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ge feature

검색결과 552건 처리시간 0.032초

A New Image Enhancement Algorithm Based on Bidirectional Diffusion

  • Wang, Zhonghua;Huang, Xiaoming;Huang, Faliang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6권1호
    • /
    • pp.49-60
    • /
    • 2020
  • To solve the edge ringing or block effect caused by the partial differential diffusion in image enhancement domain, a new image enhancement algorithm based on bidirectional diffusion, which smooths the flat region or isolated noise region and sharpens the edge region in different types of defect images on aviation composites, is presented. Taking the image pixel's neighborhood intensity and spatial characteristics as the attribute descriptor, the presented bidirectional diffusion model adaptively chooses different diffusion criteria in different defect image regions, which are elaborated are as follows. The forward diffusion is adopted to denoise along the pixel's gradient direction and edge direction in the pixel's smoothing area while the backward diffusion is used to sharpen along the pixel's gradient direction and the forward diffusion is used to smooth along the pixel's edge direction in the pixel's edge region. The comparison experiments were implemented in the delamination, inclusion, channel, shrinkage, blowhole and crack defect images, and the comparison results indicate that our algorithm not only preserves the image feature better but also improves the image contrast more obviously.

MPEG 압축 영상에서의 고속 특징 요소 추출을 이용한 장면 전환 검출과 키 프레임 선택 (Scene Change Detection and Key Frame Selection Using Fast Feature Extraction in the MPEG-Compressed Domain)

  • 송병철;김명준;나종범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155-163
    • /
    • 1999
  • 본 논문은 새로운 장면 전환 검출과 키 프레임 선태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MPEG 압축 동영상에서 직접 DC 영상 및 에지(edge) 영상을 추출하여 이용하는데, 공간 영역으로 변환 후 에지 연상을 추출할 경우 계산량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그 계산량을 줄이기 위해 DCT 블록 당 5개의 저 대역 AC 계수들만을 이용하여 축소된 에지 영상을 고속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AC 예측(prediction)을 이용한 고속 에지 추출 기법도 추가적으로 제안하였다. 화질 측면에서 전자가 후자보다 약간 우수하지만, 두 방법 모두 영상의 중요한 에지 특징들을 잘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얻어진 에지 영상 및DC 영상을 이용하여 에지 에너지 다이어그램(dege energy diagram)과 히스토그램(histogram)을 구하여 급진적인 장면 전환 및 페이드(fade), 디졸브(dissolve) 같은 점진적인 장면 전환을 정확하게 검출함을 모의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공간 영역에서 구한 에지 영상들에 비해 제안한 방법들에 의한 에지 영상들이 점진적인 장면 검출에 있어 훨씬 적은 계산량으로 비슷한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HVS(human visual system)에 기반하여 각 장면에서 키 프레임을 선택하는 방법도 제안하였다. 위에서 얻어진 에지 및 DC 영상을 이용하기 때문에 optical flow를 이용하는 기존 방법에 비해 적은 계산량으로 의미 있는 키 프레임을 선택할 수 있었다.

  • PDF

문자-에지 맵의 패턴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자연이미지에서의 텍스트 영역 추출 (Text Region Extraction using Pattern Histogram of Character-Edge Map in Natural Images)

  • 박종천;황동국;이우람;권교현;전병민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220-224
    • /
    • 2006
  • 자연이미지에 포함된 텍스트는 많은 중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므로 자연이미지에서 텍스트를 추출할 수 있다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문자-에지 맵 패턴 히스토그램 분석함으로서 텍스트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캐니-에지 검출기로 에지를 추출하여 16가지 에지 맵을 생성하고, 에지 맵을 조합하여 문자 특징을 갖는 8가지 문자-에지 맵을 생성한다. 8가지 문자-에지 맵과 16가지 에지 맵을 이용하여 텍스트 후보 영역을 추출하고, 문자-에지 맵의 패턴 히스토그램 및 텍스트 영역의 구조적 특징을 이용하여 텍스트 후보 영역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다양한 종류의 자연이미지를 대상으로 실험하였고, 복잡한 배경, 다양한 글꼴, 다양한 텍스트 컬러로 구성된 자연이미지에서 텍스트 영역을 효과적으로 추출하였다.

