교육용기능성게임을 위한 메타데이터와 품질평가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Implementation and Design of Metadata and Quality Evaluation Management Systems for Educational Serious Game)

  • 윤선정;박희숙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020-1027
    • /
    • 2013
  • 오늘날, 기능성게임 시장의 많은 부분을 교육용기능성게임이 차지하고 있지만 교육용기능성게임에 대한 유용한 품질평가 정보를 사용자 또는 개발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품질평가 시스템은 부족한 실정이다. 비록 기능성게임을 위한 기존의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이 개발되어 있지만 기존 시스템은 교육용기능성게임의 품질평가 정보를 관리 할 수 있는 기능은 제공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교육용기능성게임의 품질평가 관리시스템의 개발은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우리는 교육기능성게임에 대한 메타데이터 및 품질평가를 모두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의 설계를 제안하였다. 본 시스템의 장점은 일반사용자와 개발자에게는 신뢰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시스템 관리자에게 메타데이터와 품질정보를 쉽고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수단을 지원하는 것이다.

교육통계연보를 이용한 정보보호 교육기관 현황에 대한 분석 (Analysis on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al Institutions with Statistical Yearbook of Education)

  • 김태성;김종하;김민정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10B호
    • /
    • pp.880-890
    • /
    • 2004
  • 최근 해킹, 바이러스 등 정보화 역기능의 확산에 따라 정보보호는 전 세계에 걸쳐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정보보호제품을 생산하고, 정보보호업무를 담당할 정보보호인력은 안전한 정보사회의 달성을 위해 가장 핵심적인 요소일 것이다. 여러해 전부터 정부와 민간 차원에서 정보보호인력 양성을 위한 많은 방안을 마련하여 추진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인력양성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정규교육기관에서의 정보보호전공 현황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교육통계연보를 이용하여 국내 정규교육기간(전문대학, 대학, 대학원)의 정보보호전공 설치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정보보호인력의 공급을 전망한다. 본 논문에서의 분석이 정보보호분야의 인력수급불일치를 해소하여 정보보호산업의 발전과 정보화 역기능의 방지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디지털교과서 전면도입에 따른 학습격차 심화가능성 탐색 (Exploration to the Possibility of Deepening Educational Gap in using Digital Textbook)

  • 서용희;오경희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4호
    • /
    • pp.705-716
    • /
    • 2014
  • This study starts from a question about the expectation that government policy reduces the educational gap by introducing digital textbooks. In addition, we try to figure out how to minimize the problems that will occur when digital textbooks are introduced and fully adop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ploring the possibility that suing digital textbook deepens learning gap among students. Researchers are discussed that the gap between 'information' haves' and 'information' have-nots' and between 'the competent user' and 'the incompetent user' increase difference between 'knows' and 'know-nots' on the socio-economic class. These difference are likely to imply that using digital textbook is deepening the educational gap.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IM)을 적용한 초등학교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rchitectural Design of Elementary School U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BIM))

  • 조재근;전한종
    • 교육시설
    • /
    • 제14권3호
    • /
    • pp.5-16
    • /
    • 2007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application of BIM to the educational facilities. To do so, we model Sanggye elementary school project using BIM, and consider other efficient methods for the lack of the information caused by the traditional blueprint. In addition, we try to lay the groundwork for expanding the application of BIM during the life cycle of an educational facility through researching a system to set up an accurate building information.

학교교육방법의 핵심장치로서의 학교도서관에 관한 연구 - 구성주의 교수-학습이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chool Library Media Center as a Essential Device of Educational Method)

  • 서진원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163-175
    • /
    • 2005
  • 본 논문은 현대사회의 이상적 교육방법으로 구성주의 교수-학습이론의 의의와 특징을 밝히고 구성주의 교육방법과 교육환경이 학교도서관에 어떻게 관련을 가지는지 논하였다. 또한 구성주의 교육방법과 관련하여 우리나라 학교도서관이 개선되어야 할 점을 제시함으로서 학교교육의 문제해결에 학교도서관이 기여하는 바를 논하였다.

