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topic

검색결과 538건 처리시간 0.024초

상악 절치부에 매복된 다수 과잉치의 외과적 발거 (SURGICAL EXTRACTION OF MULTIPLE SUPERNUMERARY TEETH BY TWO-STAGE PROCEDURE)

  • 홍은혜;김성오;이제호;최형준;손흥규;최병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33-338
    • /
    • 2008
  • 과잉치란 정상에 비해 많은 수의 치아를 일컫는 것으로 유치열기와 혼합치열기에 발생하며, 여러 가지 임상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상악 전치부의 과잉치는 상악 전치의 맹출 장애 및 전위, 정중부의 치간 이개, 치근 흡수, 함치성낭종 형성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조기에 진단하고, 과잉치의 위치 및 수, 형태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증례는 상악 전치부에 네 개의 과잉치가 영구치의 맹출을 방해하고 있는 경우로, 발거 시 합병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두 단계로 나누어 발거하였다. 컴퓨터 단층 촬영에서 네 개의 과잉치가 주위의 영구치 맹출을 방해하고 있었고, 그 중 두 개의 과잉치는 절치 치배에 매우 근접해 있었다. 네 개의 과잉치를 동시에 제거할 경우 영구 치배에 손상을 줄 위험이 있으므로 두 개의 역위 매복된 원추형의 과잉치만 먼저 발거하였다. 남은 두 개의 과잉치는 위치가 변화되기를 기다린 후 두 번째 발거 수술을 시행하여, 주위 절치 치배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치조골 삭제를 적게 하여 합병증 발생을 줄일 수 있었다.

  • PDF

전위된 상악 견치 및 하악 측절치의 치험례 (TREATMENT OF TRANSPOSED MAXILLARY CANINE AND MANDIBULAR LATERAL INCISOR: A CASE REPORT)

  • 권해숙;현홍근;김영재;김정욱;장기택;김종철;한세현;이상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647-653
    • /
    • 2009
  • 치아전위란 인접한 두 치아의 위치가 서로 바뀐 치아 위치 이상을 말하며, 치관과 치근의 위치에 따라 완전전위와 불완전전위로 나눌 수 있다. 하악보다는 상악에 편측성으로 호발하며, 특히 상악 견치에서 자주 발생한다. 전위는 발견 시기와 전위된 양상에 따라 치료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본 증례는 상악 견치와 제1소구치 간의 전위가 일어난 10세 7개월의 환아와 하악 측절치와 견치 간의 전위가 일어난 8세 11개월 환아와 8세 9개월 환아의 교정치료에 대한 것으로 양호한 치료 결과를 얻었고, 증례 별로 치료방법의 차이점에 관한 고찰을 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중앙 경부 수술의 과거력이 있는 환자에서의 방사능 유도 최소 침습 부갑상선 절제술의 유용성 (Usefulness of Minimally Invasive Radio-Guided Parathyroidectomy in Patients with Prior Central Neck Exploration)

  • 이성환;김법우;김국진;이용상;정종주;남기현;정웅윤;장항석;박정수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8-142
    • /
    • 2009
  • Introduction : Although bilateral exploration has been thought to be the standard therapeutic modality for primary hyperparathyroidism(pHPT) due to the admirable cure rate, questions have remained as to whether bilateral neck exploration for all patients with pHPT is needed because 80-85% of patients with pHPT have a single parathyroid adenoma. If the diseased parathyroid can be determined preoperatively, a directed and minimal operation is appropriate using the recent innovations of preoperative diagnosis and operation techniques for parathyroid diseases, the radio-guided parathyroid surgery(RGPS) is one of the standards. In especial, RGPS has been reported beneficial in special circumstances, such as in recurrent disease, ectopic parathyroid, and in mediastinal parathyroid. It can be also useful for the parathyroid disease in previously explored or irradiated neck. Material and Methods : We experienced 2 cases of pHPT successfully treated by RGPS in who previously underwent extensive neck dissection and concomitant external or internal radiotherapy. We adopted and modified the technique described by Dr. James Norman at the University of South Florida-the minimally invasive parathyroidectomy using intraoperative nuclear mapping with 99mTc-sestamibi scanning and radioactivity detection probe. Results : We acquired the successful results for these patients. Conclusion : RGPS is thought to be the alternative technique for the patients with prior central neck exploration and irradiation.

