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ucation and research area

검색결과 2,542건 처리시간 0.039초

Use of the foraging area by captive bred oriental storks (Ciconia boyciana) in a closed semi natural paddy field

  • Yoon, Jong-Min;Na, Sang-Hee;Kim, Su-Kyung;Park, Shi-Ryong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5권2호
    • /
    • pp.149-155
    • /
    • 2012
  • Rice paddy fields have been recognized as an alternative habitat for avian wetland foragers, and fish-rice farms have become a new tool in improving the abundance of aquatic animals. However, the use of the habitats by avian foragers, particularly by oriental storks ($Ciconia$ $boyciana$), was not well understood.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how a fish-rice farm influenced the abundance of aquatic animals and documented the foraging behavior of the two captive bred oriental storks in a closed semi-natural paddy field. Our results showed that the fish refuge pond (water depth 40 cm) had a higher abundance of fish whereas the areas planted with rice (water depth 20 cm) had more tadpoles and some aquatic insects. The two captive bred oriental storks captured mostly fish and aquatic insects in the rice-planted area and mostly fish in the fish refuge pond. The two oriental storks had higher foraging success and spent more time for foraging in the rice-planted area than in the fish refuge pond.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oriental storks might prefer foraging in the area with fish, aquatic insects, and amphibians under a greater success rate presumably due to shallow water depth in the paddy fields with a fish-rice farm.

학술지 "환경교육" 논문 분석을 통한 학교 환경교육 연구 동향 고찰 (A Review of Research Trends in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Focused on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

  • 황세영;서은정;이리나;홍인영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5권2호
    • /
    • pp.224-241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research trends in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We analyzed 383 research papers that specifically focused on the school context which were 66% of the total number (N=577) published in this journal between 1990~2011. We defined the characteristics of review and developed a review method by examining previous review studies in this area. The review framework for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was devised in terms of seven research areas: 1) Theories and objectives of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2) Environmental awareness, attitude and behavior, 3) Current issues in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school context, 4) Instructions and programs, 5) National Curriculum, 6)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and 7) Teacher professionalism. In this paper, we present dominant features within each category with focus on the overall trends of research methods and themes. Finally, we discuss research issues emerging out of the empirical analysis for considering the value of research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schools.

  • PDF

교육정보시스템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al Performance of Education Information System)

  • 김종환;박명종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21-233
    • /
    • 2010
  • 교육정보시스템이 교육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교육이라는 특수성을 고려하여 다차원적인 측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우리나라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의 성과를 포괄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성과 측정의 영역을 정보시스템 가치사슬의 흐름에 따라 사용자 영역, 교육프로세스 영역, 성과 영역으로 구분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연구모형으로 설정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모형을 실증적으로 검정한 결과, NEIS에 대한 사용자의 관점은 사용자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사용자의 태도변화는 과업개선, 교육혁신, 교육수요자만족, 관리통제활동과 같은 정보시스템의 교육프로세스영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NEIS는 의사소통을 통해 사용자의 만족을 가져와 교육효율성 제고의 성과를 얻는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근거한 도형영역 교수단위 추출 연구 (Extracting Teaching Units for the Area of Geometrical Figures Based o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 강완;김현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0권3호
    • /
    • pp.323-338
    • /
    • 2010
  • 이 연구는 강완, 김남준(2010) 이 Wittmann(1984)의 이론을 근거로 2007년 개정수학과 교육과정에 근거한 교수단위를 추출한 것과 동일한 방법을 통해 도형영역의 교수단위를 분석한 것이다. 교수단위는 수학에서 가르쳐야 할 내용들을 목적, 자료, 활동, 배경 등의 4 요소에 따라 알갱이 단위로 조직화 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7년 개정수학과 교육과정 도형영역에서 추출된 교수단위의 특징과 제목을 분석하여 교수단위를 개념알기형, 개념적용형, 관계알기형으로 분류하여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또한, 도형영역의 교육과정연구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그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앞으로 많은 수학연구자와 현장 교사의 참여로 교수단위가 보다 체계적으로 조직적으로 연구된다면 새로운 교육과정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모두를 위한 과학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과학 학습 정체성에 대한 사회문화적 접근 연구 동향 분석 (Research trend on the sociocultural approaches to science learning identity for the realization of 'Science Education for All')

  • 황세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87-20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육에서 다양한 학습자를 포용한다는 것은 과학 학습 참여와 소외 현상에 작동하는 사회문화적 기제를 분석하는 것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 하에 관련 연구 동향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 학습 정체성에 대한 사회문화적 접근으로 수행된 해외 학술지 논문 85편을 분석하였다. 논문 분석 결과는 먼저 연도별, 국가별 출판 수와 같은 기본적인 현황과 함께 연구 대상으로 삼은 학습자의 사회문화적 배경, 연구 맥락(상황), 연구 방법에 대한 범주별 현황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는 주요 연구 문제와 주제에 대한 이론적 틀과 구체적인 연구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해당 연구 주제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해당 분야 연구는 과학 학습을 공동체에서 참여함으로써 정체성을 발달해가는 과정으로 바라본다는 점에서 학습자가 지닌 다양한 사회문화적 정체성을 학습에 긍정적인 자원으로 바라보고자 하며, 이를 억압하는 과학수업의 문화나 사회에서의 담론을 비판함으로써 과학 학습에 있어 정당한 학습자(legitimate learner)의 범위를 확장하는데 기여해 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들은 특히 과학교육에서 공정성(equity) 이슈를 강조하며, 전통적인 과학수업에서 소외되어 온 다양한 학습자들을 포용하고 행위주체성의 발달을 촉진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모두를 위한 과학교육'의 실현을 위해서는 과학 학습의 참여와 소외 현상을 둘러싼 다양한 사회문화적 기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주장하였고 이와 관련된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Public Perception and Communication Patterns Pertaining to Nuclear Power in Korea: Focusing on the Transition Period from Pro-nuclear to De-nuclear Policy

