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chinochloa crus-galli

검색결과 260건 처리시간 0.028초

Naproanilide의 벼와 잡초간(雜草間) 선택성(選擇性) 기작(機作)에 관한 연구(硏究)- I. 벼와 잡초간(雜草間) Naproanilide의 선택성(選擇性) (Selective Mode of Action of Naproanilide in Rice and Paddy Weeds- I. Selectivity of Naproanilide between Rice and Paddy Weeds)

  • 최종명;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03-108
    • /
    • 1990
  • Naproanilide의 선택성(選擇性) 작용기작(作用機作)을 구명(究明)하기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로서 이용하고자 발아실험(發芽實驗), 수경재배실험(水耕栽培實驗)과 폿트실험(實驗)을 수행하였다. 1. Naproanilide는 발아실험(發芽實驗)에서 벼나 강피에 비해 올챙고랭이, 올미, 너도방동사니의 생장(生長)을 더 심하게 억제(抑制)시켰으며 줄기보다는 뿌리의 생장억제정도(生長抑制程度)가 심하였다. 2. Naproanilide는 수경재배실험(水耕栽培實驗)에서 $20{\mu}M$ 이상의 고농도(高濃度)에서는 전(全) 초종(草種) 심한 생육억제현상(生育抑制現象)을 보였으나 올미는 $1{\mu}M$, 너도방동사니는 $10{\mu}M$의 농도(濃度)에서 심한 억제현상(抑制現象)을 나타냈다. 3. Naproanilide는 폿트실험(實驗)에서 대조구(對照區)에 비해 벼의 초장(草長), 분얼수(分蘖數) 및 지하부(地下部) 건물중(乾物重)과 강피의 지상부(地上部) 건물중(乾物重) 및 잔존(殘存) 잡초본수(雜草本數)에 큰 영향을 주지 못했으나 올챙고랭이, 사마귀풀 및 물달개비 등의 일년생잡초(一年生雜草)는 15g/a에서, 올미 및 너도방동사니 등의 다년생잡초(多年生雜草)는 30g/a에서 잔존본수(殘存本數) 및 지상부(地上部) 건물중(乾物重)의 급격한 감소(減少)를 보였다.

  • PDF

Dithiopyr(MON-7200)의 제초작용특성(除草作用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 2. Dithiopyr의 제초효과(除草效果) 변동요인(變動要因) (Studies on the Herbicidal Properties of Dithiopyr(MON-7200) - 2. Variation of Weeding Effect of Dithiopyr)

  • 양환승;최연철;최은석;김창봉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38-244
    • /
    • 1989
  • 신규(新規) 제초제(除草劑)에 dithiopyr의 제초효과(除草效果) 변화(變化)에 미치는 각종(各種) 재배(栽培) 화경조건(環境條件)의 영향(影響)에 대하여 조사(調査)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Dithiopyr는 추천약량(推薦藥量)의 1/3수준(水準)인 0.04kg a.i./ha 약량(藥量)에서도 피, 물달개비 등에 대하여 89.3% 이상의 효과(效果)가 있었고, 0.08kg a.i./ha 약량(藥量) 이상부터는 100%의 방제율(防除率)을 보였다. 제초효과(除草效果)는 토성(土性), 누수량(漏水量), 온도(溫度), 담수심(湛水深), 관수시간(換水時間)의 차이(差異)에 따른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다. 제초효과(除草效果)는 이앙전(移秧前) 처리(處理) 혹은 이앙(移秧) 후(後) 12일 이상(以上)의 처리(處理)보다는 5-8일 처리(處理)가 높았다.

  • PDF

Rice Bran Application under Deep Flooding can Control Weed and Increase Grain Yield in Organic Rice Culture

