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al Implementation

검색결과 964건 처리시간 0.027초

요양보호사의 죽음에 대한 태도, 임종간호 인지 및 교육요구도 (Attitude to Death, Perception and Educational Training Needs on the End-of-Life Care on Caregiver)

  • 정은영;서지혜;공정현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57-66
    • /
    • 2017
  • Purpose : The current study objective was to determine the attitudes of nursing students to death, perception of end-of life care, and perceptions of educational training needs in relation to the provision of end-of life care, and to apply the results to the development of an efficient and effective education program in this regard. Method :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between March and April 2017, and was achieved through the administration of a questionnaire to 124 caregivers working in a nursing home in C. A self-report instrument was used to measure nursing attitudes to death, perceptions of end-of-life care, and perceptions of educational training needs in relation to the provision of end-of-life ca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R) Statistics for Windows(R)(version 21.0), and were calculated was whole numbers, percentages, $mean{\pm}standard$ deviation,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 The average scores obtained were 2.85 out of a maximum of 4.00, 2.14 out of 4.00, and 2.42 out of 4.00, for attitudes to death, perceptions of end-of-life, and perceptions of educational training needs in relation to the provision of end-of-life care, respectively.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ttitudes to death and perceptions of end-of-life care, and a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perceptions of end-of-life care and educational training needs in relation to the provision of end-of-life care. Conclusion :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n educational program is necessary to ensure positive attitudes to death in nursing students and improve their perceptions about end-of-life care. Further research is also warranted to determine the impact of such a program in this regard.

교육용 게임의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미니게임 활용 모델에 대한 제안 (A Proposal of Mini-Game Application Model for Achieving an Effective Learning in Educational Game)

  • 윤선정;김미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8호
    • /
    • pp.133-143
    • /
    • 2006
  • 오늘날 대부분의 게임들이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자유롭게 허용하므로 초기 기획되었던 대로 스토리라인을 따라 진행되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런 게임 환경에서 특별히 교육용 게임은 초기에 의도하였던 학습 효과를 달성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은 사용자와 게임 사이의 상호작용을 조절하는 도구로 본 게임 속에 미니게임을 구현하는 미니게임의 활용모델을 제안하였다. 이 모델을 근거로 교육용 게임콘텐츠를 개발하여 미니게임의 구현 유형에 따른 평가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개발된 게임이 초기 기획된 대로 학습효과 증진에 영향을 주는지의 여부를 공적인 기관에서 선정한 우수 교육용 게임들과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미니게임의 활용은 학습목표 달성과 균형 있는 학습, 학습 동기 유발 등의 영역에서 높은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반적인 영역에 걸쳐 처음 기획한대로 미니게임의 활용 목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교육용기능성게임을 위한 메타데이터와 품질평가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Implementation and Design of Metadata and Quality Evaluation Management Systems for Educational Serious Game)

  • 윤선정;박희숙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020-1027
    • /
    • 2013
  • 오늘날, 기능성게임 시장의 많은 부분을 교육용기능성게임이 차지하고 있지만 교육용기능성게임에 대한 유용한 품질평가 정보를 사용자 또는 개발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품질평가 시스템은 부족한 실정이다. 비록 기능성게임을 위한 기존의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이 개발되어 있지만 기존 시스템은 교육용기능성게임의 품질평가 정보를 관리 할 수 있는 기능은 제공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교육용기능성게임의 품질평가 관리시스템의 개발은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우리는 교육기능성게임에 대한 메타데이터 및 품질평가를 모두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의 설계를 제안하였다. 본 시스템의 장점은 일반사용자와 개발자에게는 신뢰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시스템 관리자에게 메타데이터와 품질정보를 쉽고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수단을 지원하는 것이다.

