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ting Disorders

검색결과 162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판 벡 우울 척도 2판의 타당화 연구 (The Validation Study of Beck Depression Scale 2 in Korean Version)

  • 임선영;이은정;정성원;김희철;정철호;전태연;이민수;김재민;조현주;김정범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8-53
    • /
    • 2011
  • 본 연구는 주요우울증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을 대상으로, 한국어판 Beck 우울설문지 2판(Beck Depression Inventory-II)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여 실제적이고 표준화된 규준을 제시하고, 분할점(cut-off score)을 설정하여 우울증의 유무를 나타내는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판 BDI-II의 문항-총점 상관의 범위는 .51에서 .74이고, 전체 문항들이 .60 이상의 문항-총점 상관을 보여 한국어판 Beck 우울설문지 2판의 신뢰도가 '보통' 이상이라는 것이 검증되었다. 둘째, 집단별 BDI-II의 내적 일치도를 알아보기 위한 Cronbach' alpha 값은 .94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성분 분석 방식으로 요인을 추출하여 합치성을 검사한 결과 3개의 하위 요인이 추출되었고, 설명되는 변량은 총 47.3%였다. 넷째, 한국어판 BDI-II의 분할점수 산출을 위하여 ROC(Receiver operator characteristic) 분석을 실시한 결과 18점일 때 가장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판 BDI-II의 분할점은 18점으로 정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연구에 사용된 환자군이 우울증상을 가진 모든 정신질환자를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라 주요우울증 환자들만을 대상으로 하여 결과를 일반화 하는데 일부 제약이 따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증상의 중증도(severity)에 따라 군을 나눠 분할점을 산출하지는 못하여 추후에는 이를 고려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잦은 감기나 만성 비염을 동반한 마른 체형 소아에 대한 보폐성장증보탕 (補肺成長增補湯)의 체중개선 효과 - 의무기록 분석 - (The Weight Gain Effects of the Bofesungjangjeungbo-tang (Bǔfèichéngzhǎngzēngbǔ-tang) on Under-weight Korean Preschool Children with Frequent Common Cold or Chronic Rhinitis - Analysis of Medical Records -)

  • 김기준;이준석;윤지현;류봉하;백희영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4-50
    • /
    • 2012
  • Objectives: We investigated weight gain effects of the Bofesungjangjeungbo-tang ($B\check{u}f\grave{e}ich\acute{e}ngzh\check{a}ngz\bar{e}ngb\check{u}$-tang) on thin Korean preschool children with frequent common cold or chronic rhinitis Methods Bofesungjangjeungbo-tang was empirically composed of 14 herbs for treating indigestion, and common cold or chronic rhinitis. We analyzed 60 preschool children who have visited Kim Kijoon Oriental Clinic BOM from Jan. 1, 2006 to Aug. 31, 2011 with three criteria: 1) 2~5yrs of age and BMI<50th percentile 2) children those who had taken the Bofesungjangjeungbo-tang for 1~3 month (s), 3) Availability of records on before/after treatment within 3 months. Weight gain of the children after treatment was evaluated by the changes of BMI percentile compared to pre-treatment. Results Bofesungjangjeungbo-tang significantly improved BMI percentile in all groups (1 month: $21.33{\pm}10.04$ vs $26.43{\pm}13.16$, p<0.001; 2 months: $21.90{\pm}10.28$ vs $29.03{\pm}15.06$, p<0.001; 3 months: $19.06{\pm}10.04$ vs $35.71{\pm}17.40$, p=0.001). Gender, age and pre-treatment BMI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effectiveness of Bofesungjangjeungbo-tang. Conclusions: Bofesungjangjeungbo-tang positively affected weight gain in 2~5yrs Korean preschool children with BMI below 50 percentile within 1~3 month (s) of treatment. However, additional studies on functional dyspepsia or the change of energy intake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factors related to weight gains.

