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ducational Development Plans

검색결과 205건 처리시간 0.021초

대도시 신시가지의 지속가능한 개발 대안 모색 -대구시 지산.범물지구를 사례로- (The Alternative Policie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New Town in Metropolitan Area, Korea -The case of Jisan.Bummul, Taegu-)

  • 진원형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35-155
    • /
    • 1998
  • 본 연구는 대도시의 지속가능(持續可能)한 개발(開發)을 위한 정책 방안을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대구시 지산 범물지구를 사례로 신시가지 개발의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실증적(實證的)으로 분석 평가하여, 대도시 신시가지의 지속가능한 개발 대안을 정립하는 데 그 목적(目的)이 있다. 대도시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정책 방안의 하나로 대도시외 신시가지를 분산적 집중도시의 형태로 개발하는 방안이 제안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신시가지 개발에 있어 고려되어야 할 9개의 지속가능성(持續可能性) 지표(指標)를 중심으로 지산(池山) 범물신시가지(凡勿新市街地) 개발의 지속가능성을 분석, 평가하였다. 사례연구의 결과 신시가지는 기능적 분산과 아울러 중심도시와 일정거리를 둔 공간적 분산 방안이 동시에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고찰되었다. 또한 주거기능과 함께 산업기능의 동시분산 방안이 수립되어야 할 것으로 제안하였다. 지속가능성 지표들은 각 지표간의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파악하여 적절히 조화시키는 방안이 필요하다. 자연환경 파괴의 최소화를 위해 고밀도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통학시설자족성을 위해서는 교육여건의 제고 측면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할 뿐만 아니라 대중교통시설의 서비스나 질을 개선하는데 정책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인접한 사업지구는 통합개발계획을 수립하여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자족시설의 조기 유치를 위한 다양한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단기간내에 대단위 주택공급을 목적으로 하는 신시가지 개발은 지양되어야 하며, 대중교통계획을 기초로 한 신시가지의 입지선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열린교육에서의 개별화수업과 CAI (Individual Instruction and CAI on Open Education)

  • 이재인;심정용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62-73
    • /
    • 1997
  • 열린교육은 아동에 대한 존중심을 보이는 환경을 제공하고 자유롭고 개별화된 수업이 가능한 교육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열린교육의 여러 특성 중에서 개별화 수업에 초점을 맞추었다. 먼저 현 상황에서 개별화 수업의 가능성을 조사하고 그 적용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본 후, 문제점을 발견하여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제 해결을 위하여 먼저 열린 교육의 이론적 배경과 컴퓨터를 이용한 개별화 수업의 방법들을 간략히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진주교대와 한국교육개발원이 초등학교 4학년 실과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CAI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프로그램을 공동 개발하여 제시한 후, 이 프로그램을 진주교대 부속초등학교의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보았다. 추후 연구로서 이와 같은 CAI를 이용한 개별화 수업의 타당성과 문제점을 조사방법의 기법을 이용하여 통계처리한 후 그 개선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과메기 제조·가공·판매 전문인력 양성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ultivating Professional-human Resources for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and Sales of Guamegi)

  • 박종운;심현철;차철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2호
    • /
    • pp.433-447
    • /
    • 2013
  • In around of Guryongpo Pohang Port, a Guamegi production special zone is being established as modernized processing plants, cold storages, Guamegi research centers, or publicity centers are being built in a row with forming the tourism and culture streets as a start. Regarding the special Guamegi production zone, the local autonomous entities are promoting various projects as investing approximately 40 billion won as its budget; however, it is still very rare to elevate the level of Guamegi, the special product, and make investment plans to create a brand for it. To make a special product brand cannot be realized just by building the Guamegi industrialization processing complex, and mere publicity also does not guarantee sustainable development. It can be realized only when the product's taste or hygiene satisfies the people's need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of Guamegi-related business and the strategies to develop Guamegi industry in order to find ways to manufacture Guamegi and cultivate specialized manpower for processing to make a special brand with Guamegi. Regarding the Guamegi business and the cultivation of specialized manpower for Guamegi,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o 377 persons including the business owners, employees, or civil servants related with Guamegi. It is needed to install educational institutions to cultivate specialized manpower for Guamegi and also operate various programs so as to conduct education to cultivate specialized manpower for Guamegi. And it is necessary to elevate the quality and sanitation of Guamegi and create a brand by inducing a specialized license system that can help those involved in Guamegi business have pride.