  • Eunok Han;Yoonseok Choi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7권4호
    • /
    • pp.226-236
    • /
    • 2022
  • Background: An effective communication strategy for reducing conflicts in South Korea has been designed through the analysis of public perception and communication variables on nuclear power under the conditions of rapidly changing nuclear power policie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both qualitative research through group discussions based on social psychology and quantitative research through surveys. Results and Discussion: Nuclear power plant (NPP) area residents in favor of nuclear power indicated higher levels of communication, safety perception, and contribution than those against it. NPP area residents trusted the civilian expert groups (18.3%) and local government (17.3%) the most, while metropolitan city residents trusted the Nuclear Safety and Security Commission and the Korea Institute of Nuclear Safety (20.7%) the most. In determining nuclear power policy, both the NPP area residents (18.1%) and metropolitan city residents (17.1%) prioritized safety, health, and the environment. While metropolitan city residents thought that energy security and economic growth (16.4%) were important, NPP area residents thought the current issue of spent fuel rods (14.1%) to be important. Conclusion: It is necessary for the nuclear power industry to have and actively implement communication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based on the patterns obtained in the study results.

An Analysis of Perceptions of Students toward Software Education according to School Level

  • Kim, Seong-Won;Lee, Youngj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8호
    • /
    • pp.167-176
    • /
    • 2019
  • In this paper, we propose students' perception of software educ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school. So, in this study, 47373 students were surveyed about the perception of SW education, and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according to school type, gender, school level, experience of software education and event, and duration of software education experience. As a result, students attending software education lead schools showed the highest perception about software education, followed by software education research school and general school. In gender, males were more positive than females.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of software education in school level was higher as the school level was lower, but the perception and career area of software education was higher as the school level was higher. In addition, software training and event experience have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perception of software education, and the perception of software education changes positively as the duration of software education increases.

우리나라에서의 간호연구 우선순위 (Priorities of Nursing Research Areas in Korea)

  • 오의금;김조자;유지수;고일선;김미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803-811
    • /
    • 2002
  • This study was to identify priority areas of nursing research in Korea. Method: A data analysis was done for the PhD subjects (n=133) who responded at the national level two-rounds delphi survey. Subjects were asked to assign a score from 1 to 7 for 29 nursing research areas regarding 3 aspects: the degree of nurses research leadership; the degree of contribution to nursing professions; and the degree of contribution to health and welfare of patients/clients. Result: For the overall three aspects, research area on clinical nursing practice was identified as the first priority, followed by nursing education, home health nursing, nursing research, and chronic disease. For nursing research leadership, research area on clinical nursing practice, nursing education, home health nursing, nursing research, and nursing diagnosis were identified. Concerning contribution to the nursing profession, the first priority was nursing education, followed by clinical nursing practice, nursing research, nursing policy, and home health nursing. Concerning contribution to the health/welfare of patients, clinical nursing practice, home health care, geriatric nursing, chronic disease, and symptom management were ranked as top 5 research prioritie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national survey will assist in building insights into the research needs of nurses practicing in Korea.

학생 안전체험교육시설 구축을 위한 체험형 안전교육프로그램 도출 기초연구 - 「학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을 중심으로 - (The basic study on extracting experiential type safety education programs for establishing safety-experience-education-facilities - focused on 「school safety education 7 standards」 -)

  • 조진일;송병준;박성철;장재원;방영현;윤형욱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5권2호
    • /
    • pp.1-12
    • /
    • 2016
  • 본 연구는 2015년 교육부에서 발표한 "학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을 기준으로 학생 안전체험교육시설 구축을 위한 체험형 안전교육프로그램 도출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안전체험교육시설의 개념을 조작적으로 정의하였고, "학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의 총 758차시에 대한 구성 체계 및 학습내용을 분석하여 7대 안전 분야별 전문가를 대상으로 2차에 걸쳐 전문가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1차 전문가 조사를 통해서는 총 758차시의 교육내용 중 체험형 안전교육프로그램을 총 150차시로 선정되었고, 선정된 프로그램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2차 전문가 조사를 델파이 기법을 통해 진행한 결과 총 5차시의 프로그램이 삭제되어 최종 145차로 결정되었다. 분야별 구체적인 프로그램 차시는 생활안전 분야 21차시, 교통안전 분야 22차시, 폭력 신변안전 분야 18차시, 약물 사이버중독 분야 5차시, 재난안전 분야 36차시, 직업안전 분야 10차시, 응급처치 분야 33차시로 선정되었다.

폐광산 지역의 근권 토양에 분포하는 수지상균근균 포자의 다양성 (Spore Diversity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in a Post-mining Area in Korea)

  • 박혁;이은화;가강현;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82-86
    • /
    • 2016
  • 충북 제천의 폐광산 지역의 근권 토양과 인근 일반 산림 지역의 근권 토양을 수집하여 토양 내의 수지상균근균(AMF)의 다양성 및 군집 구조를 확인하였다. 폐광산 지역의 근권 토양은 Acaulospora mellea, 일반 산림 지역의 토양은 Ambispora leptoticha가 우점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군집 구조를 분석한 결과, 폐광산 지역의 근권 토양에서 일반 산림 지역의 근권 토양보다 AMF 포자 수가 많은 것을 확인하였고, 두 지역의 종 다양성 지수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으나 일반 산림 토양의 군집 내 유사도 지수가 폐광산 지역의 근권 토양보다 유의미한 수준으로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란의 차이에 의해 AMF의 군집이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