고지방식이 섭취 마우스의 간 조직의 지질 축적에 대한 밀순 추출물의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Triticum aestivum L. Extracts on Liver Lipid Accumulation in High Fat-Fed Mice)

  • 이선희;임성원;이영미;서주원;김대기
    • 생약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09-316
    • /
    • 2011
  • Fatty liver disease refers to a range of disorders associated with fatty liver, which occur in excessive eating, evident infection or significant consumption of alcohol.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Triticum aestivum young leaf on lipid metabolism and accumulation in liver of mice fed with high-fat diet. Male C57BL/6 mice were divided into normal diet group, high fat diet (HFD) group, high fat diet group administrated with 200 mg/kg/day of T. aestivum water extract (HFD-TAWE) and high-fat group administrated with 200 mg/kg/day of T. aestivum ethanol extract (HFD-TAEE). TAWE and TAEE were administrated orally for 5 weeks once at the same time point. Both TAWE and TAEE significantly reduced body weight, food intake and liver tissue weight, which were augmented in high fat-fed mice. The serum levels of triglyceride, total and LDL-cholesterol also were significantly attenuated in both HFD-TAWE and HFD-TAEE groups compared to the HFD group. Moreover, administration of HFD-TAWE or HFD-TAEE reduced the lipid accumulation in liver tissue of mice fed with high fat diet. Levels of total lipids and triglyceride in liver tissues also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HFDTAWE and HFD-TAEE groups compared to HFD group. The activities of serum ALT and AST revealed in HFD group were remarkedly decreased in HFD-TAEE group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oth water and ethanol extract of T. aestivum may improve the lipid accumulation in liver as well as lipid metabolism in serum, and that in particular, the ethanol extract of T. aestivum may has the potent anti-hyperlipidemic effect, suggesting that it may be a useful candidate for the therapy preventing fatty liver diseases.

모바일 개인건강기록(Personal Health Records: PHR) 어플리케이션의 이용이 소비자 건강행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Mobile Personal Health Records (PHR) Application on Consumer Health Behavior)

  • 이용정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7-26
    • /
    • 2016
  • 본 연구는 모바일 개인건강기록(Personal health record: PHR) 어플리케이션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이 소비자 건강정보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총 27명의 대학생들이 3개월 동안 PHR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였으며, 그 경험을 바탕으로 서면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내용분석 결과,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통한 예방 차원의 건강관리 및 건강 향상을 위한 동기부여와 구체적 가이드라인의 제공, 가족과의 데이터 공유 및 간병인(caregiver)의 환자 건강관리지원, 무엇보다도 환자와 의료전문가와의 상호작용 강화 등이 PHR의 혜택으로 부각되었다. 반면 근력운동과 같은 콘텐츠의 미비 내지는 타 기기와의 호환성 미흡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PHR의 도움으로 건강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소비자들은 감정적 지원을 받는가 하면, 수면장애극복, 금주, 금연, 그리고 체중감량 및 식습관의 변화 등 건강행태를 변화시키고자 하는 동기부여가 생겼으며, 실제로 건강행태의 변화를 성취함으로써 자기효능이 증가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연구에서는 도입단계인 PHR에 대한 연구를 시도했다는 것에 학문적 의의가 있으며, 헬스케어분야의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건강 및 의료정보서비스를 모색하는데 통찰력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일반인에 있어서 측두하악장애의 인지도 조사에 대한 연구 (Study of General Public's Knowledge of TMD : how predominantly is TMD understood by people)