  • PDF

HAQ 알고리즘과 Moment 기반 특징을 이용한 내용 기반 영상 검색 알고리즘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Algorithm Using HAQ Algorithm and Moment-Based Feature)

  • 김대일;강대성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1권4호
    • /
    • pp.113-120
    • /
    • 2004
  • 본 논문은 내용 기반 검색 기법에 의한 보다 효율적인 특징 추출 및 영상 검색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먼저, MPEG 비디오의 key frame을 입력 영상으로 하여 Gaussian edge detector를 이용하여 객체를 추출하고, 그에 따른 객체 특징들, location feature distributed dimension feature와 invariant moments feature를 추출하였다. 다음, 제안하는 HAQ (Histogram Analysis and Quantization) 알고리즘으로 characteristic color feature를 추출하였다. 마지막으로 key frame이 아닌 shot frame을 질의영상으로 하여 제안된 matching 기법에 따라 4가지 특징들의 단계별 검색을 수행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사용자가 요구하는 장면이 속한 비디오의 shot 경계 내의 key frame을 검색하는 새로운 내용 기반 검색 알고리즘을 제안함에 있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10개의 뮤직비디오, 836개의 시험 영상으로 실험한 결과, 효과적인 검색 효율을 보였다.

Measurement Resolution of Edge Position in Digital Optical Imaging

  • Lee, Sang-Yoon;Kim, Seung-Woo
    • International Journal of Precision Engineering and Manufacturing
    • /
    • 제1권1호
    • /
    • pp.49-55
    • /
    • 2000
  • The semiconductor industry relies on digital optical imaging for the overlay metrology of integrated circuit patterns. One critical performance demand in the particular application of digital imaging is placed on the edge resolution that is defined as the smallest detectable displacement of an edge from its image acquired in digital from. As the critical feature size of integrated circuit patterns reaches below 0.35 micrometers, the edge resolution is required to be less than 0.01 micrometers. This requirement is so stringent that fundamental behaviors of digital optical imaging need to be explored especially for the precision coordinate metrology. Our investigation reveals that the edge resolution shows quasi-random characteristics, not being simply deduced from relevant opto-electronic system parameters. Hence, a stochastic upper bound analysis is made to come up with the worst edge resolution that can statistically well predict actual indeterminate edge resolutions obtained with high magnification microscope objectives.

  • PDF

에지 특징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패널 설비의 얼라인 시스템 (Alignment System for Display Panel using Edge Feature)

  • 이호훈;이대종;전명근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260-265
    • /
    • 2015
  • 본 논문은 에지 특징을 이용한 얼라인 시스템을 제안한다. 얼라인 시스템은 PCB나 LCD 패널 등에 새겨진 기준 마크(fiducial mark)를 통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그러므로 획득한 영상에서 정확하게 기준 마크를 찾는 것이 얼라인 시스템 성능의 지표가 된다. 에지 특성은 위치, 길이, 형태 등의 기하학적 특징을 지니며 이런 특징은 기준 마크를 찾기 위해 적절하고, 밝기의 변화, 크기 및 각도의 변화에 강한 특성을 지닌다. X, Y 축 이동 및 회전 할 수 있는 장비와 소프트웨어을 이용한 얼라인먼트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작품의 경계 형태 분석에 의란 예술품의 진위 판정 (Author Verification by the Analysis of Edge Structures in Art Works)

  • 조동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39-45
    • /
    • 2002
  • 고문헌이나 예술품에 대한 저작자의 진위 여부 판정은 문화재 관리 측면이나 소장자의 재산가치 평가를 위해 상당히 중요한 측면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문화재청의 전문가들이 진위 판정을 행하고 있는데 이는 경제적 비용이 상당히 소요된다. 따라서 이를 컴퓨터에 의해자동으로 행하는 시스템의 개발에 대한 사회적 욕구가 증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해 작품의 경계 형태 분석에 의해 저작자의 진위 여부를 판정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El. 이는 진품 판정에서 생각할수 있는 여러 1띠 특징 벡터 중 우선적으로 중요한 특징 벡터하고 생각되기 때문이며 차후여러 가지 특징 벡터를 취합하여 저작자의 진위 판정을 종합적으로 행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최종적으로 본 논문의 유용성을 실험에 의해 입증코자 한다.