Intellectu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A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Model

  • Kaidanovska, Olena;Pymonenko, Mariia;Morklyanyk, Oksana;Iurchyshyn, Oksana;Rakochyi, Yaroslav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11호
    • /
    • pp.87-92
    • /
    • 2022
  • Today the system of higher education needs significant reforms. Intellectualization of the educational process in HEIs aims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s. Intellectual information technologies are information technologies that help a person to accelerate the analysis of the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technical situation, as well as the synthesis of management decisions. The basis for their mastery i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ork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roduc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the increase in the level of intellectu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The article substantiates the expediency of introduc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order to improve the intellectualization of the educational process in higher education. An empirical study of the variables that characterize the level of intellectu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through the proposed techniques has been conducted. The tendencies characteristic of pedagogical conditions of implement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model in the educational process were revealed. It is proved that the level of intellectu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depends on the implemented pedagogical condition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model is also confirmed. Given the data obtained during the study and the low constraints that may affect the results of further research on this issue should focus on the study of other variables that characterize the state of intellectualization of the educational process.

지역사회연계 과학이슈 교육프로그램 운영의 교육적 함의에 대한 운영 교사 및 강사, 지역 전문가의 인식 탐색 (Perceptions of Teachers, Program Instructors, and Local Experts on Implementing Community-Based Socioscientific Issues Programs)

  • 김가형;이현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453-464
    • /
    • 2017
  • 본 연구는 과학이슈(유기동물, 미세먼지, 재활용)를 중심으로 학교와 지역사회를 연계하는 과학교육 프로그램(SSI-COMM) 운영을 담당한 교사, 외부 강사, 지역 전문가들의 SSI-COMM의 운영 경험을 통해 실천과 참여를 강조한 지역사회연계 프로그램의 교육적 함의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각각의 프로그램은 한 학기 동안 16차시로 운영이 되었으며 학생들의 과학이슈에 대한 흥미와 지역사회로의 참여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학교와 학교 밖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4명의 학교 교사, 4명의 외부 강사, 6명의 지역 전문가와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수업 관찰 일지 등도 추가적으로 수집되었다. 연구 결과, SSI-COMM 운영에 참여한 운영자들은 프로그램 운영 과정에서 본 프로그램의 적용이 가져올 수 있는 교육적 함의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했을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속 과학이슈에 대해 스스로의 관심이 높아지고,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운영해보고자 하는 의지를 나타냈다. 교사의 경우에는 본 프로그램을 통해 현재 학교교육이 학생들의 잠재된 역량이 표출되기에 제한이 있음을 인지하였으며, 학생들이 직접 학교 밖 관련 기관을 직접 방문하고 지역 전문가와 만나 소통해보는 경험을 통해 학교 지식과 실천 사이의 간격을 줄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인지하였다. 학교 밖 교육을 담당했던 외부 강사는 자유로운 학교 밖 활동이 학교 수업에서 소외되었던 학생들에게 뿌듯함과 자신감 그리고 성취감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을 확인하였다. 본 프로그램 운영에 참여한 지역 전문가들 역시 본인의 직업과 관련된 분야에서 논의되는 과학이슈에 대해 학생들과 소통하는 경험을 통해 지역사회에 대한 소속감과 교육 주체로서의 역할에 대해 고민해볼 수 있었다. SSI-COMM은 지역사회연계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해서는 앞으로 지속적으로 학교와 지역사회 구성원들 간의 친밀한 네트워크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중등학교 시설에서의 커뮤니티공간 연구 (Towards the Community Space for Secondary School)

  • 이금진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3-12
    • /
    • 2012
  • The opportunity provided for design method and strategy of community space for secondary school through the experience of public library and gallery, is the purpose of this paper. Community space is an important issue in school architecture as it seeks to revive the public area in educational building and to renew the open space as a multi-entertainment space. The latest works of school, however, which are evaluated as well reflected the reality of educational patterns, are still deficient in that communicational elements in school are underdeveloped and inadequate. The cases of this paper, which are grown up as entertainment library and multi-purpose cultural space such as Seattle Public Library, Sendai Mediatech, Tate Modem Gallery, and Kunsthaus, are suitable to offer the method of the creation of community space for school. This paper reviews an assessment of its success in community space for school architecture with multi-entertainment-purpose library and cultural space connected open space and concludes with the establishment of design method for future school; extraction of the factors contributing to development of community space in school and proposal of design method; implementation of school renewal with library and gallery plus open space for the creation of identity considering both of study and play.