  • Yan, Yong-Feng;Fu, Jin-Dong;Lee, Byun-Woo
    • Journal of Crop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0권2호
    • /
    • pp.79-85
    • /
    • 2007
  • Rice bran application just after transplanting has been increasingly practiced as an herbicide-substitute for organic rice production in Korea. However, this practice is frequently reported to be unsatisfactory in weed suppression. An experiment with five treatments that combines flooding depth, rice bran application dose, and herbicide treatment was done in the paddy field to evaluate whether rice bran application under deep flooding can lead to a successful weed control in compensation for the single practice of rice bran application. Rice bran was broadcasted on the flood water surface just after deep flooding of 8 to 10cm that was started at seven days after transplanting. In the shallow flooding plot without herbicide six weed species were recorded: Monochoria vaginalis, Echinochloa crus-galli, Ludvigia prostrate, Cyperus amuricus, Aneima keisak, and Bidens tripartite. Among the first four dominant weed species, deep flooding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occurrence of Echinochloa crus-galli and Cyperus amuricus while did not suppress the occurrence of Monochoria vaginalis and Ludwigia prostrate. On the contrary, rice bran application under deep flooding suppressed significantly Monochoria vaginalis and Ludwigia prostrate while didn't exert an additional suppression of Echinochloa crus-galli and Cyperus amuricus compared to deep flooding alone. Rice bran application and deep flooding suppressed complimentarily all the six weed species to a satisfactory extent except for Monochoria vaginalis of which suppression efficacy was 31.9%. Deep flooding reduced the panicle number substantially by inhibiting the tiller production, increased the spikelet number per panicle slightly, and leaded to a lower rice grain yield compared to shallow flooding with herbicide. Rice bran application under deep flooding mitigated the panicle reduction due to deep flooding, increased the spikelets per panicle significantly, and thus produced even higher grain yield in the rice bran application of 2000kg $ha^{-1}$ as compared to the shallow flooding treatment with herbicide. In conclusion, this practice applying rice bran under deep flooding would be promising to be incorporated as an integral practice for an organic rice farming system.

  • PDF

피의 발생(發生)에 미치는 담수심(湛水深)의 영향(影響) (Effects of Different Water Depths on Emergence of Barnyardgrass, Echinochloa crus-galli P. Beauv.)

  • 강병화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7-12
    • /
    • 1986
  • 토양(土壤)의 수분상태(水分狀態)가 피의 발생(發生)과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기 위(爲)하여 완전(完全)히 휴면(休眠)이 타파(打破)된 피종자(種子)가 고르게 썩인 사양토(砂壤土)를 사용(使用)하여 담수심(湛水深)을 -12, -8, -4, 0, 4, 8, 12, 16, 20, 24cm 등(等)의 10단계(段階)로 처리(處理)한 후(後) 매일(每日)의 출아개체수(出芽個體數), 출아심도(出芽深度), 건물중(乾物重) 등(等)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담수심(湛水深)이 깊어질수록 피의 발생량(發生量)은 감소(減少)하였고 생육(生育)도 연약(軟弱)해 졌으며 수심(水深) 24cm까지도 출아(出芽)가 가능(可能)하였으나 정상적(正常的)으로 생육(生育)이 되지 않았다. 2. 수심(水深)이 얕은 처리(處理)에서 발생(發生)한 피의 생육(生育)이 좋았으나 8cm 이상(以上)의 수심(水深)에서 발생(發生)한 피는 생육(生育)이 극히 연약(軟弱)하여 수면(水面)위에서 직립(直立)이 되지 않았다. 3. 담수상태하(湛水狀態下)에서는 피의 발아심도(發芽深度)가 대부분 2cm 정도(程度)였으나 토양(土壤)의 수분(水分)이 포화상태(飽和狀態) 이하(以下)가 되면 발아심도(發芽深度)가 깊어지고 10cm 이상(以上)의 토심(土深)에서도 출아(出芽)가 가능(可能)하였다. 4. 토양(土壤)의 수분상태(水分狀態)가 피의 발생(發生)과 생육(生育)에 크게 영향(影響)을 미치는 것은 산소함량(酸素含量)의 차이(差異)때문이라 사료(思料)된다.

  • PDF

새로운 2-(4-chloro-5-(2-chloroallyloxy)-2-fluorophenyl)-3-thioalkoxy-2,3,4,5,6,7-hexahydroisoindol-1-one 유도체들의 제초활성에 관한 분자 홀로그램(H) QSAR (Holographic Quantitative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HQSAR) Analyses for the Herbicidal Activities of New Novel 2-(4-chloro-5-(2-chloroallyloxy)-2-fluorophenyl)-3-thioalkoxy-2,3,4,5,6,7-hexahydroisoindol-1-one Derivatives)

  • 성낙도;송종환;강은규;정훈성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99-204
    • /
    • 2005
  • 일련의 새로운 2-(4-chloro-5-(2-chloroallyloxy)-2-fluorophenyl)-3-thioalkoxy-2,3,4,5,6,7-hexahydroisoindol-1-one 유도체들의 hexahydroisoindol-1-one 고리상 C3 원자에 결합된 R-치환기 변화에 따른 논피(Echinochloa crus-galli)에 대한 제초 활성과의 관계를 분자 홀로그램(H) QSAR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제초활성에 관한 HQSAR 모델(I-2)은 양호한 예측성($r^2_{cv.}$ 또는 $q^2=0.714$)과 상관성($r^2_{ncv.}=0.922$)을 나타내었다. 모델(I-2)의 기여도로부터 논피에 대한 기질 분자의 제초활성은 hexahyoisoindol-1-one 고리의 C4-C6 위치와 3-tolylthio group의 ortho-위치 탄소원자 및 meta-methyl group이 활성에 기여하였다.