  • PDF

Wavelet 변환 영역에서 칼라 정보와 GLCM 및 방향성을 이용한 영상 검색 (Image Retrieval Using Color feature and GLCM and Direction in Wavelet Transform Domain)

  • 이정봉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2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585-589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효과적인 특징 추출을 기반으로 한 계층적인 검색 시스템을 제안한다. 조명 변화 및 영상의 이동과 크기 변화 그리고 회전과 같은 기하학적 변형에도 강한 속성을 가지는 영상 검색을 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질의 영상을 웨이블릿(Wavelet) 변환을 한 후 동일한 크기의 부영역으로 나누어진 저대역 부밴드에서 칼라의 특징으로 추출된 모멘트와 질감 특징인 GLCM(Gray Level Co-occurrence Matrix)의 Contrast를 사용해 유사 영상들의 1차 분류 과정을 거친다. 보다 정확한 검색을 수행하기 위해 1차 분류된 후보 영상들에 대해 고대역 부밴드에서 추출된 수평, 수직, 대각선 방향별 에너지(Energy)를 기반으로 한 에너지의 상대적인 성분 분포의 비교가 수행됨으로써 효율적인 영상 검색 결과를 보였다.

  • PDF

FCM 군집화 알고리즘에 의한 얼굴의 특징점에서 Gabor 웨이브렛을 이용한 복원 (Reconstruction from Feature Points of Face through Fuzzy C-Means Clustering Algorithm with Gabor Wavelets)

  • 신영숙;이수용;이일병;정찬섭
    • 인지과학
    • /
    • 제11권2호
    • /
    • pp.53-58
    • /
    • 2000
  • 본 논문은 FCM 군집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표정영상에서 특징점들을 추출한 후 추출된 특징점으로부터 Gabor 웨이브렛들을 이용하여 표정영상의 국소영역을 복원한다. 얼굴의 특징점 추출은 두단계로 이루어진다. 1단계는 이차원 Gabor 웨이브렛 계수 히스토그램의 평균값을 적용하여 얼굴의 주요 요소성분들의 경계선을 추출한 후, 2단계에서는 추출된 경계선 정보로부터 FCM 군집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얼굴의 주요 요소성분들의 최종적인 특징점들을 추출한다. 본 연구에서는 FCM 군집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추출된 적은 수의 특징점들 만으로도 표정영상의 주요 요소들을 복원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이것은 인간의 얼굴 표정인식 뿐만아니라 물체인식에도 적용되어질 수 있다.

  • PDF

블록 유형 분류 알고리즘 기반 고속 특징추출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the High Speed Feature Extraction System Based on Block Type Classification)

  • 이주성;안호명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86-191
    • /
    • 2019
  • 본 논문은 고속 특징추출 알고리즘의 구현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블록 유형 분류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블록 유형 분류 알고리즘 적용 시, 영상 특징 정보가 발생하지 않는 스무스 블록에서 연산을 생략하여 영상 특징 검출에 필요한 연산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200장의 표준 테스트 이미지를 활용해 매크로 블록의 크기를 $64{\times}64$로 나누어 스무스 블록의 발생 빈도를 측정한 결과 전체의 29.5%만큼 발생하는 것을 정량적으로 확인했다. 이 의미는 다양한 영상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표준 테스트 이미지 내에서는 29.5%에 해당하는 만큼 연산의 복잡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제안된 방법을 케니 윤곽선 검출 알고리즘에 적용하면 이차원 미분 필터, 그라디언트 크기 및 방향 연산, 비최대 억제, 적응형 임계값 연산, 히스테리시스 임계 처리와 같은 총 다섯 단계의 영상처리에 필요한 지연시간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다양한 특징 검출 알고리즘에 블록 유형 구분 알고리즘을 적용해, 연산에 필요한 시간을 감소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