즐겨찾기를 이용한 교육용 정보공유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Information Sharing Systems using Bookmark)

  • 한선관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77-84
    • /
    • 2004
  • 본 연구는 웹브라우저의 즐겨찾기를 이용하여 교육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에이전트 시스템의 설계와 구현에 관한 내용이다. 즐겨찾기를 효과적으로 공유하고 검색하기 위하여 DAML+OIL의 형태로 설계하였다. 제안된 시스템 구조는 CS기반의 P2P 방식을 이용하였다. 연구에서 제안된 에이전트는 즐겨찾기된 정보를 기초로 문서의 정확성 판단과 우선순위 기법에 의해 사용자에게 검색과정과 결과를 제시한 수 있다. 또한 에이전트가 Semantic Web환경에서 DAML을 통해 보다 지능적으로 교육정보를 공유하고 검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PDF

교육디지털컨텐츠를 활용한 학습보상시스템(LRS) 설계 (A Study on LRS(Learning Reward System) using Educational Digital Contents)

  • 정승채;박화진;조세홍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1-11
    • /
    • 2000
  • 최근 인터넷상에서는 원격교육이나 온라인 교육에서 다양한 교육용 디지털 컨텐츠가 제공되고 있다. 특히 에듀테인먼트분야가 활성화되면서 흥미위주의 교육 컨텐츠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컨텐츠가 적정기간($1{\sim}2$년) 동안 학습자가 흥미를 잃지 않고 스스로 학습하도록 유도하는가 라는 질적인 면에서 고려해 볼 때 부족한 면이 많다. 그러므로 학습자로부터 자발적이면서 적극적인 학습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학습자의 학습동기를 강화시키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후견인과 학습자가 제시한 목표의 성취도에 따라 보상을 제공하는 학습보상시스템 (LRS)을 설계 및 구현한다. LRS는 기존의 에듀테인먼트 컨텐츠를 활용하여 동시에 흥미와 보상을 함께 제공함으로써 교육효과증진을 목적으로 한다.

  • PDF

네트워크 기반의 다자간 상호 경쟁적 학습모형의 설계 및 플랫폼 구현 (Design and Development of Network Based Competition Learning Model)

  • 허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0A권6호
    • /
    • pp.709-714
    • /
    • 2003
  • 최근 통신기술의 발달로 교육용 컨텐츠에 있어서도 학습자와 학습 컨텐츠 사이의 상호작용이 강조되고 있다. 반면에 기존의 WBI나 CAI의 경우는 학습자와 컨텐츠 사이의 단순한 상호작용만 적용하였다.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게임 형태의 플랫폼은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 개별적 독립학습에서 발생하는 학습자간의 상호작용 부재의 문제와 협동학습에서 나타나는 공동의 목표 설정 및 프로그램 구현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다자간 상호 경쟁적 학습 모형을 제시한다. 또, 이를 적용한 네트워크 게임 형태의 교육 컨텐츠를 위한 설계와 플랫폼 형태로 실제 구현해 봄으로써 상호 경쟁적 학습 모형과 함께 교육용 컨텐츠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 보았다.

어린이집 교사의 유아코딩교육에 대한 인식과 자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Qualities of Early Childhood Coding Education in Childcare Center Teachers)

  • 천희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27-248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and qualities of early childhood coding education in childcare center teachers. Methods: 158 childcare center teachers responded to 56 questions on a questionnaire extracted and revised from previous research. Frequency analysis and one-way ANOVA were applied for the data analysis. Results: Many teachers agreed that the software education policy was timely appropriate. Most of them needed the education in order to improve children's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and answered that it is appropriate to start the education at age 5. Most of them recognized that small group and free choice activities, play activities linked with daily life topics and coding programs by the childcare center teachers were desirable as educational methods. Provision of educational HW/SW environment was a relatively important element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education. The coding educational qualities perceived by the teachers were not high, and were related to the age of the children they were in charge of and their computer literacy.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cognition of childcare center teachers was relatively positive, but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 teachers to improve their recognition and qualities of the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teachers' variab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