한국 중부지방의 환삼덩굴 군락구조와 서식지 특성 (Habitat Characteristic and Community Structures of Humulus japonicus in Korea's Middle region)

  • 오영주;류지혁;문병철;손수인;오세문;김석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2-79
    • /
    • 2008
  • 국내 분포하는 환삼덩굴군락의 식생구조에 대해 식물사회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총67개 조사구에 대한 식생자료의 분석은 $Z\ddot{u}rich$-Montpellier 학파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환삼덩굴군락의 상층 식생은 쑥-환삼덩굴군락, 흰명아주군락, 돌피-강아지풀군락, 전형하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하층 식생은 쇠별꽃-갈퀴덩굴군락, 쇠뜨기군락, 고마리군락, 바랭이-돌피군락, 전형하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식생과 서식환경과의 CCA분석 결과 상층의 돌피-강아지풀군락은 토양 경도와 상대광도 높은 지역에 서식하고 흰명아주군락은 토양 pH가 높은 지역에 분포한다. 하층의 쇠별꽃-갈퀴덩굴군락은 토양 pH가 높은 지역에 발생하고 고마리군락과 바랭이-돌피군락은 토양 수분이 높은 지역에 형성되었다.

새로운 2-(4-(6-chloro-2-benzoxazolyloxy)phenoxy)-N-phenyl-propionamide 유도체들의 제초활성에 관한 HQSAR 모델과 높은 활성 화합물의 예측 (Molecular Holographic QSAR Model on the Herbicidal Activities of New Novel 2-(4-(6-chloro-2-benzoxazolyloxy)phenoxy)-N-phenylpropionamide Derivatives and Prediction of Higher Activity Compounds)

  • 성낙도;김대황;정훈성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79-286
    • /
    • 2005
  • 일련의 새로운 기질 분자로서 2-(4-(6-chloro-2-benzoxazolyloxy)phenoxy)-N-phenylpropionamide 유도체들의 구조 변화와 그에 따른 발아 전, 논피 (Echinochloa crus-galli)에 대한 제초활성과의 분자 홀로그래피적(H) QSAR 관계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로부터 높은 제초활성 화합물들이 유도된 HQSAR 모델에 의하여 예측되었다. 가장 양호한 HQSAR 모델은 분자조각 크기($7{\sim}10bin$) 조건에서 유도된 모델(VI-1)이었다. 제초활성에 관한 HQSAR 모델(VI-1)은 높은 예측성($r^2_{cv.}$ 또는 $q^2=0.646$)과 상관성($r^2_{ncv.}=0.917$)에 근거하여 양호한 통계값들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HQSAR 기여도로부터 가장 낮은 제초활성은 4-(6-chloro-2-benzoxazolyloxy)phenoxy 고리($pred.pI_{50}=-3.20$)에 의존적이었다. 특히, (X)-phenoxy-N-(R)-phenylpropionamide 유도체의 R=4-fluoro, X=isobutoxy 치환체인 4-isobutoxyphenoxy-N-(4-fluorophenyl)propionamide (P2)는 가장 높은 제초활성($pred.pI_{50}=9.12$)을 나타내는 화합물로 예측되었다.

Evaluation Method of Weed Suppression by Rice Plant

  • Lee Sang-Bok;Ku Yeon Chung;Seong Ki Young;Song Duck Young;Seo Kyung In;Shin Jin Chul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79-83
    • /
    • 2005
  • Rice and weed interference in the paddy field caused by resource competition and allelopathy. Evaluation method of active weed suppressive behavior of rice to weed was developed by eliminating light competition at soil condition. Twenty eight days old rice seedlings (6-7 leaf stage) which was grown at saturated, no drainage pot were clipped above $3\~4cm$ from the soil surface. Weeds seeded around clipped rice stem, named ratoon seeding screening method, showed varietal suppressive difference to Echinochloa crus-galli, Echinochloa crusgalli var. praticola and Monochoria vaginalis. Potential allelopathic rice varieties, Sathi, AC1423 and PI312777 showed better suppressive activity to weed seedling growth than Nonganbyeo and Keumobyeo. Weed suppression of one plant of rice cultivars could be evaluated by the cell size of $2.5\times2.5cm$ at rice clipping of seedling 29 days after rice seeding.