  • 김선희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5권4호
    • /
    • pp.371-382
    • /
    • 200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search how predominantly TMD is known among people and how exactly it is understood. The data set up by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eneficial references. Based on this data, people can be more knowledgeable of TMD so that they can recognize the signs and symptoms of TMD. Then, the patients can visit eligible clinician, TMD professionals. Nine hundred thirty six people (426 men and 510 women, ranging from 18 to 69 years old) were selected f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and were investigated by use of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10.68% of the subjects were reported to have heard of the term, "Temporomandibular disorders". Females occupied significantly higher percentage than males and 18-29 age group occupied higher percentage than 30-49 age and 50-69 age groups. On the other hand, even more people (52.24%) were reported to have heard of the tenn, "Jaw joint disease". It also had same sex and age prevalences, too. 2. As for the route through which people have heard of TMD, more than half (58.38%) of the people mentioned mass media of communication (T.V. radio 40.36%, newspapers magazines 15.86%, internet 2.16%). Other people who had already heard of TMD (25.05%), dentist (7.75%), and other sources (8.83%) such as physicians, physicians of Chinese medicine, pharmacists were also mentioned.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ex and age groups. 3. When it comes to the cause and concept of TMD, 32.59% of the subjects considered" an inappropriate overuse of the mandible" as the cause of TMD.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ex and age groups. 4.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presumable TMD signs and symptoms were jaw pain (61.00%), jaw joint sound (57.80%), and difficulty with mouth opening (50.11%). 5. In answer to the question who is the eligible person to treat jaw joint disease, 35.26% answered the dentists are and 41.99%, orthopedicians. Of the people who chose dentist, 30-49 age group occupied the largest part. In the case of orthopedicians, 18-29 age group was the largest. 6. Of the 7.69% of subjects who had been treated of TMD, only 5.02% of them visited the dentist for the treatment of TMD.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ex and age groups. 7. In answer to the question of how to prevent development of TMD, 58.87% selected "Avoid eating hard food", 58.65%, "Avoid opening the mouth wide", and 51.07%, "Avoid chewing gum frequently".

  • PDF

임신 및 산후 우울증 (Depression during Pregnancy and the Postpartum)

  • 김율리
    • 정신신체의학
    • /
    • 제15권1호
    • /
    • pp.22-28
    • /
    • 2007
  • 임신과 출산은 일부 여성들을 주요우울증 발병에 취약하게 한다. 산모의 10%에서 출산 후 수주 이내에 산후 우울증이 발병하며 이는 장차 아동의 인지적, 정서적 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알려졌다. 임신 중 우울증은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왔지만 산후 우울증과 마찬가지로 흔하며 임산부의 정신병리가 태아의 생리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가 축적되고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임신 및 출산과 관련된 우울증의 원인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정신사회학적, 생물학적 위험 요인을 포괄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임신과 관련된 우울증을 치료하기 위해 정신과 의사는 임신 및 치료 방법과 관련된 여러 가지 상황의 위험 혹은 이득을 포괄적으로 분석해야 하며 치료 방법을 능숙하게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 임신 중 우울증에는 심리치료, 약물치료, 전기 충격 요법 등이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산후 우울증을 치료하는 데에는 생물학적, 심리학적, 환경적 개입 등의 방법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등의 항우울제, 지지적 상담 등의 효과가 증명되었고, 증상이 심할 경우에는 Estrogen이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한편, 임신 및 출산과 관련된 우울증의 신경내분비학적, 심리사회학적 병인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향후 임산부의 산전 및 산후 관리에 있어서 임상각과 간의 통합적인 접근에 의한 우울증의 조기 진단 및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PDF

전통사회에서 외래종 작물인 고추의 효능 인식 - 한국 전통의서를 중심으로 - (Recognition of Medicinal Efficacy of Pepper as an Introduced Species in Traditional Medicine)

  • 오준호;권오민;박상영;안상우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2-18
    • /
    • 2012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look at how pepper was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In other words, this study aims to take a look at the process by which the medicinal nature & efficacy of pepper in traditional society was perceived and arranged through the aspects of the use of pepper as an exotic crop for treating diseases. This study investigated cases of using pepper for medical treatments by referring to books on traditional medicine in Korea. The old records about pepper are mainly in empirical medical books from the late Chosun dynasty. Nevertheless, the records about pepper tend to decrease in medical text as time goes by. Such a phenomenon can be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people began to use pepper for daily food life rather than for medicinal purposes. Pepper was used mostly for digestive trouble such as vomiting, diarrhea, and stomachaches, and it was also applied to mental and aching diseases caused by the sound of body fluids remaining in the stomach. In addition, there were many cases where pepper was used externally for surgical disorders. Such symptoms for treatment are linked to, or in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research results in modern times. Boiled pepper was generally taken in the traditional herbal decoction method, and in the case of surgical diseases, it was applied externally. The cases of using old pepper, using pepper with seeds or without seeds, and using pepper mixed with sesame oil belong to a sort of herbal medicine processing, which usually aimed at changing the medicinal nature of pepper. In addition, in relation to the eating habits at that time, pepper was used as seasoning and to make red pepper paste with or without vinegar. There are two words used for pepper in the medical textbooks, 苦椒 (gocho) and 烈棗 (yeoljo). These words are translated into Korean as gochu, so we can identify this word as a nickname for pepper.