HDAC 저해제에 의한 인체 백혈병 U937 세포의 apoptosis 유발에 미치는 Bcl-2의 영향 (Effects of Bcl-2 Overexpressing on the Apoptotic Cell Death Induced by HDAC Inhibitors in Human Leukemic U937 Cells)

  • 이준혁;허만규;박동일;최병태;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52-56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인체백혈병세포 U937에서 HDAC 저해제에 의한 증식억제, 세포주기 교란 및 apoptosis 유도에 미치는 Bcl-2 유전자의 영향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U937/vector 및 U937/Bcl-2 세포주를 대상으로 대표적인 HDAC 저해제인 TSA 및 Na-B 처리에 의한 세포 증식 및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TSA에 의한 U937 세포의 증식억제 및 생존율의 감소는 Bcl-2의 과발현에 의하여 차단되는 효과를 보였으나, Na-B는 U937/vector 및 U937/Bcl-2세포사이에 큰 변화를 보이지는 않았다. 세포주기 교란효과에서 Na-B는 TSA에 비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못하였으며, 이는 TSA에 의한 apoptosis가 U937/Bcl-2 세포에서는 억제되었으나, Na-B에 의한 apoptosis는 Bcl-2의 과발현에 의하여 차단되지 못한 것과 연관성이 있는 결과였다. 또한 TSA에 의한 apoptosis 유발의 Bcl-2에 의한 차단 효과는 TSA에 의하여 활성화된 caspase의 활성 억제, Bcl-2 발현 자체의 완화 등 apoptosis 조절 인자들의 발현 및 활성 변화에 기인 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2b 유전자 발현 담배의 형태 및 전사체 분석 (Phenotypic and Transcriptomic Analysis of Nicotiana benthamiana Expressing Cucumber mosaic virus 2b gene)

  • 손성한;김윤희;안율균;김도선;원소윤;김정선;최홍수
    • 식물병연구
    • /
    • 제21권3호
    • /
    • pp.186-192
    • /
    • 2015
  •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2b 유전자는 전사후유전자침묵(PTGS)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진 억제인자이다. 식물체내 2b 유전자 기능을 분석하기 위해 Nicotiana benthamiana에 형질전환하였고 형태변화와 유전자 발현변화를 분석하였다. 8계통의 2b 유전자 형질전환체 중에서 1개의 유전자가 T0 개체에 삽입된 계통은 3개였다. 2b 유전자 형질전환체는 일반적으로 종자 확보가 어려웠지만 다행히 일부 배수화되지 않은 계통(hemizygote)에서는 소량의 종자가 확보되어 계통유지가 가능하였다. 고정계통의 전사체를 해독하여 대조와 비교분석한 바, 2b 유전 자는 특정유전자의 발현을 선택적으로 증대시키는 것이 아닌 다수의 유전자를 비선택적으로 발현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2b 유전자가 세포질에 존재하는 다양한 RNA의 대사중 분해를 억제하여 세포질내 RNA가 축적되고 이로 인해 단백질 합성도 증대되어 정상적 생장발달이 저해되고 기형적인 형태의 식물체가 되는 요인으로 판단된다.

BRAF(V600E) 돌연변이 갑상선 역형성암에서 BRAF(V600E) 억제에 의한 EGFR 발현 증가가 표적치료에 대한 저항성발현과 상피-간질세포이행과정에 미치는 영향분석 (Mechanism of Resistance and Epithelial to Mesenchymal Transition of BRAF(V600E) Mutation Thyroid Anaplastic Cancer to BRAF(V600E) Inhibition Through Feedback Activation of EGFR)