Design of ESN(Educational Sensor Network) for interpretation of the data

  • Park, In-Deok;Paek, Seung-Eun;Kim, Si-Kyung
    • 정보학연구
    • /
    • 제12권3호
    • /
    • pp.1-6
    • /
    • 2009
  • This paper has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sensor network (ESN)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s(WSN) and pervasive monitoring systems for students' activity during scientific experiments. A number of WSN systems have been proposed with integrated wireless transmission, mounted sensor boards and local processing. However, there is no trail to employ WSN on the educational field. In this paper, to facilitate research and development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and multi-sensor data fusion, the educational sensor network (ESN) hardware development platform is presented. The ESN project is conducted over one semester time period (Spring Semesters). It involves approximately twenty middle school students who enrolled a gifted program in Kongju National University. Though under prepared, these students are in general highly motivated to learning specially when presented with the ESN project. An ESN project such as this is expected to provide an excellent means for teaching and learning scientific and mathematical principles.

  • PDF

Impact of Social Networks in Educational Media

  • Al-Said, Khaleel M.;Al Said, Nidal;Hattab, Ezz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8권4호
    • /
    • pp.230-238
    • /
    • 2020
  •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whether student participation on Twitter affects academic performance. The key goals of the training course were to acquire social networking knowledge and skills and to learn how to share information, be productive in discussions, and create an interest-based community. The initial sample comprised 286 students from Jordan universities, 68.4% of whom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Undergraduate students accounted for 73.9%, and graduate students accounted for 26.1%. Only 14.3% of the students chose the Twitter-based learning model. This is a mixed-methods study that integrate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The undergraduate students were found to tweet more and have more likes, while graduate students had more followers and were following more accounts. Moreover, 21% of the participants were the most active. Spearman's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a connection between participation in social media and student performance.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help educational professionals and education managers.

Comparison of Cultural Acceptability for Educational Robots between Europe and Korea

  • Choi, Jong-Hong;Lee, Jong-Yun;Han, Jeong-Hye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4권3호
    • /
    • pp.97-102
    • /
    • 2008
  • Europeans are much more rigid in their thinking on robots and especially have a negative view on robots as peers since they regard robots as labor machines. Recently, Korea invented several educational robots as peer tutors. Therefore, study was need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cultural acceptability for educational robots between Korea and Europe (Spain). We found that Europe seems to be much more rigid in its thinking on robots and especially has a negative view on educational robots. Korean parents have a strong tendency to see robots as 'the friend of children,' while on the other hand, European parents tend to see educational robots as 'machines or electronics'. Meanwhile, the expectation of children on educational robots showing identification content was higher in Europe than in Korea since European children are familiar with costume parties. This result implied that we may find a Korean market for educational robots earlier than a European market, but European children will be eager to play with educational robots even though their parents have a negative view of them.

의료 데이터 발생과 분석기술을 활용한 의료정보관리 교육용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managing medical information utilizing medical data generation and analysis techniques)

  • 최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377-38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의무기록사의 의료정보관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용 의료정보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교육용 의료정보관리 프로그램은 8개월 동안 vb.Net으로 개발하였다. 데이터베이스는 학습자가 데이터의 구조를 쉽게 이해하고 파악할 수 있는 ACCESS의 Database를 이용하였다. 학습자는 의무기록을 분석하여 퇴원분석 및 암등록 프로그램 그리고 미비기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한다. 데이터를 입력하고 저장한 후에 의료정보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이해하고 분석하여 의료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교육용 프로그램은 데이터베이스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SQL을 통하여 직접 추출하고, 다양한 의료정보를 생성해봄으로써 학습자의 의료정보관리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하지만 교육용 프로그램이면서 학습자의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평가체계가 마련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서 다음 연구에서는 학습자 평가를 위한 의료정보관리 프로그램의 평가시스템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