빅데이터시대의 회계교육과정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Accounting Curriculum in Big Data Age)

  • 정은한;김경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145-152
    • /
    • 2018
  • 이 논문은 빅데이터가 중심이 되는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여 회계업무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회계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빅데이터의 정의와 분석방법을 살펴보고, 회계전문분야에서 빅데이터 개발을 통한 효용성을 구체적인 언급과 함께 검토한다. 또한, 회계교육과정에 빅데이터라는 주제를 다루기 위하여 회계전문가 모임과 대학이 선택한 몇 가지 계획을 제시한다. 그 계획에 따르면 빅데이터는 회계와 재무전문가의 미래역할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그러므로 이 연구가 제안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미래세대의 회계전문가들이 빅데이터 분석과 관련된 기술을 미리 준비할 수 있도록 빅데이터 주제를 현재의 회계 교육과정에 추가하여 교육내용이 개선시키는 것이다.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의 특성화된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Specialized Programs in Curriculum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노영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59-80
    • /
    • 2005
  • 지식정보사회에서는 다양한 분야를 널리 아는 것보다 특정 분야에 특성화된 전문가를 원하며 그러한 전문가가 높이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특성화된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교육목표와 교육방향을 설계하는 대학 및 학과들이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문헌정보학 교육과정도 대학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도서관 현장의 요구에 부응할 뿐만 아니라 현재의 대학 자원과 환경을 바탕으로 개설되어야 할 것이다. 정책과 자원과 환경은 대학마다 다르므로 각 대학의 특성에 맞게 특성화된 교육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즉 표준화된 교과과정이 아닌 특성화된 교과과정의 운영과 정책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정 대학의 처한 환경과 상황을 고려하여 교과과정을 운영하는 특성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있으며 정보전문가로서의 보다 전문화되고 특성화된 자질을 갖춘 전문가를 양성하고자 한다.

가상교육 지원 시스템 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Performance of Virtual Education Systems)

  • 이영현;강성국;김명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77-85
    • /
    • 2001
  • 가상교육은 사회 전역에서 새로운 교육 수단으로서 그 위치를 넓혀 가고 있다. 가상 연수원, 가상 대학 등 많은 가상교육 기관들이 새롭게 생겨나고 있으며, 인터넷 관련 기술의 발달에 따라 원활한 가상교육을 지원하는 새로운 시스템들도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처음에는 아무런 문제없던 시스템도 학습자와 컨텐츠가 증가할수록 점차 속도가 느려지게 되고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된다. 하드웨어 장비 업그레이드를 통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지만 이는 매우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불필요한 시스템 자원의 낭비가 아닐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가상교육 지원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다양한 상황 아래에서 시뮬레이션을 통해 서버의 성능을 테스트하고 그 개선 방안을 찾아보았다. 비록 단편적인 시뮬레이션이긴 하지만 이러한 개선 방안을 기초로 하여 서버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한다면 충분한 성능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며 원활한 가상교육을 위한 자료로서도 충분한 가치가 있을 것이다.

  • PDF

초등학생을 위한 가공식품 속 식품첨가물 영양교육 요구도 조사 및 맞춤형 영양교육 자료 개발 (Need-based development of tailored nutritional education materials about food additives in processed foods for elementary-school students)