  • 변형권;나휘정;양연주;박재홍;권형주;장재원;반명진;김원식;신동엽;이은직;고윤우;최은창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53-61
    • /
    • 2014
  • Background and Objectives : Anaplastic thyroid carcinoma(ATC) is a rare but highly aggressive thyroid malignancy that is associated with an extremely poor survival despite the best multidisciplinary care. BRAF(V600E) mutation is detected in about a quarter of ATC, but unlike its high treatment response to selective BRAF inhibitor (PLX4032) in metastatic melanoma, the treatment response of ATC is reported to be lo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nate resistance mechanism responsible for this low treatment response to BRAF inhibitor and its effect on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EMT). Materials and Methods : Two ATP cell lines, 8505C and FRO were selected and treated with PLX4032 and its drug sensitivity and effects on cell migration and EMT were examined and compared. Further investigation on the changes in signals responsible for the different treatment response to PLX4032 was carried out and the same experiment was performed on both orthotopic and ectopic xenograft mouse models. Results : FRO cell line was more sensitive to PLX4032 treatment compared to 8505C cell line. The resistance to BRAF inhibition in 8505C was due to increased expression of EGFR. Effective inhibition of both EGFR and p-AKT was achieved after dual treatment with BRAF inhibitor(PLX4032) and EGFR inhibitor(Erlotinib). Similar results were confirmed on in vivo study. Conclusion : EGFR-mediated reactivation of the PI3K/AKT pathway and MAPK pathway contributes to the relative insensitivity of BRAF(V600E) mutant ATC cells to PLX4032. Dual inhibition of BRAF and EGFR leads to sustained treatment response including cell invasiveness.

애기장대의 염해 저항성 관련 유전자의 기능적 선별 (Functional Screening of Plant Genes Suppressed Salt Sensitive Phenotype of Calcineurin Deficient Mutant through Yeast Complementation Analysis)

  • 문석준;박수권;황운하;이종희;한상익;남민희;박동수;신동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7
    • /
    • 2013
  • 작물의 생산성 증가를 위해 염해 저항성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식물의 염해 저항성에 관련된 유전자를 확보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선별방법이 개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애기장대의 cDNA 라이브리를 염해감수성 효모인 cnb 돌연변이체에 삽입하여 염해 감수성 표현형을 회복하는 콜로니를 선발하였다. 이 선별방법을 통하여 34종의 cnb 돌연변이체의 염해 감수성을 회복하는 콜로니를 선별하였으며, 염기서열분석을 통하여 CaS와 AtSUMO1, AtHB-12 등 9종의 유전자임을 확인하였다. 이들 유전자 중 CaS의 발현이 염해 저항성을 증가시키는 것과 염해 처리에 의해 CaS의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CaS 발현억제 형질전환체는 100 mM 염처리에 의하여 뿌리생장이 저해되었다. 또한 150 mM 염처리에 의하여 CaS 발현억제 형질전환체의 잎에서 백화현상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CaS 유전자가 효모와 식물에서 염해 저항성에 중요한 유전자임을 증명하였다.

가성부갑상선 기능저하증 환아의 구강 증상 (PSEUDOHYPOPARATHYROIDISM : CASE REPORT)

  • 김성오;홍은경;최형준;이제호;손흥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62-266
    • /
    • 2004
  • 부갑상선 호르몬은 혈중 인농도를 낮추고, 칼슘농도를 증가시키는 호르몬으로 부갑상선기능저하증은 부갑상선이 존재하지 않거나 비정상적으로 기능하여 이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되는 질환이며, 가성부갑상선기능저하증은 부갑상선 호르몬 분비는 정상이나, 이 호르몬에 대한 골과 신장의 반응이상으로 혈중 칼슘 농도가 감소되고 인농도가 증가되는 질환이다. 가성부갑상선기능저하증은 임상적으로 성장 및 발육부전, 둥근 얼굴, 조기 골단폐쇄로 인한 단지증, 이소성 연조직 석회화, 비만, 두개관의 비후, 정신지체, 백내장 등이 나타난다. 구강내 소견으로는 치아의 맹출지연, 법랑질형성부전이 가장 큰 특징이며, 그 외에 결손치, 부정교합, 높은 구개궁, 확장된 치근관과 짧은 치근, 치수강 내 석회화, 높은 우식 이환율 치근막의 비후 등이 관찰된다. 본 증례에서 환아의 구강내 소견은 맹출한 하악 4전치와 상악 좌우측 영구 중절치, 상악 우측 영구 측절치, 상, 하악 제 1대구치에서 법랑질형성부전을 보였고, 다수의 유치에서 심한 동요도를 보였다. 방사선 소견으로는 대부분의 미맹출된 영구치들도 법랑질형성부전이 관찰되었으며, 특히 영구 견치의 경우 심한 치관의 형태이상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유치의 비정상적인 치근흡수가 나타났고, 하악 전치의 경우 치근형태가 짧고, 치근단이 둥근 형태로 나타났다. 이에 저자는 가성부갑상선기능저하증인 환아의 구강내 소견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 PDF