제초제(除草劑) Cyhalofop-butyl ester의 벼와 피간(間) 선택성기작(選擇性機作) - 2. 제초제(除草劑) cyhalofop-butyl ester의 벼와 피간(間)에 미친 해부학적(解剖學的) 영향(影響) (Selective Mechanism of Cyhalofop-butyl ester between Rice and Echinochloa crus-galli - 2. Anatomical influence of Cyhalofop-butyl ester on rice and Echinochla crus-galli)

  • 박재읍;류갑희;이인용;이한규;신현승;이정운;김길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23-227
    • /
    • 1994
  • 벼와 피의 속간(屬間) 선택성(選擇性)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제초제(除草除) cyhalofop-BE에 대(對)한 해부학적(解剖學的) 검경(檢鏡)을 통해 생장점(生長點)에 미친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Cyhalofop-butyl ester 180ppm을 벼와 피에 처리시(處理時) 생장점(生長點)의 분제조직(分製組織) 저해(沮害) 양상(樣相)은 매우 유사(類似)하나 벼는 아주 경미(輕微)한 저해(沮害)를 보인 반면 피는 세포(細胞)의 분제(分製)이 억제(柳制)되고 배열(配列)이 불규칙(不規則)해지며 크게 위축(萎縮)되는 현상(現狀)을 보였다.

  • PDF

제초제(除草劑) Cyhalofop-butyl ester의 벼와 피간(間) 선택성기작(選擇性機作) - I. 제초제(除草劑) Cyhalofop-butyl ester에 대한 벼와 피간(間)의 반응차이(反應差異) (Selective Mechanism of Cyhalofop-butyl ester between Rice and Echinochloa crus-galli - I. Differential Response of Rice and Echinochloa crus-galli to Cyhalofop-butyl ester)

  • 박재읍;류갑희;이인용;이한규;신현승;이정운;김길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94-100
    • /
    • 1994
  • 벼와 피의 속간(屬間) 선택성(選擇性)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제초제(除草劑) cyhalofop-BE에 대한 반응(反應)을 시험(試驗)하여 얻은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Cyhalofop-BE 농도별(濃度別) 피의 생장반응(生長反應)은 100ppm 이상(以上)의 농도(濃度)에서 3엽기(葉期)까지 90% 이상(以上)의 억제효과(柳制效果)를 보였고, 180ppm 이상(以上)의 농도(濃度)에서는 4엽기(葉期)까지 100%의 억제효과(抑制效果)를 나타내었으나 벼는 엽기(葉期)에 관계(關係)없이 cyhalofop-BE를 180ppm 처리(處理)해도 억제현상(抑制現狀)을 보이지 않아 피와 벼간(間)에 강(彈)한 선택성(選擇性)이 있었다. 2. 피의 줄기, 잎 및 뿌리에 cyhalofop-BE 처리시(處理時) 줄기에 처리(處理)한 것이 초장(草長), 근장(根長) 및 생체중(生體重)에 가장 크게 영향(影響)을 미쳤다. 3. Cyhalofop-BE는 피와 벼의 경엽부(莖葉部) 처리시(處理時) 피에서는 지하부(地下部) 생장점(生長點)까지 30분내(分內)에로 이행(移行)되어 피의 생육(生育)이 35.3% 억제(抑制)된 반명(反面), 벼는 5% 억제되었으며, 처리후(處理後) 6시간(時間)에는 피는 70%, 벼는 2% 정도(程度) 억제(抑制)되어 본(本) 제초제(除草劑)의 이행(移行)에는 속간(屬間)에 따라 큰 차이(差異)가 있었다. 4. Cyhalofop-BE 처리후(處理後) 피는 1시간(時間)이 지나면 작용점(作用點)에 이행(移行)되어 지상부(地上部) 재생력(再生力)에 영향(影響)을 미치기 시작(始作)하여 처리후(處理後) 7일(日)에는 엽록소(葉綠素) 함량(含量)이 무처리(無處理)에 대하여 18.7%에 불과하여 거의 고사(枯死)되었으나 벼는 약제(藥劑) 처리후(處理後) 지상부(地上部)의 재생력(再生力)에 차이가 없었으며 Chlorophyll함량(含量) 변화(變化)도 보이지 않아 강(强)한 내성(耐性)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