BERTopic을 활용한 불면증 소셜 데이터 토픽 모델링 및 불면증 경향 문헌 딥러닝 자동분류 모델 구축 (Topic Modeling Insomnia Social Media Corpus using BERTopic and Building Automatic Deep Learning Classification Model)

  • 고영수;이수빈;차민정;김성덕;이주희;한지영;송민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11-129
    • /
    • 2022
  • 불면증은 최근 5년 새 환자가 20% 이상 증가하고 있는 현대 사회의 만성적인 질병이다. 수면이 부족할 경우 나타나는 개인 및 사회적 문제가 심각하고 불면증의 유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어서 진단 및 치료가 중요한 질환이다. 본 연구는 자유롭게 의견을 표출하는 소셜 미디어 'Reddit'의 불면증 커뮤니티인 'insomnia'를 대상으로 5,699개의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이를 국제수면장애분류 ICSD-3 기준과 정신의학과 전문의의 자문을 받은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불면증 경향 문헌과 비경향 문헌으로 태깅하여 불면증 말뭉치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불면증 말뭉치를 학습데이터로 하여 5개의 딥러닝 언어모델(BERT, RoBERTa, ALBERT, ELECTRA, XLNet)을 훈련시켰고 성능 평가 결과 RoBERTa가 정확도, 정밀도, 재현율, F1점수에서 가장 높은 성능을 보였다. 불면증 소셜 데이터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기존에 많이 사용되었던 LDA의 약점을 보완하며 새롭게 등장한 BERTopic 방법을 사용하여 토픽 모델링을 진행하였다. 계층적 클러스터링 분석 결과 8개의 주제군('부정적 감정', '조언 및 도움과 감사', '불면증 관련 질병', '수면제', '운동 및 식습관', '신체적 특징', '활동적 특징', '환경적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용자들은 불면증 커뮤니티에서 부정 감정을 표현하고 도움과 조언을 구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불면증과 관련된 질병들을 언급하고 수면제 사용에 대한 담론을 나누며 운동 및 식습관에 관한 관심을 표현하고 있었다. 발견된 불면증 관련 특징으로는 호흡, 임신, 심장 등의 신체적 특징과 좀비, 수면 경련, 그로기상태 등의 활동적 특징, 햇빛, 담요, 온도, 낮잠 등의 환경적 특징이 확인되었다.

궤양성대장염 환자와 과민성대장증후군 환자의 감정표현불능증 비교 연구 (Alexithymia in Patients with Ulcerative Colitis and Irritable Bowel Syndrome)

  • 이상빈;이성용;김상헌;임효덕
    • 정신신체의학
    • /
    • 제11권1호
    • /
    • pp.69-76
    • /
    • 2003
  • 연구목적: 구조적 변화를 동반하는 염증성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과 이를 동반하지 않는 기능성위장관질환(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의 정신병리를 비교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감정표현불능증과 이들 질환과의 관련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으나, 지금까지의 비교 연구는 타당도가 인정된 척도의 부족과 기능성위장관질환의 진단의 혼란으로 결과의 분석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 두 가지 문제점을 보완하여 감정표현불능증의 정도를 비교 분석하고, 전반적 인격적 특성이나 기타 정신병리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경북대학교 병원 내과에서 대장 내시경과 조직 검사를 통해서 확진되어 치료중인 궤양성대장염 환자 28명과, 기능성위장관질환의 국제 분류(Rome II Classification)의 진단 기준에 부합하는 과민성대장증후군 환자 27명과, 대조군 30명을 대상으로 타당도가 증명된 한국판 20항목 Toronto 감정표현불능증 척도(Korean Version of the 20-Item Alexithymia Scale, 이하 TAS-20K), Rorschach 검사, MMPI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 과: 조사된 궤양성대장염 환자의 25%와 과민성대장증후군환자의 22%에서 감정표현불능증이 있는 것으로 보였으나 대조군에서는 모두 정상 범위에 속했다. Rorschach 검사 결과 색채반응의 가중치총합(weighted Sum C)과 경험실제(EA)수치가 과민성대장증후군 환자에서 높았다. MMPI 검사 결과 궤양성대장염 환자와 과민성대장증후군 환자에서 대조군에 비해 다양한 임상 척도의 증가와 낮은 자아강도 척도를 보였으나 두 질환 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궤양성대장염환자와 과민성대장증후군 환자 두 군 모두 대조군에 비해 감정표현불능증의 유병률이 높으며 전반적인 정신병리의 수준이 높고 낮은 자아강도를 보이나, 이들 두 군 사이의 차이는 없었다.