MicroRNA-766-3p Inhibits Tumour Progression by Targeting Wnt3a in Hepatocellular Carcinoma

  • You, Yu;Que, Keting;Zhou, Yun;Zhang, Zhen;Zhao, Xiaoping;Gong, Jianpin;Liu, Zuojin
    • Molecules and Cells
    • /
    • 제41권9호
    • /
    • pp.830-841
    • /
    • 2018
  • Recent studies have indicated that microRNAs (miRNAs) play an important role in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progression. In this study, we showed that miR-766-3p was decreased in approximately 72% of HCC tissues and cell lines, and its low expression level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umour size, TNM stage, metastasis, and poor prognosis in HCC. Ectopic miR-766-3p expression inhibited HCC cell proliferation, colony formation, migration and invasion. In addition, we showed that miR-766-3p repressed Wnt3a expression. A luciferase reporter assay revealed that Wnt3a was a direct target of miR-766-3p, and an inverse correlation between miR-766-3p and Wnt3a expression was observed. Moreover, Wnt3a up-regulation reversed the effects of miR766-3p on HCC progression. In addition, our study showed that miR-766-3p up-regulation decreased the nuclear ${\beta}-catenin$ level and expression of Wnt targets (TCF1 and Survivin) and reduced the level of MAP protein regulator of cytokinesis 1 (PRC1). However, these effects of miR-766-3p were reversed by Wnt3a up-regulation. In addition, PRC1 upregulation increased the nuclear ${\beta}-catenin$ level and protein expression of TCF1 and Survivin. iCRT3, which disrupts the ${\beta}-catenin-TCF4$ interaction, repressed the TCF1, Survivin and PRC1 protein levels. Taken together, our results suggest that miR-766-3p down-regulation promotes HCC cell progression, probably by targeting the Wnt3a/PRC1 pathway, and miR-766-3p may serve as a potential therapeutic target in HCC.

Phosphate가 제거된 단순배양액 중 아미노산의 첨가가 체외수정시술 후 임신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mino Acids in Simple Phosphate-Free Media on Pregnancy Rate in Human In Vitro Fertilization and Embryo Transfer(IVF-ET))

  • 이지삼;홍정의;유승환;정구성;홍기언;전은숙;허영문;이종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6권2호
    • /
    • pp.239-249
    • /
    • 1999
  • The role of amino acids in culture media for IVF-ET was examined in a total of 76 cycles. Patients received clomiphene citrate (CC) followed by hMG or GnRH-a combined with gonadotropins (FSH/hMG) for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Severe male (<$4{\times}10^6$ motile sperm) or age factor (>39 y) patients were excluded in this study. Pregnancy was classified as clinical if a gestational sac or fetal cardiac activity was seen on ultras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ge, duration of infertility, follicle size, the level of $E_2$ on the day of hCG injection, the mean number of oocytes retrieved, total motile sperm count, fertilization rate and the mean number of embryos transferred between bHTF (without amino acids) and mHTF (with amino acids) groups. However, total ampules of gonadotropins were higher (p<0.01) in mHTF group than bHTF group. Significantly (p<0.05) more clinical pregnancies were recorded in mHTF group (13/30) compared with bHTF group (9/46). The multiple pregnancy rates were 11.1% in bHTF group and 7.7% in mHTF group. There were one ectopic pregnancy in mHTF group and one heterotopic pregnancy in bHTF group. Abortion rates were 22.2% in bHTF group and 7.7% in mHTF, respectively. The ongoing pregnancy or livebirth rate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mHTF group (12/30) than bHTF group (7/46).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ddition of amino acids in culture media is essential for culture of zygotes in vitro and adjustment of energy substrates in phosphate-free culture media appears to be beneficial for human IVF-ET proced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