  • 김기남;이아름;이해연;김기랑;황지윤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6권4호
    • /
    • pp.357-368
    • /
    • 2013
  • Tailored nutritional education is generally found to be more effective in changing behaviors and to be more fully implemented than a non-tailored equivalen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develop tailored nutritional education materials on food additives in processed foods based on need and levels of knowledge of educational targets of elementary-school students in Seoul Metropolitan City. The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six elementary-school nutrition teachers in order to gather information and to develop a tailored quantitative questionnaire for the survey. Based on the results from 138 nutrition teachers, all answered that education on food additives in processed foods for students is necessary and both teachers and students need to receive education regarding definition, safety, and use of food additives for each processed food, in the form of video, PPT, and teaching-learning plan. Nutritional education materials for two classes were developed using video clips (grocery shopping and cooking class) about food additives in processed foods, PPTs with activity papers, two teaching-learning plans, and school newsletters to parents. In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warrants conduct of further studies short-term and long-term impacts and efficacy of tailored need-based nutrition education in promotion of healthy nutrition by conveying proper scientific knowledge regarding food additives in processed foods for elementary-school students.

일부 직장근로자들의 건강증진생활양식에 따른 치과의료기관 선택 요인 (Health promotion lifestyle to the selection factors of dental institutions among some office workers)

  • 송복녀;송귀숙;장선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79-187
    • /
    • 201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tial factors for the choice of dental institutions among adult office workers who were one of major medical consumer group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health promotion lifestyle and their choice of dental institutions, ways of boosting the efficiency of hospital management and differences in differentiation strategies among dental institutions.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60 office workers who were aged 20 and over and worked in Seoul, North Jeolla Province and South Jeolla Province. They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and a surve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1 to July 20, 2011. The answer sheets from 149 respondents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WIN 12.0 except for 11 incomplete ones. Results : As for the selection factors of dental institutions by general characteristics, they attached a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different importance to convenience according to gender(p<0.05), to reliability, facilities and cleanness according to age(p<0.05), to reliability and convenience according to academic credential(p<0.05) and to facilities and cleanness according to academic credential(p<0.01). Concerning the links between the form of using dental institutions and the selection factors of dental institutions, they gave a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different weight to reliability according to that(p<0.05). Convenience(p<0.001) was the primary selection factor of dental institutions among those who scored higher in health promotion lifestyle. Conclusions : Give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t seemed that the regular implementation of oral health plans geared toward workers an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are required to promote the oral health of workers. But this study examined the workers in several regions only, and the findings might not be generalizable.

과학영재교육센터 평가 기준 개발 (Standards for Evaluation of a Center for Scientifically Gifted Education)

  • 최돈형;강완;손연아;전영석
    • 영재교육연구
    • /
    • 제11권2호
    • /
    • pp.59-85
    • /
    • 2001
  • 본 연구는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센터의 종합적인 평가 기준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먼저, 국내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센터의 운영 현황을 분석하고 과학영재교육센터 운영에 있어서 시급한 문제점을 도출하였고, 다음으로 ‘특수목적고’와 시·도교육청이 운영하고 있는 ‘과학영재반’과의 차별성을 위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센터의 위상을 정립하기 위한 과학영재교육센터 평가의 기본 방향 및 평가틀을 구안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과학영재교육센터 평가 영역별 평가 기준 및 평가 방법을 구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과학영재교육센터 평가에 적용하기 위한 평가 종류(시기)에 따른 평가 방법과 활용 방안을 정리·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과학영재교육센터 평가 기준은 우리나라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센터의 효율적인 평가를 위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교원양성대학의 컴퓨터교육 교재개발 연구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for Computer Education in Teachers' College)

  • 박선주;김정랑;김철;전동렬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72-82
    • /
    • 2000
  • 지식기반 사회를 맞이하여 컴퓨터 교육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가고 있다. 2001년부터 컴퓨터 교육이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에 필수적으로 포함되고, 교육정보화 사업이 2000년 안에 마무리됨에 따라 교원 양성 대학에서는 예비교사들에게 학교 현장에서 필요한 컴퓨터 교육, 컴퓨터교육과정, 컴퓨터 교수법 및 교재연구등에 대한 교육들이 이루어질 수 있는 표준화된 교재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예비교사들에게 정보소양 능력뿐만 아니라 학교 현장에서 컴퓨터를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한 컴퓨터교육 교재개발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