  • PDF

측두하악장애에 대한 치과 내원환자의 인지도와 이해도에 관한 설문조사 연구 (A Research on the Basis of Questionnaires about the Dental Patients'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TMDs)

  • 김경희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8권3호
    • /
    • pp.275-289
    • /
    • 2013
  • 본 연구는 측두하악장애에 대한 치과 내원환자의 인지도와 이해도를 조사, 분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치과 혹은 울산광역시 소재 한빛치과병원을 방문한 총 243명의 환자에게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설문지의 모든 문항에 대해 성실히 답한 195명을 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측두하악장애"란 용어를 인지하고 있는 환자는 전체 대상자의17.4%였고, 총 12년 이상의 학력을 가진 군(82.4%, p<0.01)은 다른 군에서 보다 "측두하악장애"에 대한 인지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턱관절질환"이란 용어를 인지하고 있는 환자는 전체 대상자의 81.0%였고, 30-49세 연령군(45.6%, p<0.05)과 총 12년 이상의 학력을 가진 군(60.1%, p<0.01)에서 다른 군보다 "턱관절질환"이란 용어에 대한 인지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2. 전체의 과반수 이상인 50.6%가 턱관절질환의 개념으로 "턱을 무리하게 사용해서 생기는 병이다"를 선택했다. 3. 턱관절질환에 대해 들은 경로로TV, 라디오(41.4%)가 가장 많았고, 가족과 친구(20.2%), 병원 및 병원관계자(18.2%), 인터넷(15.7%) 및 신문과 잡지(4.5%)순이었다. TV, 라디오를 통해서 턱관절질환에 대해 들어본 응답자 중 30-49세 연령군이 다른 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비율(52.4%, p<0.05)을 보였다. 인터넷을 통해서 턱관절질환에 대해 들어본 응답자 중 18-29세 연령군이 다른 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비율(61.3%, p<0.01)을 보였다. 병원과 병원관계자를 통해서 턱관절질환에 대해 들어본 응답자 중 총 12년 이상의 학력을 가진 군(75%, p<0.05)이 다른 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비율을 보였다. 4. 환자들은 입을 벌리고 다물 때 턱에서 나는 소리(26.9%), 입을 크게 벌리지 못한다(25.1%), 귀 앞쪽 부위의 통증(13.7%)을 턱관절질환의 증상과 징후로 골랐다. 턱관절질환의 원인으로는 딱딱하거나 질긴 음식을 즐겨먹기(19.5%), 아래, 윗니가 잘 안 맞물림(19.0%), 한쪽 어금니로 음식씹기(18.5%)를 많이 선택했다. 턱관절질환의 치료법으로 턱관절수술(28%)을 가장 많이 꼽았고, 구강내 장치치료(23.9%), 물리치료(14.6%)가 그 뒤를 따랐다. 턱관절질환의 예방법으로 딱딱한 음식의 섭취를 줄인다(21.1%), 입을 너무 크게 벌리지 않는다(17.0%), 양쪽 어금니로 음식을 씹는다(15.4%)를 많이 선택했다.